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ong, Jeon, Seo, Jeon, Yoon, and Bae: A Survey on School Members’ Awareness of the Supply of Natural Turfgrass in School Playgrounds in Korea

Eun Seol Jeong[1][2]Yong Jin Jeon[1]Jeong Won Seo[1][2]Kwon Seok Jeon[1]Jun Hyuck Yoon[1]Eun Ji Bae[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urveying school members who use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in 17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country. The survey contents included the level of awareness of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the pros and cons of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the purpose of natural turfgrass use and management status, and improvements to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As this was a survey of school members who were already using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there were many very positive evaluations of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and it was possible to identify in more detail the shortcomings felt by actual users. Improvements included the need for budget support for planting varieties resistant to traffic stress and managing natural turfgrass in order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natural turfgrass. Natural turfgrass is difficult to manage and is underused at specific times, so in areas where tracks or damage to traffic stress is concentrated, it is necessary to review some applications of other safety covering materials or conduct additional research on planting design using various natural turfgrass varieties.

Keyword



서 론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은 학생들에게 신체와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다른 피복재 운동장에 비해 환경적으로 보다 안전하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에서는 그 수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Chang et al., 2021; Han et al., 2015; Lavorgna et al., 2011; Fukuda and Suzuki, 2009; Meyers and Barnhill, 2004). 2014년 우리나라 초·중·고 및 특수학교의 학교운동장 수 11,673개소 중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은 807개소였지만(6.91%), 2020 년에는11,730개소 중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은 1,139개로(9.71%) 2014년 대비 크게 증가하였다(Chang et al., 2022; Han et al., 2015).

학교운동장은 학생들의 옥외 수업을 위한 장소이며, 쉬는 시간이나 정규 수업 후 스포츠 운동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아주 중요한 공간이다(Yang and Lee, 2020; Jeon and Son, 2010). 이러한 활동들을 통해 학생들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역의 고른 발달을 기대할 수 있다. 친환경 학교 공간은 인간과 자연이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학교 공간에 대한 긍정적인 기억과 감정, 소속감, 안정과 위안을 포함하는 심리적인 측면은 타인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한다(Krasny, 2020). 또한, 학교운동장은 학생 뿐만 아니라 교직원과 학부모, 지역 주민까지도 이용이 가능한 지역시설의 하나로 중요한 지역 공동 공간으로서 의미를 가진다(Choi, 2017).

도시 녹지 공간은 주민들에게 자연에 대한 중요한 접근을 제공하며, 녹지 공간 중에서도 학교운동장의 천연 잔디는 도시 식생의 상당 부분을 구성한다(Ignatieva et al., 2020).

천연잔디가 식재되어 있는 잔디밭은 학생들이나 지역주민들에게 다양한 생태환경을 직접적으로 제공하며, 건강 및 웰빙과 관련된 유익한 활동을 촉진, 휴식 공간의 제공 등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Barnes and Watkins, 2022; Francoeur et al., 2021; Barnes et al., 2020; Monteiro, 2017).

이처럼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은 이용자에게 안전하고 자연친화적 공간 제공 및 환경조절 기능의 우수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학교 구성원들의 선호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전문 관리 인력이 없고 예산이 넉넉하지 않기 때문에 잔디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Chang, 2019a; Han et al., 2015; Lim et al., 2015; Beard and Green, 1994).

Dichter (1966)은 인간은 소비와 같은 직접적 이용을 통해 얻은 심리적 만족감을 토대로 자신의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그 즐거움을 재현하려 하며, 구전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의사결정에 관한 위험을 축소시키려 한다고 했다. 현대사회는 많은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경험을 토대로한 감성적 설득이 많은 시대이고(Cho and Yoon, 2021), 인간은 새로운 의사 결정 전에 이의 경험자의 의견이나 정보를 얻어 대리시험사용(vicarious trial)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위험을 축소시킨다. 특히, 새로운 의사결정이 필요한 경우 위험감축 방안으로서 구전이 큰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이로써 기존의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만족도와 장·단점 및 개선사항 등을 들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을 이용하고 있는 학교 구성원을 대상으로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에 대한 인식 정도와 만족도에 관한 설문 조사를 통하여, 추후 학교운동장을 다른 피복재로의 전환을 기하는 학교나 신설 학교운동장 조성 시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의 적용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 보완사항 등을 점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천연잔디 운동장을 운영하고 있는 전국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공문으로 설문을 의뢰한 후 전화로 독려하여, 회신 받은 학교의 답변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각 설문 항목에 대하여 천연잔디가 미치는 영향(Influence ratio) 정도를 매우크다, 크다, 보통이다, 적다, 매우적다 등 총 5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잔디 운동장의 문제점과 관리 현황 등에 관한 자료(Chang, 2019b; Han et al., 2015; Beard and Green, 1994)를 기초로 하여 질문 문항을 작성하였다. 답변자에게는 소속, 나이, 성별 등 신상 질문을 제외하고 33문항이 주어졌으며, 공통 질문은 답변자 모두가 응답하고, 상위 질문에 따라 종류별로 해당되는 하위 질문에 답하도록 요구하였다. 질문별로 2-7개의 예 중 하나 또는 복수의 답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해당 답변이 없을 경우 기타에 적도록 하였다. 설문 답변자 767명 구성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선생님 114명, 교감 및 교장선생님 13명, 교직원은 88명, 학생 319명, 학부모는 233명이었으며, 학생 319명 중 초등학생 191명, 중학생 58명, 고등학생 70명이었다. 이들의 연령 분포는 10대 41.6%, 20대 3.7%, 30대 9.8%, 40대 31.4%, 50대 12.0%, 60대 이상 1.6%, 남녀 비율은 남자 40.5%, 여자 59.5%였다(Fig. 1).

Fig. 1

Circular diagram showing the percentage of natural turfgrass playground user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20306/N0260120306-f1.png

학교운동장 피복재 종류별 6가지 장·단점을 설정하였으며 장·단점의 척도를 조금 더 직관적으로 나타내어 한눈에 알아보게 하기 위해 사용자 전원의 답변을 백분율 변환하였다. 5개의 척도 옵션은 0에서 4까지의 숫자값으로 변환되었으며, 0은 가장 부정적인 응답 옵션에 해당하고, 4는 가장 긍정적인 응답 옵션에 해당한다. 결과 데이터는 R프로그램(version 4.3.1)과 ggplot2 (version 3.3.3) 패키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RStudio (Spotted Wakerobin release)를 사용하여 레이더 도표(radar chart or radar plot)로 나타내었다.

결과 및 고찰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을 사용하고 있는 구성원이 생각하는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이 신체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수치 변환하여 얻은 결과를 응답자 유형별로 살펴보면, 교직원이 86.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학부모 85.2점, 학생 74.9점의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별로 살펴보면, 여성이 82.1점으로 남성 79.9점 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연령별로는 50대 89.6점, 60대 이상 88.3점, 30대 85.3점, 40대 85.1점, 20대 76.4점, 10대 74.9점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1).

Table 1

The degree of influence that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have on users’ bodies and emotions, as judged by school members who use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20306/N0260120306-t1.png

이는 나이가 많을 수록 또한 남성보다는 여성들이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이 사용자의 신체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한다고 볼 수 있다.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이 사용자 중 학생들에게 정서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이라는 답변이 높게 나타났는데, 응답자 유형별로 살펴보면, 교직원이 89.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학부모 86.6점, 학생 77.4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이 84.5점으로 남성 82.2점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50대 90.8점, 30대 88.4점, 40대 87.5점, 60대 이상 85.0점, 20대 81.4점, 10대 77.4점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

The degree of influence that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have on students’ bodies and emotions, as judged by school members who use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20306/N0260120306-t2.png

이는 사용자가 학생 뿐만 아니라 누구든 천연잔디 운동장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또한 그것을 긍정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학교운동장이 가지는 긍정적 항목으로는 친숙함, 안전함, 편안함을 부정적 항목으로 미세먼지, 화상, 찰과상을 설정하였을 때, Fig. 2와 같이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은 친숙함 84.79, 안전함 78.20, 편안함 84.52로 확연하게 긍정적 항목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사토 학교운동장은 미세먼지 81.83, 찰과상 58.95로 이에 대한 우려가 크고, 인조잔디 학교운동장의 경우 화상 57.34로 여름철 화상에 대한 우려가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2

Radar chart showing the pros and cons of natural turfgrass playgrounds, artificial turf playgrounds, and clay sand playgrounds, converted into numbers (percentage, %) by natural turfgrass playground users' response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20306/N0260120306-f2.png

이는 이미 천연잔디 운동장을 이용하고 있는 학교 구성원들이기 때문에 천연잔디에 친숙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을 것이라 추정된다.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이 사용자의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미세먼지, 화상, 찰과상에 대해 다른 피복재 유형의 학교운동장에 비해 낮은 우려를 가진다고 해도 천연잔디 운동장이 가지는 단점이 있을 수밖에 없다.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의 가장 큰 단점으로는 천연잔디 운영 관리가 58.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잔디보호로 제한된 사용 21.0%, 천연잔디의 수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유형별, 성별, 연령별 모든 유형에서 천연잔디 운영 관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Table 3).

Table 3

The biggest disadvantage of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as judged by school members who use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20306/N0260120306-t3.png

또한, 생육 초기 답압에 의한 스트레스가 잔디의 생육저하 문제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른 봄철 운동장의 사용 제한 역시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생육초기 뿐만 아니라 천연잔디는 학교 구성원들의 다양한 활동들에 의한 답압으로 인한 피해가 크고(Chang et al., 2021; Kim et al., 2020; Han et al., 2015), 잔디의 특정 생육기(맹아 출현 전)의 천연잔디운동장 사용 제한과 운동장 사용 시기가 맞물려 불편이 가중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천연잔디 학교운동장 운영 및 관리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어려운 잔디 관리가 51.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동계 및 우기 중 낮은 활용도 21.8%, 전담 인력 부족 13.3%, 예산 부족 6.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유형별로 살펴보면, 교직원 62.8%과 학부모 58.8%는 어려운 잔디 관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 42.3%는 동계(우기)중 낮은 활용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응답 결과를 보인 것은 학생들은 직접적 사용자로서의 입장을, 교직원과 학부모는 관리자로의 입장에 서서 답변한 것으로 생각된다.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을 확산하기 위한 개선사항으로는, 답압으로 인한 잔디 고사 해결을 위한 답압에 강한 잔디 품종 식재가 31.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잔디 관리를 위한 기반 장비 및 시설(잔디깎기 기계, 스프링클러 시설 등) 보급과 관리 비용 지원 30.0%, 천연잔디 조성을 위한 예산 배정(정부지원) 28.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4).

Table 4

Improvements for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as judged by users who use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20306/N0260120306-t4.png

앞선 선행연구에서도 역시 학교 운동장의 관리 비용은 골프 코스관리 비용에 견주어 볼 때 관리 수준의 차이를 고려하더라도 비용 대비 배정 예산은 너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보고하였다(Yoo et al., 2009). 답압 스트레스를 적절하게 관리하고 잔디깎기, 시비 등 기본관리만 하면 연간 500만 원의 관리비용으로 양호한 운동장 유지가 가능하다는 보고가 있었지만(Han et al., 2015), 관리 운영비 지원과 천연잔디 조성 및 유지를 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학교운동장의 특성상 단시간에 많은 인원이 몰려나와 체육수업이나 행사가 이루어지는 만큼 잔디에의 순간적인 답압 스트레스가 매우 높다.

이에 학교운동장에서는 가능한 더 높은 수준의 답압 스트레스 저항성 품종의 육종 및 적용 역시 필요하다 생각된다.

천연잔디 학교운동장과 맨땅 학교운동장의 트랙 설치율이 매우 낮고, 체육관은 학교 유형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학교에서 보유하고 있다는 선행 연구결과가 있으며(Chang et al., 2021), 본 연구의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의 단점 역시 잔디 관리의 어려움과 우기 및 동계 사용제한의 불편함을 느낀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에 트랙이나 답압 집중 구역의 안전한 다른 피복재의 부분 적용 검토나 특정시기에 적정 수준의 학교 체육관 교차 사용으로 답압 스트레스의 분산, 잔디 품종별 운동장 식재 디자인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요약

본 연구는 전국 17개 시도의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을 사용하고 있는 학교 구성원을 대상으로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에 대한 인식 정도,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의 장단점, 천연잔디 활용 목적 및 관리현황,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의 개선사항 등을 설문하여 분석하였다.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을 이미 이용하고 있는 학교 구성원의 설문이다 보니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에 대한 매우 긍정적 평가가 많았고, 실제 사용자로서 느끼는 단점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천연잔디의 관리와 특성 시기의 낮은 활용도에 따른 어려움이 있는 바 트랙이나 답압 집중 구역의 안전한 타 피복재의 부분 적용 검토나 잔디 품종별 운동장 식재 디자인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funded by the Forest Biomaterial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Project No. FG0900- 2020-01).

Authors Information

Eun Seol Jeong, Forest Biomaterial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Postmaster researcher

Yong Jin Jeon, Forest Biomaterial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Bachelor researcher

Jeong Won Seo, Forest Biomaterial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Bachelor Researcher

Kwon Seok Jeon, Forest Biomaterial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Researcher

Jun Hyuck Yoon, Forest Biomaterial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Researcher

Eun Ji Bae, https://orcid.org/0000-0003- 4597-8873

References

1 Barnes, M.R., Nelson, K.C., Kowalewski, A.R., Patton, A.J. and Watkins, E. 2020. Public land manager discourses on barriers and opportunities for a transition to low input turfgrass in urban areas. Urban for Urban Green. 53:126745.  

2 Barnes, M.R. and Watkins, E. 2022. Differences in likelihood of use between artificial and natural turfgrass lawns. J. Outdoor Recreat Tour. 37:100480.  

3 Beard, J.B. and Green, R.L. 1994. The role of turfgrasses i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heir benefits to humans. J. Environ. Qual. 23(3):452-460.  

4 Chang, S.W. 2019a. A comparative study on management status of natural turfgrass and artificial turf playground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Weed Turf. Sci. 8(2):141-147. (In Korean)  

5 Chang, S.W. 2019b. Satisfaction survey on the types of playground for teachers and staff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Weed Turf. 8(1):49-56. (In Korean).  

6 Chang, S.W., Lee, J.H., Bae, E.J. and Kim, S.H. 2021.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playground types in elementary, middle, high and special schools in Korea. Weed Turf. Sci. 10(1):45-51. (In Korean)  

7 Chang, S.W., Lee, J.H., Bae, E.J. and Kim, S.H. 2022. A Study on the actual use of pesticides on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in Korea and the perception of chemical pesticides among school staffs. Weed Turf. Sci. 11(3):289-296. (In Korean)  

8 Choi, B.K. 2017. Challenges of mixed-use school complex focused on the regional education community. Archit. Research. 62(1):11-14. (In Korean)  

9 Cho, Y.J. and Yoon, S.J. 2021. Effects of online experiential value of beauty consumers on consumer happiness, brand trust and purchasing intent: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SNS word-of-mouth information characteristics. The Korea Entrepreneurship Society. 16(1):23-48. (In Korean)  

10 Dichter, E. 1966. How word-of-mouth advertising works. Harv. Bus. Rev. 44(6):147-166.  

11 Francoeur, X.W., Dagenais, D., Paquette, A., Dupras, J. and Messier, C. 2021. Complexifying the urban lawn improves heat mitigation and arthropod biodiversity. Urban for Urban Green. 60:127007.  

12 Fukuda, M. and Suzuki, N. 2009. The effect of lawn planting to the playground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ocial nature. Human Developmental Res. 23:153-162. (In Japanese)  

13 Han, S.W., Soh, H.S., Won, S.Y. and Ju, Y.C. 2015. Present state of turf management of school playgrounds in Gyeonggi province of Korea. Weed Turf. 4(4):405-412. (In Korean)  

14 Ignatieva, M., Eriksson, F., Eriksson, T., Kätterer, T., Tidåker, P., et al. 2020. Pros and cons of transdisciplinary research: A case study of Swedish lawns and their sustainable alternatives Urban for Urban Green. 56:126799.  

15 Jeon, Y.J. and Son, C.T. 2010. An ethnographic understanding of the playground as a spac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J. Anthropol. Educ. 13(2):29-54. (In Korean)  

16 Krasny, M.E. 2020. pp. 312. Advanc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actice. Cornell Univ. Press. Ithaca, NY. USA.  

17 Kim, K.D., Lee, J.H. and Chang, S.W. 2020. Quality difference of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playgrounds by human compaction intensity before and after spring green-up in school playground conditions. Weed Turf. Sci. 9(2):169-177. (In Korean)  

18 Lavorgna, J., Song, J., Beattie, Q., Riley, M., Beil, C., et al. 2011. Review of benefits and issues associated with natural grass and artificial turf rectangular stadium fields. Montgomery County Council, Rockville, MD, USA.  

19 Lim, J.B., Yu, J., Lee, J.Y. and Lee, K.S. 2015. Comparison of thermal effects of different school ground surface materials - A case of Yooljeon elementary school-. J Korean Assoc. Geogr Inf Stud. 18(2):28-44.  

20 Meyers, M.C. and Barnhill, B.S. 2004. Incidence, causes, and severity of high school football injuries on f ield turf versus natural grass. Am. J. Sports Medicine 32:1626-1638.  

21 Monteiro, J.A. 2017. Ecosystem services from turfgrass landscapes. Urban for Urban Green. 26:151-157  

22 Yang, T.Y. and Lee, K.I. 2020. Exploring school life experiences and coping behaviors of playgroundless middle school students focused on physical activity. Korean J. Sport Pedagogy. 27(2):65-84. (In Korean)  

23 Yoo, M.J., Lee, J.P., Joo, Y.K. and Kim, D.H. 2009. Analysis of maintenance expense in various golf courses. Kor. Turfgrass Sci. 23(1):61-76.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