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s on Sweet Persimmon Orchard Fields in Changwon, Gyeongnam Province

Research Article
이 성근  Sung Geun Lee1김 형우  Hyung Woo Kim1박 연주  Yeon Ju Park1Soo Jeong Ahn2신 현숙  Hyunsuk Shin1김 진국  Jin Gook Kim1,5마 경복  Kyeong Bok Ma3이 정주  Jeung Joo Lee4,5최 성환  Sung Hwan Choi1,5*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weed occurrence in sweet persimmon orchards in Changwon, Gyeongnam province.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weeds occurring a total of 33 families and 82 species of weeds were identified. Asteraceae 17 species (20.7%), Poaceae 9 species (11.0%), Polygonaceae 6 species (7.3%), and Caryophyllaceae 4 species (4.9%) in the order of occurrence. Bidens pilosa in Asteraceae, Digitaria violascens in Poaceae, and Persicaria longiseta in Polygonaceae were the most dominant species. By weed life cycle, annual weeds were the most common with 35 species (42.7%), followed by annual and biennial weeds with 8 species (9.8%), biennial weeds with 11 species (13.4%), biennial and perennial weeds with 2 species (2.4%), and perennial weeds with 26 species (31.7%). The number of non-selective herbicide applications in the sweet persimmon orchards was highest in the order of glyphosate-isopropylamine, glufosinate-ammonium, glyphosate-isopropylamine+MCPA, and glyphosate-isopropylamine+tiafenacil.

Keyword



서 언

우리나라 노지 과수재배 면적(성과수 기준)은 사과가 25,767 ha (20.9%)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은 감 19,162 ha (15.5%), 복숭아 15,326 ha (12.4%), 감귤 15,209 ha (12.3%) 순으로 넓다. 감은 떫은감과 단감이 각각 10,661 ha (55.6%), 8,501 ha (44.4%)를 차지하고 있으며 단감의 경우 경남(5,765 ha, 67.8%)과 전남(1,957 ha, 23.0%)에서 대부분 재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Statistics Korea, 2022). 과수원을 포함한 농경지의 잡초발생은 작물재배방식, 잡초방제방법, 경운 및 시비, 토양 및 기상환경 등의 영향을 받는다(Hirose and Yagi, 1966; Ueki et al., 1977; Ito et al., 1987). 과수원의 잡초는 과종, 수령, 정지방법 등에 의한 일조 조건 등의 차이로 잡초군락이 변한다. 또한 경사지에 위치한 과원에서는 숙근성 잡초가 우점하는 경향을 보이며 지면에 광이 도달하는 유목원에서는 바랭이가 우점하고 그렇지 않은 성목원에서는 포아풀이 우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Ueki et al., 1977). 번성한 잡초는 병해충의 기주 및 매개역할을 하거나 토양 내 양분과 수분의 경합을 일으켜 과수의 생장을 크게 저하시키는데 감귤 과원의 경우 경사지에는 다년생 잡초발생이 많고 계단식으로 조성된 재배지에는 일년생잡초가 많은 경향을 보인다(Hirose and Suzuki, 1981). 우리나라 과원의 잡초관리는 주요 발생초종과 잡초방제기술 중심의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며(Hwang et al., 2004, 2016; Jang et al., 2013; Jung et al., 1997; Kim et al., 2019; Lee et al., 2016; Lee et al., 2017a, 2017b; Park et al., 2005; Woo and Pyon, 1988; Yoo et al., 2007), 일부 과원의 제초제 처리와 토양환경에 대한 연구도 소개되어 있다(Choi et al., 2009; Chung et al., 2010a, 2010b). 2015년 전국조사에서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는 63과 492종으로 국화과 86종, 화본과 63종, 두과 29종, 사초과 23종, 마디풀과 22종 등의 순이었으며, 감 과원에서는 바랭이, 쑥 등 48종 229종의 발생을 보고(Lee et al., 2017b)하였다. 그러나 경남 지역 특히 단감 주산지에 대한 잡초발생 정보가 추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라 판단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런 조사결과는 단감원에 발생하는 잡초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단감의 생육환경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조사대상 선정

경남 창원지역의 단감 관행재배 35농가를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2021년 선정된 농가를 대상으로 단감 재배 기간 중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였고 추가로 재배와 관련된 내용이 포함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정보 기록을 요청하여 정리하였다. 기초현황으로 연령, 영농경력, 경작면적, 해발고도, 재배품종, 농약살포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잡초 초종 조사 방법

잡초 초종 조사는 단감원 내에 잡초가 평균적으로 발생한 20곳을 선정하여 각각 10 ㎡ (4 m × 2.5 m)에 발생한 잡초 초종을 조사하였다. 출현한 잡초 종에 대해서는 Raunkiaer (1934)의 생활형을 기준으로 일년생, 이년생 및 다년생을 구분하였다. 발생잡초는 7개 등급(5, 4, 3, 2, 1, +, r)을 기준으로 피도(被度)를 조사하였다(Braun-Blanquet, 1964). 각 등급별 조사기준은 피도가 조사면적의 76% 이상 출현할 때 5, 피도가 조사면적의 50~75% 출현시 4, 피도가 조사면적의 25~50% 출현시 3, 피도가 조사면적의 5~25% 출현시 2, 개체수는 많지만 피도가 조사면적의 10% 이하로 출현시 1, 낮은 피도로 적은 개체수 출현시 +, 극히 드물게 최소 피도의 출현은 r로 나타내었다(Wikum and Shanholtzer, 1978). 주요 조사항목은 초종별 빈도와 피도를 조사한 후 상대빈도(RF), 상대피도(RC), 우점도(중요치, IV) 등을 구하였다(Curtis and McIntosh, 1950). 본 논문에 사용한 학명과 국명 및 분류체계는 국가생물종목록(CBD-CHM Korea, 2021)에 의거하여 목록을 작성하였다.

Relative frequency (RF) (%) =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10403_image/Eq_WTS_11_04_03_eq1.png × 100

Relative cover (RC) (%) =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10403_image/Eq_WTS_11_04_03_eq2.png× 100

Important value (IV) = (RF + RC) / 2

결과 및 고찰

조사대상 현황

경남 창원지역의 단감 관행재배 35농가에 대하여 조사분석하였다. 기초현황으로 연령, 영농경력, 경작면적, 해발고도 등을 조사한 결과, 평균연령은 64.4세, 영농경력은 24.3년, 평균 경작면적은 23,971 ㎡, 평균 해발고도는 86.8 m로 확인되었다(Table 1). 단감 재배품종은 만생종인 부유(85.7%)를 가장 많이 재배하였고, 그 다음은 태추(40.0%), 원미(25.7%), 송본조생(17.1%), 조완(14.3%), 로망(8.6%) 등의 순이었다(복수 응답). 농가 소득 측면에서 볼 때 만생종에 편중된 재배에 따른 가격경쟁력 등의 문제로 조중생 단감 품종보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에 이에 대한 면밀한 잡초관리기술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단감 관행재배 농가의 평균 농약살포 횟수는 살충제 8.2회(43.9%,), 살균제 7.9회(42.2%) 처리에 비해 제초제는 2.6회(13.9%) 살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농약살포 시 10a 당 평균 살포물량은 314.8 L이었으며 농약희석용 물은 지하수 84.0%, 지표수 16.0%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조사대상 35농가에서 사용된 비선택성 제초제를 보면, glyphosate-isopropylamine 24농가(26.1%)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glufosinate-ammonium 23농가(25.0%), glyphosate-isopropylamine+MCPA 15농가(16.3%), glyphosate-isopropylamine+tiafenacil 12농가(13.0%) 순이었다(복수 응답). 농가별 제초제 살포횟수는 2.6±1.0회 수준이었다(Table 3).

Table 1. General information of surveyed farms (average±SD).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10403_image/Table_WTS_11_04_03_T1.png

Table 2. General spray information in surveyed farms (average±SD).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10403_image/Table_WTS_11_04_03_T2.png

Table 3. The number of non-selective herbicides applications in the sweet persimmon orchard.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10403_image/Table_WTS_11_04_03_T3.png

yMoA : Mode of Action

zNo. of used means the sum of all surveyed 35 farms

G; Amino acid biosynthesis inhibitor (inhibition of EPSP synthase)

H; Amino acid biosynthesis inhibitor (inhibition of glutamine synthase)

O; Auxin action inhibitor (action like indole3-acetic acid)

E; Pigment biosynthesis inhibitor/Chlorophyll biosynthesis inhibitor

L; Inhibition of cell wall(cellulose) synthesis

발생 잡초 현황

경남 창원지역의 단감 과원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한 결과, 총 33과 82종이 발생되었다(Table 4, 7). 국화과 17종(20.7%), 화본과 9종(11.0%), 마디풀과 6종(7.3%) 및 석죽과 4종(4.9%)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발생 종이 가장 많은 국화과의 중요치(IV)를 살펴보면, 울산도깨비바늘이 3.42로 가장 우점하는 잡초 종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엔 뽀리뱅이 3.22, 쑥 3.09, 서양민들레 1.72, 큰망초 1.69, 벌씀바귀 1.49의 순이었다. 화본과의 중요치(IV)는 민바랭이가 3.11로 가장 높았으며, 강아지풀과 바랭이는 모두 2.18로 확인되었다. 마디풀과의 개여뀌는 중요치(IV)가 3.60으로 발생 초종 중에 가장 우점하는 잡초 종으로 확인되었으며, 며느리배꼽과 소리쟁이의 중요치는 각각 2.09, 1.12 수준이었다.

Table 4. Ratio of occurred weeds in sweet persimmon orchard fields by families in Changwon, Gyeongnam Province.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10403_image/Table_WTS_11_04_03_T4.png

잡초 생활사별로는 일년생잡초가 35종(42.7%)으로 가장 많았고, 일년생 또는 이년생잡초가 8종(9.8%), 이년생잡초가 11종(13.4%), 이년생 및 다년생잡초가 2종(2.4%), 다년생잡초가 26종(31.7%)이 조사되었다(Table 5, 7).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일년생, 이년생 및 다년생으로 정확하게 구분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우리나라 과수원에 출현한 식물의 생활형 조성은 일년생식물-단립식물-중력산포형-직립형(Th-R5-D4-e)으로 나타난다는 보고(Kim et al., 2019)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한편 과수원은 대체로 산과 인접하고 있기 때문에 산야초의 유입으로 인한 발생초종의 증가 및 다년생잡초 발생비율이 증가된다는 결과와 다소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 조사대상지 단감원의 위치, 낮은 해발고도 등을 고려할 때 원활한 예취, 제초작업 등에 의한 인위적인 생태계 교란으로 상대적으로 적응력이 뛰어난 일년생잡초 발생이 더 용이하게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5. Classification of occurred weeds in sweet persimmon orchard fields by life cycle.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10403_image/Table_WTS_11_04_03_T5.png

덩굴성 식물은 주변 식물의 광을 차단시켜 광합성을 방해하여 작물생장에 지장을 초래하며 과수 생육환경을 크게 저하시킨다. 경남 창원지역 단감원에 발생하는 덩굴성 식물은 전체의 17.1% 수준이며 덩굴성 초본식물은 총 10종(12.2%)으로 메꽃의 중요치(IV)는 3.2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환삼덩굴 3.02, 며느리배꼽 2.09, 새팥 1.09, 닭의덩굴 0.82, 며느리밑씻개 0.75, 박주가리와 꼭두선이 0.55, 덩굴팥 0.45, 나팔꽃 0.51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덩굴성 목본식물은 총 4종(4.9%)으로 청미래덩굴의 중요치(IV)가 0.55로 가장 높았으며, 댕댕이덩굴 0.45, 개머루 0.32, 계요등 0.25 등의 순으로 나타나 창원지역 단감원에서 과수 생육환경을 저하시키는 초종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덩굴성 식물은 호광성의 특성을 보이며 단감원 발생 시 큰 피해가 우려된다(Table 6, 7).

Table 6. The list of occurred vine weeds in sweet persimmon orchard field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10403_image/Table_WTS_11_04_03_T6.png

Table 7. Top 10 weed species ranked by importance values(IV) occurred in sweet persimmon orchard fields in Changwon, Gyeongnam Province.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10403_image/Table_WTS_11_04_03_T7.png

wa: annual; b: biennial; p: perennial. xRF: Relative frequency. yRC. Relative cover. zIV: Importance values.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남 창원지역의 단감원에 발생하는 잡초현황을 조사 분석한 결과, 국화과(20.7%), 화본과(11.0%), 마디풀과(7.3%), 석죽과(4.9%) 등의 순으로 많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되었다. 이는 2015년 전국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 현황과 군락 변화 조사 결과에서 국화과 86종(17.5%)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그 다음으로 화본과 63종(12.8%), 두과 29종(5.9%) 순으로 발생한다고 보고(Lee et al., 2017b)와 매우 유사한 경향이었다.

과원에 발생하는 잡초는 지리적 위치, 잡초방제방법, 영농형태 등에 따라 일반 농경지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과원에 발생하는 잡초를 방제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비선택성 제초제를 살포하는 실정이다(Chun et al,. 2000).

따라서 단감원의 잡초현황 및 잡초군락의 변화를 조사하여 효율적인 방제수단을 강구해야 하고 대표적인 방제방법인 비선택성 제초제 살포로 인한 재배작물과 주변작물의 약해, 비표적 생물에 대한 피해, 자연 생태계에 대한 악영향 등 부정적인 결과가 초래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Acknowledg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joint research project from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 (Project number: PJ016041022021).

Authors Information

Sung Geun Lee, Division of Horticultu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Master Student

Hyung Woo Kim, Division of Horticultu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Master Student

Yeon Ju Park, Division of Horticultu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Master Student

Soo Jeong Ahn, Agricultural Corporation ERANG Co., Ltd., CEO

Hyunsuk Shin, Division of Horticultu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Jin Gook Kim, Division of Horticultu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Kyeong Bok Ma,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esearcher

Jeung Joo Lee, Department of Plant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Sung Hwan Choi, Division of Horticultu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References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fi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 Wien-New York, USA. p. 865.  

2 CBD-CHM Korea. 2021. National Biology List of Species. https://www.kbr.go.kr/index.do (Accessed Feb. 23. 2022)  

3 Choi, D.G., Seo, B.S. and Kang, I.K. 2009. Changes of soil, growth, and fruit quality by soil surface management under tree in sod culture of apple orchard. Kor. J. Horti. Sci. Tech. 27(2):174-180. (In Korean)  

4 Chun, J.C., Lee, S.J., Lim, S.J. and Kim, S.E. 2000. Change in weed population in pear orchard by sequential applications of non-selective herbicides. Kor. J. Weed Sci. 20(1):39-45. (In Korean)  

5 Chung, D.Y., Kim, P.J., and Park, M.S. 2010a. Effects of rainfall events on soil in orchard field under herbicide treatment. 1. Temporal characteristics in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Korean J. Soil Sci. Fert. 43(1):25-35.  

6 Chung, D.Y., Park, M.S., Lee, K.S., and Lee, J.H. 2010b. Effects of rainfall events on soil in orchard field under herbicide treatment. 2. Characteristics of runoff and soil erosion. Korean J. Soil Sci. Fert. 43(1):36-43.  

7 Curtis, J.T. and McIntosch, R.P. 1950. The interrrelations of certain analytic and synthetic phytosociological characters. Ecol. 31:434-455.  

8 Hirose, K. and Yagi, M. 1966. Ecological analysis weeds in temperate zone fruit orchard in Japan. Bull. Horticult. Res. Stn. Ser. B 5:165-168.  

9 Hirose, K. and Suzuki, K. 1981. Weeds in citrus orchard and their control in Japan. FFTC Book series No.20:211-215.  

10 Hwang, J.B., Kim, S.C., Song, S.B., Lee, D.C., Park, S.T., et al. 2004.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weed flora in orchards of the Yeongnam Area. Kor. J. Weed Sci. 24(1):43-50. (In Korean)  

11 Hwang, K.S., Roh, S.W., Lee, Y.M., Kim, J.Y., Lee, J.S., et al. 2016. The survey of weed occurrence at grape orchard in Chungnam province. Weed Turf. Sci. 5(3):177-180. (In Korean)  

12 Ito, M., Iyama, Y. and Ueki, K. 1987. Changes in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orchard ground cover in relation to light conditions. Weed Res. Japan 32:292-299.  

13 Jang, I, Kim, H.M., Park, Y.S., Lee, J.D., Kim, S.M. et al. 2013. Weed control efficacy and growth of pear tree according to several weed control method in pear orchard. Weed Turf. Sci. 2(1):23-29. (In Korean)  

14 Jung, J.S., Lee, J.S. and Choi, C.D. 1997. Weed occurrence in apple orchard in Korea. Kor. J. Weed Sci. 17(2):147-156. (In Korean)  

15 Kim, M.H., Nam, H.K., Eo, J.U. and Song, Y.J. 2019. Floristic features of orchards in South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7(4):447-466. (In Korean)  

16 Lee, C.Y., Park, J.S., Lee, H.D., Kim, E.J., Hong, E.Y., et al. 2016.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weeds on orchard Fields in Chungbuk province of Korea. Weed Turf. Sci. 5(2):71-81. (In Korean)  

17 Lee, I.Y., Oh, Y.J., Hong, S.H., Heo, S.J., Lee, C.Y., et al. 2017a. Occurrence of weed flora and changes in weed vegetation in orchard fields of Korea. Weed Turf. Sci. 6(1):21-27. (In Korean)  

18 Lee, I.Y., Oh, Y.J., Park, J.S., Hong, S.H., Choi, J.K., et al. 2017b.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arable fields of Korea. Weed Turf. Sci. 6(2):86-108. (In Korean)  

19 Park, J.E., Lee, I.Y., Kim, C.S., Cho, J.R., Kang, J.G., et al. 2005.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and weed community on orchard field in the Korea. Kor. J. Weed Sci. 25(4):267-274. (In Korean)  

20 Raunkiaer, C. 1934. Plant life forms. Clarendon press. Oxford, UK.  

21 Statistics Korea. 2022. Cultivation area of orchard crop. https://kostat.go.kr (Accessed Oct. 27. 2022)  

22 Ueki, K., Ito, M. and Oki, Y. 1977. Fundamental study on the weed control in orchard - Effects of shading by trees on the structure of weed community. Weed Res. Japan 22(1):19-24.  

23 Wikum, D.A. and Shanholtzer, G.F. 1978. Application of the Braun-Blanquet cover-abundance scale for vegetation analysis in land development studies. Environ. Manage. 2(4):323-329.  

24 Woo, I.S. and Pyon, J.Y. 1988. Characterization of weed occurrence in apple orchards. Kor. J. Weed Sci. 8(2):164-168. (In Korean)  

25 Yoo, Y.C., Lee, C.W., Song, B.H., Oh, S.H,, and Choi, N.G. 2007. Weeding efficacy of cultivating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as a cover crop in orchard. Kor. J. Weed Sci. 27(2):140-147.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