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d Occurrence in Highland Kimchi Cabbage and Radish Fields

Research Article
김 창석  Chang-Seok Kim1김 기덕  Ki-Deog Kim1지 삼녀  Sam-Nyu Jee1서 종택  Jong-Taek Suh1오 영주  Young-Ju Oh2*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dominance of weeds in highland Kimchi cabbage and radish fields. As a result of the weed distribution survey, 26 and 104 classification groups occurred, and the 79 and 86 classification groups were distributed in Kimchi cabbage and radish field, respectively. Among the life forms, summer annual occurred most frequently in Kimchi cabbage and radish fields. In the highland field, Galinsoga cilata was dominant and Chenopodium album, Persicaria nepalensis and P. vulgaris appeared. The dominant species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highland field were found to be Chenopodium album in 0-15°and G. cilata in 15-40°. The dominant species according to the altitude of the highland field was found to be Chenopodium album in 500-899 m, and G. cilata in 900-1,299 m. The weed distribution in the highland fields was found to be dominated by Chenopodium album as the altitude and slope were lower and G. cilata as the altitude and slope were higher.

Keyword



서 언

우리나라 북동부의 태백산맥 주변과 지리산 주변 등지에 펼쳐져 있는 밭의 약 10%는 고랭지와 준고랭지가 차지하고 있으며, 강원도는 전국 고랭지 재배면적의 79.3%를 차지하고 있고, 해발 400 m이상의 준고랭지는 68.6%, 해발 600 m이상의 고랭지는 98.8%를 차지하고 있다(, 2006). 또한, 고랭지는 고품질 원예작물 재배라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고, 배추, 무, 감자, 양채소 등을 재배할 수 있는 적합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Hahn et al., 1998).

강원도의 고랭지는 연중 기온이 낮고 일교차가 커서 무, 배추 등의 여름철 작물과 옥수수와 감자 등이 주요 작물로 재배되고 있다. 농경지의 잡초의 발생은 기후 특성과 재배작물의 종류, 재배방법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인다(Thomas, 1991). 잡초발생은 작물과 경쟁관계를 형성해서 작물생산에 영향을 주고 병해충의 숙주로 작용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데, 고랭지 밭에서 발생하는 잡초종은 다른 경작지에 비해 기후, 재배와 경작법 등에 영향을 더 받을 수 있다(Choi et al., 1994).

우리나라 밭의 잡초 발생상황은 1990년에 농촌진흥청에서 조사한 결과에는 동작물 재배지에 39과 165종, 하계작물 재배지에 41과 189종으로 총 33과 122종이 발생되었다(Chang et al., 1990). 2002년에 농촌진흥청이 보고한 밭 잡초 분포 현황은 총 33과 112종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ark et al., 2003). 2014년에는 조사된 전국 밭에 발생하는 잡초분포 현황은 50과 375종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Lee et al., 2015).

본 연구는 고랭지 경작지 중에서 배추와 무 밭에 발생하고 있는 잡초 현황에 대해 파악하고 고랭지의 지형적 특이성을 고려하여 고도별, 경사도별 잡초발생의 특성을 분석하여 고랭지 잡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조사지역 및 방법

고랭지 밭 발생 잡초를 파악하기 위해 강원도 홍천군, 평창군, 정선군, 강릉시, 삼척시, 그리고 태백시의 33 농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8년과 2019년도에 걸쳐 동계잡초는 4-5월, 하계 및 월동 잡초는 6-10월에 조사를 수행하였다.

발생 잡초는 시기별로 Braun-Blanquet (1964)에 의한 7개 등급(r, +, 1, 2, 3, 4, 5)을 기준으로 피도를 조사하였다. 이때 등급별 조사기준은 5: 75-100%; 4: 50-75%; 3: 25-50%; 2: 5-25%; 1: <5% 미만; +: <5 드묾(few individuals); r: 매우 드묾(very fewer individuals)으로 판정하였다(Wikum and Shanholtzer, 1978).

자료의 분석

잡초조사 결과는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KNA, 2014)에 의거하여 목록을 작성하였고 외래 잡초는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Park, 2009)에 의해 표기하였다. 출현한 잡초종에 대해서는 Raunkiaer (1934)의 생활형을 기준으로 일년생, 월년생 그리고 다년생을 구분하였고 과별 분포 비율을 산정하였다. 잡초의 우점 순위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요치(IV)분석을 실시하였다(Curtis and McIntosh, 1950).

Relative frequency (RF)(%)=Frequency of any species / Total frequency of all species×100 (1)

Relative cover (RC)(%)=Cover of species A / Total cover of all species×100 (2)

Important value (IV)=(RF + RC)/2 (3)

잡초의 분포에 의한 차이는 경사도별, 고도별 고랭지 밭 재배지로 구분하여 각 재배 작물에 따라 차이를 분석하였다. 경사도는 평탄지(0-5˚), 완경사지(5-15˚), 경사지(15-20˚), 급경사지(20-30˚) 및 험준지(30-40˚)로 구분하였고, 고도는 500-699, 700-899, 900-1099, 1100-1299 m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잡초의 발생현황

고랭지 밭의 잡초 발생 현황을 조사한 결과 고랭지 전체 밭에서 출현한 잡초는 26과 104종, 고랭지 배추밭은 21과 79종, 고랭지 무밭은 24과 86종이 발생하였다(Table 1).

고랭지 밭에 발생하는 잡초 중 우점도를 나타내는 중요치(IV)가 높은 잡초는 털별꽃아재비, 흰명아주, 산여뀌, 봄여뀌, 별꽃, 돌피, 속속이풀, 개여뀌, 닭의장풀, 새포아풀 등의 순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작물별로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 고랭지 배추밭에 분포하는 잡초는 털별꽃아재비, 산여뀌, 별꽃, 봄여뀌, 흰명아주, 새포아풀, 속속이풀, 돌피, 서양민들레, 개쑥갓 등의 순이었으며, 고랭지 무밭에 분포하는 잡초는 흰명아주, 산여뀌, 개여뀌, 털별꽃아재비, 봄여뀌, 돌피, 개비름, 쇠비름, 금방동사니, 속속이풀 등의 순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고랭지 배추밭에 분포하는 잡초는 고랭지 밭 전체에 발생하는 잡초종 중요치 순위와 차이는 있으나 발생 잡초종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고랭지 무밭은 배추밭에 털별꽃아재비가 우점하고 있는 것과는 다르게 흰명아주의 중요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랭지 밭 전체나 배추밭에서 중요치 순위에 나타나지 않은 개비름, 쇠비름, 금방동사니가 출현하였다. 본 결과는 Lee et al. (2015)가 보고한 전국의 밭 우점종 순위인 바랭이, 쇠비름, 깨풀, 흰명아주, 속속이풀 등과 비교해서 우점종 순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강원도의 밭 작물에서의 우점종인 쇠비름, 바랭이, 흰명아주, 돌피, 속속이풀과도 우점순위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이유는 고랭지 밭의 해발고도와 기후환경에 의한 영향이 잡초발생의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Chang et al. (1990)은 동작물 재배지에서 중부 이북지방은 명아주, 쇠뜨기 등이, 중부 이남지역은 뚝새풀, 벼룩나물 등이 발생한다고 하였고 하작물 재배지에는 바랭이, 쇠비름이 우점하는 잡초라고 한 보고한 바 있는데 이들 지점의 우점순위와 고랭지와는 차이를 보였다.

고랭지 밭에 출현한 잡초분포 현황에서 잡초의 과별 분포는 밭 전체에서는 국화과가 25종, 화본과가 16종 그리고 마디풀과가 13종으로 전체 발생 잡초의 약 52%를 점유하고 있었다. 배추 밭에 발생하는 과별 현황은 국화과 20종, 화본과가 13종, 마디풀과 11종 순으로 나타났으며 밭전체에 발생하는 종의 순위와 일치하였다. 무 밭에 발생하는 현황은 국화과 21종, 벼과 14종, 마디풀과 9종의 순으로 나타났다. 잡초발생의 과별 순위는 대부분의 밭잡초는 국화과, 화본과, 마디풀과 순이라는 Park et al. (2003)과 Lee et al. (2015)의 보고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Table 1).

Table 1. Comparison of the family of weeds occurred in highland field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090201_image/Table_wts_09_02_01_T1.png

Table 2. Comparison of important value ranking of weeds occurred in highland field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090201_image/Table_wts_09_02_01_T2.png

zRelative frequency (RF)+relative cover (RC)/2.

고랭지 잡초의 생활형

고랭지 밭 전체에 발생하는 잡초의 생활형별로 분석한 결과 하계일년생이 53.8%, 다년생이 25.0%를 차지하고 있었다. 하계 또는 동계 일년생은 20.2%, 동계일년생은 1.0%로 출현한 잡초 종 중에는 하계일년생의 발생비율이 높았다. 고랭지 배추 밭과 무 밭의 생활형은 밭 전체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생활형과 같은 순위로 나타내고 있으며 각 생활형별로는 비율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Park et al., 2006) 보고에서도 언급된 바 있다(Table 3).

Table 3. Comparison of life cycles of weeds occurred in highland field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090201_image/Table_wts_09_02_01_T3.png

고랭지 밭의 경사도별 우점잡초 현황

고랭지의 주로 산지의 경사를 중심으로 경작지가 조성되어 있다. 밭의 경사는 토성과 토양의 수분에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고랭지 밭 경사도에 따른 잡초발생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밭의 경사도가 거의 없는 평탄지(0-5˚)에서의 잡초발생 종 수는 98종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다음으로 완경사지(5-15˚) 52종, 경사지(15-20˚) 48종, 급경사지(20-30˚) 45종 및 험준지(30-40˚) 44종 순으로 경사가 급할수록 잡초의 출현 수도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다. 경사도별 우점하는 잡초 종은 평탄지-완경사지에서는 횐명아주가 우점하였으며, 경사지 ~ 험준지에서는 털별꽃아재비가 우점하였다(Table 4).

Table 4. An important value ranking of weeds occurred on the slopes in highland field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090201_image/Table_wts_09_02_01_T4.png

zRelative frequency (RF)+relative cover (RC)/2.

고랭지 밭의 고도별 우점잡초 현황

고랭지는 해발고도가 높은 산지에 경작지가 조성되어 있다. 해발고도는 미소기후의 차이를 유발할 수 있어 잡초 종이 적응하여 분포하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고랭지 밭이 위치한 해발고도별 우점 잡초는 500-699, 700-899 m 두 구간에서 흰명아주였으며, 900-1099, 1100-1299 m 두 구간에서 털별꽃아재비였다. 해발고도별 주요 우점잡초의 변화양상은 흰명아주는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발생이 적어지며, 반면에 털별꽃아재비, 별꽃 산여뀌는 출현의 빈도가 높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고랭지 배추가 주로 재배되는 단지에서는 털별꽃아재비가 가장 우점하여 분포하는 잡초였다(Table 5).

Table 5. An important value ranking of weeds occurred by altitude in highland field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090201_image/Table_wts_09_02_01_T5.png

zRelative frequency (RF)+relative cover (RC)/2

요 약

본 연구는 고랭지 배추, 무밭에 발생하는 잡초의 분포와 우점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잡초 분포 조사 결과는 26과 104분류군이 발생하였고 배추밭은 79분류군, 무밭은 86분류군이 분포하였다. 생활형별로는 배추, 무밭 모두 하계일년생이 각각 41종(51.9%), 51종(59.3%)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고랭지 밭에는 털별꽃아재비가 우점하였고 흰명아주, 산여뀌, 봄여뀌 등이 출현하였다. 고랭지 밭의 경사도에 따른 우점종은 0-15°는 흰명아주, 15-40°는 털별꽃아재비로 조사되었다. 고랭지 밭의 해발고도에 따른 우점종은 500-899 m는 흰명아주, 900-1299 m는 털별꽃아재비가 출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랭지 밭의 잡초분포는 해발고도, 경사도가 낮을수록 흰명아주가 우점하고 해발고도와 경사도가 높을수록 털별꽃아재비가 우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요어: 고랭지 밭, 배추, 무, 잡초발생

Acknowledgeme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of “Research Program for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Development”(Project No. PJ01386504),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

Authors Information

Kim Chang Seok,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Junior Researcher, http://orcid.org/0000-0001-9454-5172

Kim Ki Deog,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Junior Researcher

Jee Sam Nyu,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Junior Researcher

Suh Jong Taek,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Senior Researcher

Oh Young Ju, Institute for future environmental eclogy Co., Ltd., President/CEO, http://orcid.org/0000-0001-8861-8558

References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fi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p. 865. Springer, New York, USA. 

2  Chang, Y.H., Kim, C.S. and Youn, K.B. 1990. Weed occurrence in upland crop fields of Korea. J. Weed Sci. 19(4):294-304. (In Korean) 

3  Choi, J.H., Choi, G.S., Choi, J.K., Yu, B.J. and Jeong, T.S. 1994. Turnip mosaic virus isolated from  

4  Porippa islandica Borb . Plant Pathol. J. 10(2):136-139. (In Korean) 

5  Curtis, J.T. and McIntosch, R.P. 1950. The interrrelations of certain analytic and synthetic phytosociological characters. Ecol. 31:434-455. 

6  Hahn, Y.l., Ahn, J.H., Kwon, M., Seo, H.W. and Kim, J.S. 1998. Surveys on disease occurrence in major horticultural crops in Kangwon alapine areas. Plant Pathol . J. 14(6):668-675. (In Korean) 

7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www.nature.go.kr). 2014.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Korea. 

8  Lee, I.Y., Oh, Y.J., Hong, S.H., Choi, J.K., Heo, S.J., et al. 2015. Weed flora diversity and composition on upland field of Korea. Weed Turf. Sci. 4(3):159-175. (In Korean) 

9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and Rural Affairs). 2006. Statistical yearbook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AFRA, Seojong, Korea. (In Korean) 

10  Park, J.E., Lee, I.Y., Park, T.S., Lim, S.T. and Moon, B.C. 2003.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upland field. Kor. J. Weed Sci. 22(3):272-279. (In Korean) 

11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p. 575. Ilchokak Inc., Seoul, Korea. (In Korean) 

12  Park, J.E., Lee, I.Y., Kim, C.S., Moon, B.C., Kwon, O., et al. 2006.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pasture of the Jeju Island. Kor. J. Weed Sci. 26(1):19-28. (In Korean) 

13  Raunkiaer, C. 1934. Plant life forms. Clarendon press, Oxford, UK. 

14  Thomas, A.G. 1991. Floristic composition and relative abundance of seedlings weeds in spring annual crops in Manitoba. Can. J. Plant Sci. 71:811-820. 

15  Wikum, D.A. and Shanholtzer, G.F. 1978. Application of the Braun-Blanquet cover-abundance scale for vegetation analysis in land development studies. Envir. Manag. 2(4):323-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