Investigation on Turfgrass Growth Environment in Natural Turfgrass Playgrounds of 2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outh Korea

Research Article
장 석원  Seog-Won Chang1*배 은지  Eun-Ji Bae2김 기동  Ki-Dong Kim1이 정호  Jeong-Ho Lee1

Abstract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are increasing in number as alternatives to artificial turf and bare playgrounds because they are emotionally comfortable and environmentally safe for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visiting 2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17 land-based schools and 7 schools in Jeju) that have natural turfgrass playgrounds to investigate the turfgrass growth environment. The school grounds in Jeju island, which are managed by experts, are compared with those on land, which are self-managed by non-experts. The direction of the playgrounds was southwest and south in most schools. On the land and in the Jeju, the playground was sandy loam or loamy sand soil containing 60-80% of sand. The soil content of the schools in Jeju was higher in nutrients such as organic matter, phosphorus concentration,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than the land-based schools. The turfgrass types of playgrounds surveyed were zoysiagrass (Zoysia japonica or Z. matrella). Plant height of Jeju schools was shorter than that of land schools. Turfgrass coverage was 92.6% in Jeju, which was higher than land schools. The shoot densities and the thickness of thatch layer of turf were higher and thicker in Jeju schools, respectively. Sprinklers were mainly movable types, and an average of 4.1 was used for watering the playground. The main diseases on the natural turfgrass grounds were fairy ring, rust, and large patch, and zoysiagrass mite and moles damages were frequently found. Crabgrass (Digitaria ciliaris) and horseweed (Erigeron canadensis) were the main weeds both on land and in Jeju. In general, the turfgrass condition of Jeju's school playgrounds, managed by experts, was better than that of land schools by non-experts,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outsourcing system them to experts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chool playground management in the future.

Keyword



서 언

우리나라에서 초·중·고교 학교운동장 11,673개 중에 천연잔디 운동장은 807개, 인조잔디 운동장은 1,858개가 있으며, 나머지 학교는 맨땅 운동장으로 운영되고 있다(Han et al., 2015b). 2000년대 중반 이후 초·중·고교의 맨땅 운동장은 흙먼지 비산이나 강우시 사용 제한 등의 이유로 운동 환경의 개선 형태인 천연잔디 또는 인조잔디 운동장으로의 전환 요구가 높아지면서 이런 형태로의 조성 학교수가 늘어나고 있다(Layt, 2015; Woo, 2014).

그동안 인조잔디 학교운동장은 인체와 환경에 대한 안전 등 사회적 이슈가 대두되거나 학교 구성원들의 조성 요구에 따라 설치와 해체를 반복해왔다(Cho and Oh, 2013). 관리의 편리함과 계절에 관계없이 활용도가 큰 장점인 인조잔디 학교운동장은 그 수가 크게 늘어났지만 인체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고 환경에 좋지 않은 소재로 인해 마사토 운동장이나 천연잔디 운동장으로 다시 바뀌고 있는 실정이다(Hwang et al., 2013; Layt, 2015; Lim et al., 2015; Min and Kim, 2014). 기존 학교운동장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할 경우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운동장 설치와 해체에 따라 소요되는 사회적 비용을 절감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은 학생에게 안전하고 정서적 안정에 큰 도움을 주며 환경에 매우 친화적이라는 장점을 갖고 있어 학교 구성원들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Beard and Green, 1994; Chang, 2019a; Meyers and Barnhill. 2004). 그러나 천연잔디 운동장은 식물인 잔디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인조잔디나 맨땅 운동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리가 까다로워 직접 관리에 관여하는 학교구성원들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ang, 2019b). Chang (2019b)이 실시한 학교 천연잔디 운동장 담당자 설문 조사에 따르면, 학교운동장 관리 현장에서는 병・해충・잡초 관리>배수 문제>답압 피해 순서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잔디 운동장을 운영하고 있는 학교의 대부분은 연간 500만원 이하의 금액으로 운동장을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Chang, 2019b; Han et al., 2015b). 일정 수준의 잔디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인력과 비용이 필요하지만,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예산 확보가 쉽지 않다. 따라서 초・중・고교 학교운동장에서 잔디의 생육 환경을 조사하여 파악하는 것은 적은 예산으로 적기에 관리 기술을 투입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제주와 육지의 초·중·고교의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은 두 곳 모두 적은 관리 예산임에도 투입되는 관리 방법에서 큰 차이가 있다.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하 제주도 교육청)에서는 천연잔디 운동장 통합 위탁관리 용역을 통해 전문 관리업체를 선정하여 제주 지역 119개교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의 잔디 깎기, 시비, 병해충잡초 관리를 맡겨 운영하고 있었다(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2017). 그러나 전문업체가 제주도 전역의 119개 학교를 모든 과정의 잔디관리를 하는 것이 어려워서 물주기, 잔디깎기 등은 학교에서 직접 수행하고, 갱신작업, 배토, 제초, 시비 등의 전문관리만 관리업체에 위탁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였다(personal communication). 이에 비해 육지 소재 학교운동장은 학교 사정에 따라 개별적인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비전문가인 학교 교사나 직원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Chang, 2019b). Han et al. (2015b)의 보고에 따르면 경기 지역 초・중・고교 천연잔디학교운동장은 비전문가들에 의해 관리되기 때문에 잔디가 좋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제주 지역의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의 생육 및 관리 체계를 육지 소재 학교운동장과 비교하는 것은 육지 소재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의 효율적인 잔디 관리를 위해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을 조성한 후 운영하고 있는 제주도와 육지 소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직접 방문하여, 잔디 생육 환경을 조사한 내용으로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2018년과 2019년에 각각 6월부터 8월까지 천연잔디 운동장을 운영하고 있는 전국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육지 소재 15개교, 제주 소재 7개교)에 방문하여 조사한 결과를 정리, 분석하였다. 대상 학교 중 육지 소재 학교는 초등학교 8개교, 중학교 2개교, 고등학교 5개교였으며, 제주 소재 학교는 초등학교 3개교, 중학교 2개교, 고등학교 2개교였다(Table 1). 지역별로는 강원도 4개교, 경기도 3개교, 충청북도 2개교, 전라북도 2개교, 경상남도 2개교, 경상북도 2개교, 제주도 7개교였다.

Table 1. Information on the schools playgrounds visited in this study.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090207_image/Table_wts_09_02_07_T1.png

z Elementary: Elementary school, middle: Middle school, high: High school.

학교운동장 규모는 방향과 크기를 조사하여 파악하였다. 운동장의 방향은 나침반(2NL, Silva, Stockholm, Sweden)을 이용하여 방위를 측정하였고, 크기는 거리 측정기(Coolshot 20, Nikon,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천연잔디 운동장 토양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은 학교에 직접 방문하여 운동장을 좌측, 중앙, 우측으로 삼등분한 다음 각각 세 지점의 가운데에서 토양 시료를 채취하여 섞은 후 토양 분석법(NIAST, 2000)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항목은 토성, pH,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 유기물(organic matter, O.M), 총질소(total nitrogen, T-N), 유효인산(Av. P2O5), 양이온 치환용량(cation exchange capacity, CEC), 치환성 양이온(K, Ca, Mg, Na) 등이었다. 토성은 미국 농무성(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삼각 토양분류법(soil taxonomy)에 따라 분류(Schaap et al., 2001)하였다. 잔디의 생육은 Chang et al. (2018)과 Choi et al. (2012)의 방법에 따라 잎 특성, 초장, 피복률, 지상부 밀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방법은 학교 운동장을 좌측, 중앙, 우측으로 삼등분한 다음 세 지점의 가운데에서 잔디 생육을 조사 후 평균값 또는 합계를 이용하였다. 엽장과 엽폭은 가장 최근에 출현된 잎에서부터 3번째 잎을 취하여 규격자를 사용하여 실측하였다. 잔디 초장은 Fujisaki Turf Height Meter (Daitou Techno Green Inc.,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지면으로부터 높이를 측정하였다. 잔디 피복률은 학교 운동장이 한번에 조사하기에는 크기 때문에 균일하게 삼등분한 다음에 좌측 부분, 중앙 부분, 우측 부분에서 바랭이와 같은 피복형 잡초에 의해 밀도가 떨어지거나 육안으로 토양 바닥이 노출되는 지점을 잔디로 피복되지 않는 면적으로 산정하여 합한 다음 백분율로 그 면적을 계산하였다. 지상부 밀도는 실험 종료 후에 지름 108 mm 홀 커터로 시료를 채취한 후 개수를 조사한 다음 10 cm-2로 환산하였다. 통계분석 중 평균과 표준편차 값은 엑셀(Microsoft Office Professional Plus 2010, Microsoft Corporation, Redmond, USA)의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제주 지역과 육지 소재 학교운동장의 평균값 비교는 SAS 프로그램(version 9.4, SAS institute, Cary, USA)을 이용하여 T검정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우리나라 육지와 제주 지역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의 규모와 방향은 Table 2와 같다. 학교운동장의 규모는 육지 소재 학교가 제주 지역 학교에 비해 컸고, 학교간의 규모 차이도 큰 경향이었다. 그러나 두 그룹은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운동장의 방향은 지역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학교가 남서향과 남향이었다. 특히, 제주 지역은 남향이 14.3%, 남서향이 85.7%였다. 남향인 학교는 운동장이 본관 앞 쪽에 있기 때문에 햇빛을 잘 받을 수 있어 잔디 생육에 유리한 조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Table 2. Size and direction of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090207_image/Table_wts_09_02_07_T2.png

y Data±standard deviation.

z NS=not significant.

천연잔디 학교운동장 토양의 물리적 특성은 Table 3과 같다. 육지 소재 학교운동장 토양의 모래 함량 분포 범위는 66.2-89.2%, 제주 소재 학교는 60.6-86.8%로 두 지역 모두 모래 함량이 높은 결과를 보였지만 육지와 제주 지역 간의 학교 운동장 토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Han et al. (2015a)은 전라남도 장성 지역의 조이시아그래스 재배지(생산지) 토양의 경우 모래 함량 약 40%로 보고한 바 있으며, 재배지에 비해 학교운동장 토양은 모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토성을 분석한 결과 두 지역 모두 사양토, 양질사토를 나타내었다.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은 학교구성원들의 답압이 지속될 수 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향후 답압에 의해 점토 함량이 더 높아져 잔디 생육 저하와 배수 불량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통기 관리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Seo et al., 2015). 토성이 단단해서 통기 작업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주기적인 모래 배토를 통해서 잔디의 생육을 관리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Table 3. Physical properties of natural turfgrass soil in school playground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090207_image/Table_wts_09_02_07_T3.png

x Classification by soil taxonomy of 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y Data±standard deviation.

z NS=not significant.

천연잔디 학교운동장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Table 4와 같다. 토양의 pH를 분석한 결과 육지와 제주 지역 학교운동장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육지 지역 토양의 pH 분포는 5.3-7.2, 제주 지역은 4.9-8.2로 지역과 상관없이 학교 간의 편차가 컸고, 낮은 pH를 보이는 일부 학교에서는 토양 산도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이 강산성화되거나 강알칼리성화되면 주요 양분의 유효성 저하로 인해 잔디 생육 장해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Sartain, 1985).

유기물 함량은 육지와 제주 지역 학교운동장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Table 4). 제주 지역 학교운동장의 유기물 함량 평균이 5.5%, 육지 지역 1.6%에 비해 약 3.5배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 대부분의 학교운동장에서 유기물 함량이 높은 편이었지만, 낮은 값을 보였던 운동장은 조성 초기거나 양분 용탈이 심한 모래 함량이 높은 운동장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육지와 제주 소재 학교운동장의 질소 함량을 분석한 결과 두 지역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제주 지역 학교운동장의 질소 함량 평균이 0.25%, 육지 지역 0.08%에 비해 약 3배가 높게 나타났다. 유효인산 함량은 육지와 제주 소재 학교운동장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제주 지역 학교운동장의 유효인산 함량 평균이 216.8 mg kg-1, 육지 지역 56.7 mg kg-1에 비해 약 3.8배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Table 4. Chemical properties of natural turfgrass soil in school playground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090207_image/Table_wts_09_02_07_T4.png

x O.M: Organic matter; T-N: Total nitrogen; Av-P2O5: Available P2O5; Ex-cation: Exchangeable cations; CEC: Cation exchange capacity; EC:Electrical conductivity.

y Data±standard deviation.

z *, *, *** significant at P=0.05, 0.01, and 0.001, respectively. NS=not significant.

치환성 양이온 K+ 함량을 분석한 결과, 육지와 제주 소재 학교운동장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제주 지역 학교운동장의 치환성 양이온 K+ 함량 평균이 0.33 me kg-1, 육지 지역 0.15 me kg-1에 비해 2배가 높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치환성 양이온 Ca2+, Mg2+, Na+ 함량, 양이온 치환용량(CEC), 염분 함유도, EC는 육지와 제주 지역 학교운동장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학교 간에 토양 전기전도도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전기전도도는 식물의 염류 장해를 판단하는데 매우 중요한 화학적 지표이기 때문에 토양 중 가용성 염류 이온 농도가 높아지게 되면 물의 삼투 퍼텐셜이 낮은 값을 갖게 되어 식물의 수분이용 효율이 저하되고 토양 용액의 이온 평형을 교란시켜 뿌리의 수분 흡수 장해 등이 일어날 수 있다(Lee et al., 2009; Munns and Termaat, 1986). 따라서 전기전도도가 높은 일부 학교 운동장은 지속적인 염분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제주 지역 학교운동장이 육지 지역에 비해 유기물, 질소, 유효인산, 치환성 양이온 K+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은 시비처리로 인해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제주 지역이 육지에 비해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이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가 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의 잔디 생육은 Table 5와 같다. 조사된 천연잔디 학교운동장 초종은 경기 평택 소재 학교에 국내 연구진이 육종하여 보급한 금잔디(Zoysia matrella)(Tae et al., 2014)를 제외하고는 모든 학교에서 들잔디(Z. japonica)가 식재되어 있었다(Table 1). 잔디 초장은 제주 소재 학교가 육지 학교에 비해 짧게 유지되고 있었고, 학교 간의 차이도 적었다. 그러나 두 그룹의 평균값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학교운동장의 잔디 피복률은 제주 소재 학교가 평균 92.6%로 육지 소재 학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지상부 밀도는 제주 지역 학교가 육지 학교에 비해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골대 앞 지점은 답압이 심하여 잔디 피복률이 떨어지는 현상을 관찰하였다(personal observation). 따라서 골대 앞에는 심한 답압으로 인해 점토와 미사 함량이 더 높을 수 있으며 배수에도 문제가 되면 사용자 입장에서 매우 불편할 수 있다. 향후에는 학교운동장에서 지점별 답압 발생 정도와 대책에 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able 5. Turfgrass growth characterestics, coverage rate and thatch depth in school playground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090207_image/Table_wts_09_02_07_T5.png

y Data±standard deviation.

z,* significant at P=0.05. NS=not significant.

전체적으로 육지에 비해 제주 지역 학교의 잔디가 잘 관리되고 있었다. 제주 지역 학교운동장의 잔디 관리가 육지 소재 학교보다 더 잘 되고 있는 주요 원인은 제주 교육청에서 주관해서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을 관리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제주 교육청에서는 천연잔디 운동장 통합 위탁관리 용역을 통해 전문 관리 업체를 선정하여 제주 지역 119개교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의 잔디 깎기, 시비, 병・해충・잡초 관리를 맡겨 운영하고 있었다(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2017). 이에 비해 육지 소재 학교운동장은 학교 사정에 따라 개별적인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때문에 담당자의 전문성 정도에 따라 잔디 생육에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대취층은 제주 지역 학교가 육지 소재 학교에 비해 대체로 두꺼웠다. 이것은 제주 지역 운동장에 정기적인 비료 살포 등으로 인해 잔디 생육이 좋은 상태로 유지되고 있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대취층은 적절한 두께일 때 쿠션작용을 통해 이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해주지만, 12.0 mm 이상의 두께에서는 다양한 병해충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소수성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물과 농약의 침투를 방해해서 병해충 방제를 어렵게 하거나 한발에 취약하게 할 수 있다(McCarty et al., 2007). 대취층 두께가 두꺼운 학교는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의 관수 시설 상황 및 병해충・잡초 발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제주 지역 학교를 제외하고 육지 소재 학교운동장에서 스프링클러는 고정식보다 이동식이 많았으며, 평균 4.1개의 이동식 스프링클러가 운동장 관수에 이용되었다. 관수는 모든 학교에서 교사 또는 직원에 의해서 실시되고 있었고, 건기에는 시간 소모가 가장 많은 작업 중 하나였다(Chang, 2019b). Han et al. (2015b)도 학교 천연잔디 운동장 관리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잡초 관리와 관수 작업이었으며, 고정식 스프링클러가 적었다고 보고한 바 있다. 또한 Han et al. (2015b)은 경기도 내 학교에서 고정식 스프링클러 설치가 적은 이유가 잔디 운동장 조성 후 잔디관리에 관한 인식 부족과 초기 비용 부족 등으로 관·배수 등의 기본 시설에 소홀했기 때문이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저자들도 이동식 스프링클러로 관수를 실시하는 학교에 방문했을 때 많은 교직원이 건기에 이동식 스프링클러로 관수를 실시하는 것에 대한 피로감을 호소한 바 있다(data not shown). 이러한 피로감은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하는데 결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을 조성할 경우에는 고정식 스프링클러의 설치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많은 학교 운동장 잔디에서 담자균류에 의한 페어리링병(4개 학교)과 갈색퍼짐병(large patch)(2개 학교)이 발생되었으며, 잔디혹응애(Aceria zoysiae)와 두더지(Mogera robusta) 피해가 자주 발견되었다(Table 6). 육지와 제주 지역 모두 바랭이(Digitaria ciliaris)와 망초(Conyza canadensis)가 주요 잡초였다.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에서 병해충・잡초의 발생은 골프장처럼 높은 관리 수준을 투입하지 않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판단된다. 학교운동장에서의 병해충・잡초는 다양한 유입 경로를 생각할 수 있다. 육지 소재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은 골프장과 달리 학교간에 장비와 사람의 교류가 크지 않지만, 제주 지역의 경우는 크게 다르다. 교육청에서 의뢰한 전문 관리 업체가 학교 잔디운동장을 공동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한 곳의 학교에서 병・해충・잡초 문제가 발생하면 다른 곳으로 전파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대비해서 예초 장비 등의 청결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잔디생산지에서의 병해충・잡초 발생은 매우 다양하고 일반적이어서 그곳에서의 유입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Bae et al., 2013; Min et al., 2014). Min et al. (2014)은 잔디 생산지에서 발생하는 병이 골프코스에서 나타나는 병과 유사하다고 보고하면서 생산지에서의 철저한 병 관리를 경고한 바 있다. 따라서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을 조성할 때 건전하거나 품질 인증을 받은 잔디 구입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학교에서 병해충・잡초가 발생하면 학교 구성원들의 농약 사용에 대한 거부감이 크기 때문에 화학적으로 방제하기가 쉽지 않다(Chang, 2019b). 본 연구를 위해 학교에 방문하면 담당자들은 교직원과 학부모 등 학교 구성원들의 농약 사용의 기피 경향을 지속적으로 지적하였다(data not shown). 자주 발견되었던 두더지 피해는 보통 땅속의 지렁이, 유충 등을 찾기 위한 먹이 활동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도 해충 방제가 이루어지지 않아 나타난 현상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해충관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자연스럽게 두더지 피해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Table 6. Sprinkler types and disease, pest, and weeds of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090207_image/Table_wts_09_02_07_T6.png

x F: Fairy ring; LP: Large patch.

y ZM: Zoysiagrass mite; M: Mole.

z CG: Crabgrass; HW: Horse-weed; AG: Amur galingale; AP: Asiatic plantain; CG: Cogon grass; BG: Bermudagrass.

본 연구에서 제주 지역 학교의 운동장 상태가 육지보다 전체적으로 양호하였다. 그러나 잔디 생육에서는 학교간 차이가 존재하였다. 그러한 편차가 있었던 이유는 1개 업체가 잔디 관리하기에는 크게 분산된 119개 학교의 동선과 연간 관리 예산의 부족이 주요 원인으로 판단된다. 2016년 제주도교육청에서 실시한 천연잔디 운동장 위탁관리 용역을 위한 전자입찰 공고(http://www.g2b.go.kr)에 따르면 제주도 소재 119개 학교 천연잔디운동장 총면적 554,959 m2 (학교당 평균 4,664 m2)의 잔디 관리에 예산 514,177천 원(추정가격 467,433,636원)을 배정(SubFrame.do?framesrc=http://www.g2b.go.kr:8340/search.do?category=TGONG&kwd=천연잔디 운동장 위탁관리 용역)한 바 있다. 제주도교육청에서는 최상의 잔디상태를 유지하고 학생들의 안전과 건강 체력 증진 목적으로 운동장 잔디깎기, 제초, 시비, 병해충 방제, 통기, 보식 등을 용역 내용으로 공고하였다. 그러나 골프 코스관리 비용(Yoo et al., 2009)에 견주어 볼 때 관리 수준의 차이를 고려하더라도 비용 대비 배정 예산은 너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배정 예산만으로 계산한다면 학교(학교 평균 4,664 m2)별로 4,321,196원이었으며 입찰되는 과정에서 m2당 낙찰 금액은 더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제주교육청 담당자에 따르면 천연잔디운동장을 운영하는 일부 학교의 요청으로 예산을 추가 지원한 바 있다(personal communication). Han et al. (2015b)의 답압 스트레스를 적절하게 관리하고 잔디깎기, 시비 등 기본관리만 하면 연간 500만 원의 관리비용으로 양호한 운동장 유지가 가능하다는 보고하였다. 따라서 향후에는 제주도교육청의 의미있는 시도를 참고하여 예산 수준별로 작업의 종류와 범위에 관한 매뉴얼을 만들어 보급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의 확산을 위해서는 잔디 관리에 학교 구성원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신체적·정신적 피로도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Chang, 2019a). 제주의 사례처럼 육지 지역에서도 시군별 소재 교육청에서 주관하여 전문 업체에서 관리하게 되면 적은 예산으로 최상의 잔디상태를 유지하고 학생들은 보다 나은 환경에서 학습하며 안전과 건강 체력 증진 목적을 달성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학교에서 잔디 관리 상태가 좋지 않거나 학교 사정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방문을 허락하지 않거나 조사에 협조적이지 않아 결과적으로 표본의 수가 많지 않았다(personal observation). 향후 유사한 연구를 하는 연구자라면 학교 당국에 공문을 통해 사전에 협조를 구한다거나 연구 결과의 비밀 유지 협약 등을 통해 담당자의 불안감을 해소를 위한 장치를 제시하는 방법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한국잔디인 금잔디는 들잔디보다 녹병에 대한 강한 저항성, 긴 녹색 기간, 높은 지상부 밀도 등의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약한 내한성은 종 특유의 한계로 지적되기도 한다(Chang et al., 2019; Choi and Yang, 2011).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 조사된 경기도 평택 소재 학교 운동장에 식재된 금잔디는 식재 후 수년간 동해로 인해 외관상 증상이 나타나거나 죽는 현상이 발견되지 않아 외견상 월동에 문제가 전혀 없는 것으로 보였다(data not shown). 향후에는 금잔디 학교 운동장의 적용과 확산과 관련되어 그린업, 휴면기 돌입 시기 등 지속적인 관찰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요 약

천연잔디 운동장은 학생들에게 정서적으로 편안하고 환경적으로 안전하다는 점에서 인조잔디 운동장과 맨땅 운동장의 대안으로서 그 수가 증가 추세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을 운영하고 있는 전국의 22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육지 소재 17개교, 제주 소재 7개교)에 직접 방문하여 잔디 생육 환경을 조사하였고, 전문가들에 의해 위탁관리 되고 있는 제주도 지역 학교 운동장과 비전문가들에 의해 자가관리 되고 있는 육지의 운동장을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학교 운동장의 방향은 대부분의 학교에서 남서향과 남향이었다. 육지와 제주 지역의 운동장 토양은 모래가 60-80%가 포함되어 있는 사양토 또는 양질사토였다. 제주 소재 학교의 토양에는 육지에 비해 유기물, 인산, CEC 등의 함량이 높았다. 학교 운동장의 잔디 종류는 대부분 들잔디로 조성되었다. 초장은 제주 소재 학교의 운동장 잔디가 육지 소재 학교에 비해 짧게 유지되고 있었고, 피복률도 평균 92.6%로 매우 높았다. 잔디의 지상부 밀도와 대취층의 두께는 제주 지역 학교가 많고 두꺼웠다. 스프링클러는 고정식보다 이동식이 많았으며, 평균 4.1개가 운동장 관수에 이용되고 있었다. 천연잔디 학교 운동장에서의 주요 병은 페어리링병, 녹병, 갈색퍼짐병이었으며, 잔디혹응애와 두더쥐 피해가 자주 발견되었다. 육지와 제주 지역 모두 바랭이와 망초가 주요 잡초였다. 전반적으로 전문가들에 의해 관리되는 제주도의 학교 운동장 잔디 상태가 비전문가들에 의한 육지지역 학교에 비하여 우수하였기 때문에 향후 학교운동장 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전문가들에게 위탁 관리하는 체계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실태조사, 운동장 관리, 잔디 생육 환경, 천연잔디 운동장, 학교운동장

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NRF-2018R1D1A1B07041214). I thank the financial support of NRF. Also, I am deeply grateful for the amazing assistant of my undergraduate student, Lim Ho-Dong.

Authors Information

Seog Won, Chang, Dept. of Golf Course Management, Korea Golf University, Professor, http://orcid.org0000-0003-2053-6833

EunJi, Bae, Forest Biomaterial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Researcher, http://orcid.org0000-0003-4597-8873

Ki Dong, Kim, Dept. of Golf Course Management, Korea Golf University, Professor, http://orcid.org0000-0002-3266-4683

Jeong Ho Lee, Dept. of Golf Course Management, Korea Golf University, Professor, http://orcid.org0000-0003-4455-7540

References

1  Bae, E.J., Lee, K.S., Kim, D.S., Han, E.H., Lee, D.M. and Lee, D.W. 2013. Sod production and current status of cultivation management in Korea. Weed Turf. Sci. 2(1):95-99. (In Korean) 

2  Beard, J.B. and Green, R.L. 1994. The role of turfgrasses i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heir benefits to humans. J. Environ. Qual. 23(3):452-460. 

3  Chang, S.W. 2019a. A comparative study of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aff on the types of playgroun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Weed Turf. Sci. 8(1):49-56. (In Korean) 

4  Chang, S.W. 2019b. A comparative study o n management status of natural turfgrass and artificial turf playground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Weed Turf. Sci. 8(2):141-147. (In Korean) 

5  Chang, S.W., Koo, J.H., Sung, C.H., Lee, H.H., Park, S.J., et al. 2018. Effects of mowing (Beolcho) timing and height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Zoysia japonica and Z . matrella before Chuseok. Weed Turf. Sci. 7:140-147. (In Korean) 

6  Chang, S.W., Sung, C.H., Bae, E.J., Koo, J.H. and Youn, J.H. 2019.  

7  Comparative evaluation of Zoysia japonica and Z . matrella ecotypes at different weather conditions and grave mounds. Weed Turf. Sci. 8(3):267-278. (In Korean) 

8  Cho, M.H. and Oh, B.D. 2013. Sustainability of remodeling school sports field. J. Kor. Soc.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7(4):297-310. (In Korean) 

9  Choi, J.S. and Yang, G.M. 2011. Low temperature and salt tolerances of native zoysiagrass (Zoysia spp.) collected in South Korea. Asian J. Turfgrass Sci. 25(2):138-146. (In Korean) 

10  Choi, J.S., Yang, G.M., Oh, C.J. and Bae, E.J. 2012.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rate of medium-leaf type zoysiagrasses collected at major sod production area in S. Korea. Asian J. Turfgrass Sci. 25(2):138-146. (In Korean) 

11  Han, J.J., Lee, K.S., Choi, S.M., Park, Y.B. and Bae, E.J. 2015a. Soil properties and growth characteristics by production periods of zoysiagrass sods. Weed Turf. Sci. 4(3):262-267. (In Korean) 

12  Han, S.W., Soh, H.S., Won, S.Y. and Ju, Y.C. 2015b. Present state of turf management of school playgrounds in Gyeonggi province of Korea. Weed Turf. Sci. 4(4):405-412. (In Korean) 

13  Hwang, U.H., Kwon, Y.S., Jeong, T.H. and Jeong, S.M. 2013.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filler for artificial turf. J. Korean Soc. of Urban Environment. 13(2):141-146. (In Korean) 

14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2017.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efficient and systematical management of school natural turfgrass playgrounds. http://www.jje.go.kr/pro/ board/view.jje?menuCd=DOM_000000901001000000&boardId=BBS_0000142&dataSid=1310782. (Accessed February 2, 2017). (In Korean)  

15  Layt, T. 2015. Artificial turf is an alternative to concrete not grass. landscape news/turfvsfake (Accessed Sept. 29, 2015). Lee, D.I., Kim, K.D. and Joo, Y.K. 2009. Changes of salt concentration by the height of ground water table on disused saltpan for golf course construction site. Kor. Turfgrass Sci. 23(1):143-150. (In Korean) 

16  Lim, J.B., Yu, J., Lee, J.Y. and Lee, K.S. 2015. Comparison of thermal effects of different school ground surface materials - A case of Yooljeon elementary school-. J. of the Kor.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2):28-44. (In Korean) 

17  McCarty, L.B., Gregg, M.F. and Toler, J.E. 2007. Thatch and mat management in an established creeping bentgrass golf green. Agron. J. 99:1530-1537. 

18  Meyers, M.C. and Barnhill, B.S. 2004. Incidence, causes, and severity of high school football injuries on field turf versus natural grass. Am. J. Sports Medicine 32(7):1626-1638. 

19  Min, G.Y., Lee, J.H. and Kwak, Y.S. 2014. A detail investigation of major diseases occurrence and pathogen population on turfgrass cultivation in nationwide. Weed Turf. Sci. 3(2):121-129. (In Korean) 

20  Min, S.H. and Kim, Y.H. 2014. A study on the combustion test of artificial turf installed on field. Fire Sci. Eng. 28(2):48-53. (In Korean) 

21  Munns, R. and Termaat, A. 1986. Whole-plant responses to salinity. Aust. J. Plant Physiol. 13:143-160. 

22  NIAS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NIAST, RDA, Suwon, Korea. (In Korean) 

23  Sartain, J.B. 1985. Effects of acidity and N source on the growth and thatch accumulation of “Tifgreen” bermudagrass and on soil nutrient retention. Agron. J. 77:33-36. 

24  Schaap, M.G., Leiji , F.J. and van Genuchten, M.T. 2001. Rosetta: A computer program for estimating soil hydraulic parameters with hierarchical pedotransfer functions. J. Hydrology 251:163-176. 

25  Seo, J.Y., Chung, J.L., Kim, M.C., Chung, J.S., Shim, D.B., et al. 2015. Effects of trampling on growth and development in Zoysia japonica . Weed Turf. Sci. 4(3):256-261. (In Korean) 

26  Tae, H.S., Hong, B.S., Shin, C.C., Jang, G.M., Kim, K.D., et al. 2014.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new cultivar ‘Green Ever’ in zoysiagrass. Weed Turf. Sci. 3(4):329-335. (In Korean) 

27  Woo, P.R. 2014. Artificial lawns at 174 schools contaminated. Medical Today. http://www.mdtoday.co.kr (Accessed December 31, 2014). (In Korean) 

28  Yoo, M.J., Lee, J.P., Joo, Y.K. and Kim, D.H. 2009. Analysis of maintenance expense in various golf courses. Kor. Turfgrass Sci. 23(1):61-76.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