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f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aff on the Types of Playgroun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The Korean Society of Weed Science and The Turfgrass Society of Korea
장 석원  Seog-Won Chang1*

Abstract

There are three types (natural grass, artificial turf, and bare playgrounds) of school playgrounds in Korea. Knowing the thoughts of perception of students, teachers and staff, and student parent on the school playgrounds can be very important.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subject. This study is based on questionnaires received from 79 schools (27 natural grass, 23 artificial turf, and 29 bare playground schools) of 39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here one of three types of playground is installed.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teachers and staff, and student parent according to the three types of school playground was in the order of natural grass>artificial turf>bare playground. Teachers and staff answered student safety (83.8%) and nature-friendly environment (90.9%), respectively, as the greatest advantages of a natural grass playground. They expressed different opinions by saying that the biggest disadvantage of natural grass playgrounds are limited use (71.1%) and difficult management (63.6%), respectively. Teachers and staff also answered that the most important advantage of artificial turf playground are available facilities throughout the year, but the biggest disadvantages are high injury risk (71.1%) and environmental hazard (72.7%). They responded with the greatest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bare playground as the sympathy with nature and use restrictions during the rainy season. Assuming that they would set up a playground at their next workplace, the playground type they wanted to select was in the order of natural grass>artificial turf>bare playground. They answered that difficulty of playground management, student safety, and environmental risk are important as selection criteria.

Keyword



서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이하 초중고교) 학교운동장은 학생들의 야외 수업을 위한 장소이며, 정규 수업 후 다양한 놀이를 통해 교우 관계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다(Kim, 2014). 학생들은 운동장에서 체육 활동을 통해 신체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교우관계를 통해 정서 함양과 사회성을 높일 수 있다(Lee, 2013).

우리나라에서 초중고교 학교운동장은 11,673개가 있으며, 이 중에 천연잔디운동장은 807개, 인조잔디운동장은 1,858개이고, 나머지는 맨땅운동장으로 운영되고 있다(Han et al., 2015). 이들 학교운동장은 피복 소재가 천연잔디나 인조잔디로 조성되었거나 없다는 점에서 각각 뚜렷한 장점과 단점을 갖는다(Turfgrass Resource Center, 2009). 대부분의 학교 천연잔디운동장은 한국잔디인 들잔디로 조성되어 있어 잔디가 주는 다양한 정서적, 친환경적 혜택이 있지만, 겨울에는 휴면에 들어가기 때문에 인조잔디운동장처럼 사계절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맨땅운동장은 관리비용이 매우 적게 필요하지만 비가 올 때나 비가 온 뒤 배수가 원활하지 않으면 이용자가 불편하기 때문에 사용 시간에 제약을 받는다 (Turfgrass Resource Center, 2009).

그러한 이유로 학교운동장은 학생 안전 및 환경 오염, 조성 및 관리 비용, 내구연한, 운영 가능 시간 등 학교의 여건에따라 선택되어 조성되고 있다(Kim, 2015). 최근에는 많은 인조잔디운동장이 내구연한에 따른 교체 비용과 중금속 등 유해 물질의 검출 등 비용 증가와 안전에 대한 우려 때문에 천연잔디운동장이나 마사토 운동장으로의 전환이 늘어나고있는 추세에 있다(Layt, 2015; Park and Cho, 2007).

초중고교 학교운동장의 종류는 학교 구성원인 학생, 교사, 학부모의 만족도가 다를 수 있다. 특히 교사(또는 교장과교감)와 직원은 학교 운동장을 새롭게 조성하거나 다른 종류의 운동장으로 전환할 때 직간접적으로 의사결정 과정에 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들의 만족도 파악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보다 청결하고 안전한 학습환경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국의 초중고교에 근무하 고 있는 운동장 관리 담당 교사 또는 직원에게 운동장 종류별 만족도 조사를 의뢰하여 받은 자료를 정리하여 분석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천연잔디운동장, 인조잔디운동장, 맨땅운동장을 운영하고 있는 전국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운동장 종류별로 서울, 경기, 강원, 충청, 경상, 전라, 제주 등 권역별로 10-30개 학교, 총 390개 학교)에 우편으로 설문을 의뢰한 후 회신 받은 79개 학교(천연잔디운동장 27개, 인조잔디운동장 23개, 맨땅운동장 29개 학교)의 답변 내용을 정리,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Beard and Green (1994)의 자료를 참고하여 질문 문항을 작성하였다. 답변자에게는 소속, 나이, 성별 등 신상 질문을 포함해 16개의 질문이 주어졌으며 질문당 2-7개의 예 중 하나 또는 복수의 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해당 답변이 없을 경우 기타에 적도록 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학교 및 답변자 정보는 Table 1과 같다. 설문 답변 자 중 45명은 교사였으며, 그들의 지역 분포는 서울/경기권 16명, 강원 22명, 충청권 2명, 경상권 3명, 전라권과 제주는 각 1명이었다. 답변자들의 소속 학교는 초등학교 15.6%, 중학교 33.3%, 고등학교 51.1%였다. 이들의 연령 분포는 30대 17.8%, 40대 22.2%, 50대 55.6%, 60대 4.4%, 남녀 비율은 남자 82.2%, 여자 17.8%였다. 설문 답변자 중 직원은 34명이었다. 직원들의 지역 분포는 서울/경기권 6명, 강원 6명, 충청권 3명, 경상권 12명, 전라권 5명, 제주 2명이었다. 소속 학교는 초등학교 26.5%, 중학교 20.5%, 고등학교 26.5%, 기타(대안 학교 및 특수 학교) 26.5%였다. 이들의 연령 분포는 30대 11.8%, 40대 50.0%, 50대 38.2%였고, 남녀 비율은 남자 79.4%, 여자 20.6%였다.

Table 1. Information on the schools and respondents used in this survey.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080106_image/Table_wts_08_01_06_T1.jpg

zElementary: elementary school, middle: middle school, high: high school, special: special school.

결과 및 고찰

학교 구성원인 학생, 교사와 직원, 학부모의 운동장 만족도는 Table 2와 같다. 본 설문에 참여한 교사와 직원은 40대와 50대가 다수(교사 77.8%, 직원 88.2%)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재직하고 있는 학교를 포함해 여러 학교에 근무하면서 경험한 천연잔디운동장, 인조잔디운동장, 맨땅운동장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학교 구성원 모두 천연잔디운동장>인조잔디운동장>맨땅운동장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Han et al. (2015)의 학생과 교직원의 천연잔디운동장 만족도가 높다는 연구 결과와 비슷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생과 학부모의 의사는 교사 또는 직원을 통해 간접적으로 받았기 때문에 직접 설문에 비해 정확성의 한계는 있었지만 교직원의 응답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Table 2. Satisfaction survey on the three types of school playgrounds by teachers and staff, and student parent.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080106_image/Table_wts_08_01_06_T2.jpg

zForty-five teachers and 34 staff of school responded to the survey. The teachers and staff replied on behalf of students and parents.

교사와 직원이 생각하는 천연잔디운동장의 장점은 Table 3과 같다. 교사는 천연잔디운동장의 가장 큰 장점으로 학생들의 안전(83.8%)을 가장 많이 꼽았으나, 직원은 운동장의 자연친화적인 환경(90.9%)으로 대답하여 차이를 보였다. Potter (1998)는 그의 저서에서 천연잔디는 도심의 녹지공간 확충에 기여하고 있으며, 그 공간은 인간의 정신적, 물리적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고 기술한 바 있다. 따라서 교사와 직원은 답변의 차이를 보이기는 했지만, 천연잔디로 조성 된 학교운동장이 학생들에게 안전하고 정신 건강에 도움이 크다는 의미의 대답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교사와 직원이 생각하는 천연잔디운동장의 단점은 크게 달랐다. 교사는 천연잔디운동장의 제한된 사용(71.1%)이 가장 큰 단점이라고 대답하였으나, 교직원 중 63.6%는 잔디 깎기, 잦은 관수, 농약과 비료의 살포 등 관리의 어려움을 꼽아 다른 의견을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교사와 직원에게 주어진 업무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보인다. 교사는 수업을 진행하는 당사자이기 때 문에 여름철 우기나 추운 겨울철에 천연잔디운동장이 사용하기에 불편하다는 점을 먼저 느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학교에서 직접 운동장을 실무적으로 또는 행정적으로 관리(또는 감독)해야 하는 직원의 입장에서는 천연잔디운동장이 다른 유형의 운동장보다 상대적으로 관리가 어려웠던 점을 단점으로 생각한 것으로 판단된다. Han et al. (2015)은 경기도 학교운동장의 담당자들이 천연잔디운동장의 가장 큰 어려움이 잔디관리라고 보고한 바 있다.

Table 3. Characteristics of advantage and disadvantage for the type of natural grass playground by teachers and staff.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080106_image/Table_wts_08_01_06_T3.jpg

zForty-five teachers and 34 staff of school responded to the survey.

반면에 교사와 직원들은 인조잔디운동장의 장점으로 연중 사용 가능하다는 점을 응답자의 각각 70.0%와 63.6%가 꼽았다(Table 4). Turfgrass Resource Center (2009)도 인조잔디운동장의 가장 큰 장점으로 기상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을 보고한 바 있다. 반면에 인조잔디운동장의 가장 큰 단점으로 교사와 직원은 각각 학생들의 부상 위험(71.1%)과 환경 오염(72.7%)을 들어 다른 의견을 보였다. Lim et al. (2015)은 인조잔디운동장의 한낮의 공기 중 온도가 천연잔디운동장이나 마사토운동장보다 각각 0.85℃, 0.66℃ 높아서 기온 저감 및 열쾌적성 효과가 낮게 나타난다고 지적한 바 있다. Buskirk et al. (1971)과 Lim et al. (2015)도 인조잔디의 높은 표면 온도로 인한 이용자의 부상을 우려하였다. 또한 Kim(2015)도 인조잔디운동장에서의 납, 카드뮴 등의 중금속 검출을 보고한 바 있다. 현장에서는 인조잔디운동장에서의 학생 부상과 중금속 등 오염물질에 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Cha, 2008).

Table 4. Characteristics of advantage and disadvantage for the type of artificial turf playground by teachers and staff.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080106_image/Table_wts_08_01_06_T4.jpg

zForty-five teachers and 34 staff of school responded to the survey.

맨땅운동장의 장점에 대한 교사와 직원의 설문 결과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Table 5). 교사와 직원 응답자의 각각 62.2%와 68.2%는 맨땅운동장이 자연 친화적이라고 하였고, 그 다음으로 낮은 관리비용(30% 이상)을 꼽았다. 맨땅운동장이 자연친화적이라고 답한 이유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학생들이 흙을 만질 기회가 적기 때문에 자연과 접촉할 환경을 준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data not shown). 하지만 맨땅운동장의 흙은 기상환경이 나빠지게 되면 단점으로 작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와 직원은 비가 올 때 맨땅운동장이 질척거리고 학생들의 발자국 등으로 인해 실내가 더러워져 사용하기에 불편하다는 의견이 각각 응답자의 60.0%와 77.3%였기 때문이다. 기타 작은 돌, 거친 흙 바닥 등으로 인 한 부상 위험이 맨땅운동장의 단점이라고 답을 한 의견이 각각 37.8%와 18.2%로 높게 나타났다.

Table 5. Characteristics of advantage and disadvantage for the type of bare playground by teachers and staff.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080106_image/Table_wts_08_01_06_T5.jpg

zForty-five teachers and 34 staff of school responded to the survey.

교사와 직원들에게 다음 근무지에서 운동장 선택 및 조성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어떤 종류를 택할 것인지에 관한 설문을 조사하였다(Table 6). 그들은 천연잔디운동장>인조잔디운동장>맨땅운동장 순으로 선택하여 같은 의견을 보였다. Han et al. (2015)이 보고한 설문에서도 천연잔디운동장을 관리하고 있는 담당자의 약 70%가 다시 천연잔디운동장을 선택하겠다는 대답과 같은 의견이었다. 하지만 학교 직원은 교사보다 천연잔디운동장의 선택 비율이 낮았고, 맨땅운동장 의 선택 비율이 훨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Table 3에서처럼 천연잔디운동장에 대한 관리 부담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Table 6. Playground type that teachers and staff would like to choose.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080106_image/Table_wts_08_01_06_T6.jpg

zForty-five teachers and 34 staff of school responded to the survey.

운동장 선택 기준에서 교사와 직원 답변자의 32.5%와 22.7%가 각각 관리의 난이도를 가장 중요한 선택 기준으로 답변하였다(Table 7). 초중고교에서 천연잔디운동장과 인조잔디운동장이 지속적으로 확산하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쉽고 간편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교사는 학생들의 안전, 환경 오염 정도 순서로 응답하였으나, 직원은 환경 오염 정도, 학생들의 안전 순서로 대답하여 서로 다른 의견을 보였다. 기타 의견으로 교사의 16.3%와 직원의 40.9%는 학교 실정에 맞게 선택하거나 실내 체육관 시설이 있기 때문에 운동장 종류가 중요하지 않다는 응답을 하였다.

Table 7. Criteria of teachers and staff when choosing a type of playground of school.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080106_image/Table_wts_08_01_06_T7.jpg

zForty-five teachers and 34 staff of school responded to the survey.

설문 조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천연잔디운동장이나 인조잔디운동장이 맨땅운동장에 비해 학교 구성원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교사와 직원의 학교운동장 조성과 관리에 대한 의견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추 가적으로 두 종류의 운동장에 대한 조성과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보완할 경우 학습환경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만족도가 더 높아지고 맨땅운동장을 대체하는 대안 학습공간으로서의 천연잔디운동장과 인조잔디운동장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NRF- 2018R1D1A1B07041214). I thank the financial support of NRF. Also, I am deeply grateful for the amazing assistant of my undergraduate student, Lim Ho-Dong.

References

1  Beard, J.B. and Green, R.L. 1994. The role of turfgrasses i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heir benefits to humans. J. Environ. Qual. 23(3):452-460. 

2  Buskirk, E.R., McLaughlin, E.R. and Loomis, J.L. 1971. Microclimate over artificial turf. J. Health, Phys. Ed. Rec. 42:29-30. 

3  Cha, S.W. 2008. A study on soil pollution of elementary school grounds in Ulsan city. J. of Korean Soc. of School Health 21(2):1-7. 

4  Han, S.W., Soh, H.S., Won, S.Y. and Ju, Y.C. 2015. Present state of turf management of school playgrounds in Gyeonggi province of Korea. Weed Turf. 4:405-412. (In Korean) 

5  Kim, D.R. 2014. An analysis on prim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yard environment. J. Kor. Soc. Environmental Education 27:314-329. (In Korean) 

6  Kim, S.J. 2015. Artificial lawns at 174 schools contaminated. The Korea Times. http:// www.koreatimes.co.kr (Accessed Oct. 6, 2015). (In Korean) 

7  Layt, T. 2015. Artificial turf is an alternative to concrete not grass. http://www.landscapegardeningplants. com/landscape news/turfvsfake (Accessed Sep. 29, 2015) 

8  Lee, J.W. 2013. Study on the ways of promot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middle-school considering school athletes and public access.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 Sejong, Korea. (In Korean) 

9  Lim, J.C., Yu, J., Lee, J.Y. and Lee, K.S. 2015. Comparison of thermal effects of different school ground surface materials - A case of Yooljeo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28-44. (In Korean) 

10  Park, B.J. and Cho, J.Y. 2007. Content of mineral elements, heavy metals, total coliform and benzo (a) pyrene of turfgrass planting at playground soil in elementary school of Jeollabuk-do. J. of Env. Impact Assessment 16:241-250. (In Korean) 

11  Potter, D.A. 1998. Destructive turfgrass insects biology, diagnosis, and control. Ann Arbor Press, Michigan, USA. 

12  Turfgrass Resource Center. 2009. Natural grass and artificial turf: separating myths and facts. http:// www.TurfResourceCenter.org. (Accessed Jan. 17,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