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Playground Types in Elementary, Middle, High and Special Schools in Korea

Research Article
장 석원  Seog-Won Chang1*이 정호  Jeong-Ho Lee2배 은지  Eun-Ji Bae2김 신후  Shin-Hu Kim1

Abstract

Knowing the playground types of elementary, middle, high, and special schools nationwide and alternative playground facilities can be of great help in understanding the learning environment of students. In this study, the playground numbers of elementary, middle, high, and special schools were surveyed from each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 addition, we visited 102 schools nationwide to investigate the rate of track installatio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gymnasium. The playground numb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and special schools nationwide were 11,730. Among the types of the playground, the order with the highest number was bare ground playground>artificial turf playground>natural turfgrass playground. The provinces where the proportion of natural turfgrass playground was over 20% wer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eollabuk-do, Gangwon-do, and Jeollanam-do. Among the school types, the percentage of natural turfgrass playground in special schools was the highest at 44.7%. Among the playground types, the artificial turf playground had the highest track installation rate. The rate of track installation in the natural turf playground and bare ground playground was very low. Gymnasiums were owned by most schools regardless of school type.

Keyword



서 언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학교(이하 초·중·고·특수 학교) 운동장은 학생들의 야외 수업을 위한 장소이며, 정규 수업 후 다양한 놀이를 통해 교우관계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다(Kim, 2014). 학생들은 학교 운동장에서 체육활동과 교우관계를 통해 신체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정서함양과 사회성을 높일 수 있다(Lee, 2013)

Han et al. (2015)은 2014년 우리나라 초·중·고·특수 학교 운동장이 11,673개가 있으며, 이 중에 천연잔디운동장은 807개, 인조잔디 운동장은 1,858개이고, 나머지는 맨땅운동장이라고 보고한 바 있다. 이들 학교운동장 유형은 피복 소재가 천연잔디나 인조잔디로 조성 되었거나 없다는 점에서 각각 뚜렷한 장점과 단점을 갖는다(Turfgrass Resource Center, 2009).

천연잔디학교운동장은 학교 구성원들에게 주는 다양한 정서적·친환경적 혜택이 있지만, 겨울에는 휴면에 들어가기 때문에 사계절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Chang et al., 2020). 맨땅운동장은 관리비용이 거의 들어가지 않지만, 비가 올 때나 비가 온 뒤 배수가 원활하지 않다면 일정 시간 동안 이용자에게 큰 불편을 준다(Turfgrass Resource Center, 2009). 인조잔디 운동장은 관리비용이 적고 사계절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학생의 안전과 환경 오염에 대한 우려, 일정 기간 후에는 교체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Layt, 2015; Lee et al., 2011; Lim et al., 2015; Min and Kim, 2014).

우리나라에서 학교운동장은 선택 과정에서 학생의 안전과 환경오염에 대한 구성원의 입장, 조성 및 관리비용에 대한 고려 등 다양한 변수가 작용하고 있고 학교장이나 학교 구성원의 의사에 따라 운동장 유형이 결정되고 있다(Chang, 2019; Kim, 2015). 본 연구에서는 전국 시도 교육청을 통해 학교 유형(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학교)별로 학교운동장의 수를 파악하였다. 또한 전국 102개 학교를 방문하여 트랙의 설치 및 체육관 보유 유무도 조사하였다. 초·중·고·특수 학교 운동장 유형, 트랙과 체육관 보유 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학생들의 학습 환경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그 조사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전체 학교 수 대비 학교운동장 유형 비율 조사

본 조사 자료는 우리나라 각 시·도 교육청에 전자공문을 보내 전체 학교와 학교운동장 유형의 자료를 받아 집계하였다. 각 시도 교육청으로부터 받은 자료로부터 우리나라 초·중·고·특수 학교의 운동장 수를 파악하였고, 학교 유형별로 천연잔디운동장, 인조잔디운동장, 맨땅운동장 수를 집계하여 정리하였다.

학교 유형별 트랙 및 체육관 보유율 조사

학교유형별 운동장 트랙 및 체육관 보유율은 2020년 4월부터 10월까지 천연잔디운동장(37개 학교), 인조잔디운동장 (30개 학교), 맨땅운동장(35개 학교)이 조성되어 있는 전국의 초등학교(21개 학교), 중학교(20개 학교), 여자고등학교(21개 학교), 남자고등학교(19개 학교), 특수학교 (21개 학교) 등 총 102개 학교에 공문을 보냈고 방문 조사를 허락 받은 후에 직접 현장에서 확인하였다. 대상 학교의 지역별 분포는 강원도 26개교, 수도권 34개교(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포함), 충청권 26개교(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포함), 전라권 3개교(광주광역시 포함), 경상권(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포함)은 13개교였다. 학교 간에 차이를 비교한 분석은 평균과 표준편차 값은 엑셀(Microsoft Office Professional Plus 2010, Microsoft Corporation, Redmond, USA)의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결과 및 고찰

각 시도 교육청으로부터 자료를 받아 집계한 우리나라 17개 시도의 학교운동장 수는 11,730개였다(Table 1). 이 중 천연잔디운동장은 1,139개(9.7%), 인조잔디운동장(12.2%)은 1,432개, 맨땅운동장은 8,458개(72.1%)였다. Han et al. (2015)은 2014년 우리나라 초·중·고교 및 특수학교의 운동장은 11,673개가 있으며, 이 중에 천연잔디운동장은 807개(6.9%), 인조잔디 운동장은 1,858개(15.9%)이고, 나머지는 맨땅운동장 9,008개(77.2%)라고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2020년 조사 결과를 2014년과 비교하면, 천연잔디운동장은 332개(2.8%) 늘었지만, 인조잔디운동장과 맨땅운동장은 각각 426개(3.7%)와 550개(5.1%)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학생들의 건강과 안전을 고려한 학교 구성원들의 운동장 선택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Chang, 2019). 특히 인조잔디운동장의 급격한 감소는 인조잔디 피복물의 안정성에 대한 운동장 선정 과정에서의 관계자들의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Lim et al., 2015; Min and Kim, 2014).

지역별 학교의 천연잔디운동장 분포는 제주도가 전체운동장 대비 63.4%로 가장 높았고, 전라북도(29.8%), 강원도(21.5%), 전라남도(20.0%) 순서로 높았다. 이들 시도에 비해 대도시 소재 학교의 천연잔디운동장 보급률은 서울 0.9%, 부산 3.6%, 인천 2.8%로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다. 이러한 이유는 Han et al. (2015)의 보고처럼 중소도시에 비해 많은 학생이 재학 중인 대도시에서는 천연잔디를 조성할 경우 학생들의 답압으로 인해 유지관리가 어렵기 때문으로 판단된다(Fig. 1A). Kim et al. (2020)도 학교운동장에서 답압이 심할수록 토양경도가 심해지고 잔디의 지상부 밀도가 떨어진다고 보고한 바 있다.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00105_image/Fig_WTS_10_01_05_F1.png

Fig. 1. Various playground situations in schools. Turfgrass death area in front of goal post by human compaction (A), a playground that turns artificial turf into bare ground (B), weeds in removed track area (C), and installation of human-safe coverings in the removed track area (D).

지역별로 인조잔디학교운동장은 인천(86.0%), 울산(79.4%), 광주(78.9%), 대구(77.1%) 등 대도시에서 많았으나, 충청북도(81.8%)와 경상남도(77.0%)에서도 높은 비율로 나타났기 때문에 일정한 경향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방차치단체별로 운동장 유형을 선정하는 학교구성원의 의사가 중요하겠지만(Chang, 2019), 각 지방자치단체의 학교 행정 방향과 의사결정 과정에서 운동장 선호도도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지역별 학교의 운동장 유형 조사에서 세 가지 종류의 운동장 유형 이외에 다른 분류 그룹이 6.0%에 달하였다(Table 1). 일부 학교에 운동장이 없거나 동일 재단의 여러 학교가 같은 운동장을 사용하는 경우 또는 기존의 인조잔디와는 다른 유형의 소재(우레탄, 인조매트, 탄성포장재 등)로 피복된 운동장이 기타 그룹에 해당되었다. 지역별로는 서울 지역이 전체 학교 대비 20.5%로 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높은 비율로 존재하였다. 따라서 학생의 정신적·신체적 건강과 학습권을 고려한다면(Lee, 2011), 이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1. Playgrounds according to the playground types of elementary, middle, high, and special schools in Korea.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00105_image/Table_WTS_10_01_05_T1.png

x No playground construction, joint use by schools of the same foundation, use of different material, etc.

y The parenthesis is the ratio of the number of each local government playground type.

z Numbers of bare ground playground, artificial turf playground, and natural turfgrass playground nationwide in 2014 are 9,008, 1,858, and 807, respectively (Han et al., 2015).

학교유형별 전국의 학교운동장의 수는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특수학교 순서였다(Table 2). 천연잔디운동장 수는 특수학교에서 44.7%로 가장 높았고, 고등학교 19.0%, 초등학교 9.7%, 중학교 6.9% 순서였다. 특수학교의 높은 천연잔디운동장 설치율은 인조잔디운동장 비율이 4.4%에 불과하다는 점과 크게 대비되어 특히 눈에 띈다. 이러한 차이는 특수학교 구성원들이 운동장 유형을 결정할 때 주로 장애인으로 구성된 학생들의 건강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으로 보인다(Chang, 2019). 또한 특수학교가 다른 유형의 학교에 비해 운동장 규모가 작고(Table 3), 학생들의 운동량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적다는 점(Ha, 2020)도 천연잔디운동장 비율 상승에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왜냐하면 일반학교에서 천연잔디는 학교 구성원들의 활동에 의한 답압으로 잔디 피해가 크기 때문이다(Chang, 2019; Han et al., 2015; Kim et al., 2020).

Table 2. Playgrounds according to school type in Korea.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00105_image/Table_WTS_10_01_05_T2.png

y No playground construction, joint use by schools of the same foundation, use of different material, tc.

z The parenthesis is the ratio of the playground number of each school type.

학교운동장의 크기는 고등학교와 중학교에 비해 초등학교와 특수학교가 작았다(Table 3). 하지만 모든 학교 유형에서 학교 간에 운동장 규모의 편차가 매우 심하였다. 운동장 단위면적당 학생수는 중학교가 가장 많았고 초등학교, 고등학교, 특수학교 순서였다. 따라서 학교운동장이 학교구성원들의 답압에 의한 피해가 심하다는 점을 고려하면(Han et al., 2015; Kim et al., 2020), 학생들의 체격이 크고 활동량이 많은 시기의 남자 중학교와 단위면적당 학생수가 많았던 초등학교에서 잔디 관리가 어려울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모든 학교유형에서 인조잔디운동장의 트랙설치율은 높았다(Table 3). 반면에 천연잔디운동장에서의 트랙 설치율은 0.0-30.0%, 맨땅운동장은 0.0-12.5%로 낮았다. 맨땅운동장에 있는 트랙은 학교 담당자에게 문의한 결과, 인조잔디운동장의 유해성 논란 때문에 운동장 철거 후 남아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Fig. 1B). 따라서 천연잔디운동장과 맨땅운동장에서 관찰된 트랙은 2014년 이후 2019년까지 현저하게 줄어든 인조잔디운동장의 수를 반증하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조사 중에 천연잔디운동장이나 인조잔디운동장에서 트랙만 제거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Fig. 1C). 이러한 경우는 학교운동장 트랙의 유해성 논란이 원인으로 판단된다(Cho and Oh, 2013). 트랙의 유해성 논란으로 갑작스럽게 트랙을 제거할 경우 맨땅 부분에서의 잡초 발생이 우려되기 때문에 빈 공간을 인체에 안전한 소재로 피복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대응하고 있었다(Fig. 1C and 1D).

대부분의 학교에서 체육관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학교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경향은 각각의 운동장 유형이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체육관이 이를 보완할 수 있다는 점(Shin and Han, 2004)에서 매우 긍정적인 결과로 보인다. 예를 들면, 천연잔디운동장이나 맨땅운동장은 비가 오거나 겨울에 야외 활동이 쉽지 않다. 이때 체육관을 활용할 경우 학생들의 건강을 유지하고 답압으로 인한 잔디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able 3. Playground size and track installation rate on the playground and gym retention rate according to school type in Korea.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00105_image/Table_WTS_10_01_05_T3.png

y Natural turfgrass playground (37 schools), artificial turf playground (30 schools), bare ground playground (35 schools).

z Data±standard deviation.

요 약

전국 초·중·고·특수 학교의 운동장 유형 및 체육관 보유 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학생의 학습 환경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시도 교육청을 통해 학교 유형별로 초·중·고·특수 학교의 운동장 수를 파악하였다. 또한 전국 102개 학교를 방문하여 운동장내 트랙 설치율과 체육관 보유 현황을 조사하였다. 전국 초·중·고교의 학교운동장 수는 11,730개소였다. 운동장 유형은 맨땅운동장>인조잔디운동장>천연잔디운동장 순서로 많았다. 전체운동장 대비 천연잔디운동장의 비율은 제주특별자치도, 전라북도, 강원도, 전라남도가 20% 이상으로 높았다. 학교 유형 중에는 특수학교의 천연잔디운동장 비율이 44.7%로 가장 높았다. 운동장 유형 중에는 인조잔디운동장의 트랙 설치율이 가장 높았다. 천연잔디운동장과 맨땅운동장의 트랙 설치율은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체육관은 학교 유형에 관계 없이 대부분의 학교에서 보유하고 있었다.

주요어: 운동장 유형, 지방 정부, 학교운동장수, 학교 유형, 한국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funded by the Forest Biomaterial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Also, it was partially supported by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NRF-2018R1D1A1B07041214).

Authors Information

Seog-Won Chang, https://orcid.org/0000-0003-2053-6833

Jeong-Ho Lee, http://orcid.org/0000-0003-4455-7540

Eunji Bae, https://orcid.org/0000-0003- 4597-8873

Shin-Hu Kim, Dept. of Golf Course Management, Korea Golf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

References

1 Chang, S.W. 2019. A comparative study on management status of natural turfgrass and artificial turf playground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Weed Turf. Sci. 8(2):141-147. (In Korean)  

2 Chang, S.W., Bae, E.J., Kim, K.D. and Lee, J.H. 2020. Investigation on turfgrass growth environment in natural turfgrass playgrounds of 2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outh Korea. Weed Turf. Sci. 9(2):159-168. (In Korean)  

3 Cho, M.H. and Oh, B.D. 2013. Sustainability of remodeling school sport fields. J.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17(4):297-310. (In Korean)  

4 Ha, C. 2020. The current implementation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learning-centered place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a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 in the Gyeongnam region. Kor. J. of Special Education 54(4): 249-276. (In Korean)  

5 Han, S.W., Soh, H.S., Won, S.Y. and Ju, Y.C. 2015. Present state of turf management of school playgrounds in Gyeonggi province of Korea. Weed Turf. 4(4):405-412. (In Korean)  

6 Kim, D.R. 2014. An analysis on prim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yard environment. J. Kor. Soc. Environmental Education 27:314-329. (In Korean)  

7 Kim, K.D., Lee, J.H., and Chang, S.W. 2020. Quality difference of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playgrounds by human compaction intensity before and after spring green-up in school playground conditions. Weed Turf. 9(2):169-177. (In Korean)  

8 Kim, S.J. 2015. Artificial lawns at 174 schools contaminated. The Korea Times. http://www.koreatimes.co.kr (Accessed Oct. 6, 2015). (In Korean).  

9 Layt, T. 2015. Artificial turf is an alternative to concrete not grass. http://www.landscapegardeningplants.com/landscape news/turfvsfake (Accessed Sep. 29, 2015).  

10 Lee, J.W. 2013. Study on the ways of promot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middle-school considering school athletes and public access.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 Sejong, Korea. (In Korean)  

11 Lee, K.K., Lee, D.T. and Lee, J.H. 2011. Gender differences in lower limbs kinematics and kinetics during cross cutting maneuver. Korean J. Sport Science. 22(4):2321-2329. (In Korean).  

12 Lee, S.Y. 2011. Research on the aspects of favorite place in urban mini school - Sense of place in the elementary school without playground. J.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7(4):79-86. (In Korean)  

13 Lim, J.B., Yu, J., Lee, J.Y. and Lee, K.S. 2015. Comparison of thermal effects of different school ground surface materials - A case of Yooljeon elementary school-. J. of the Kor.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2):28-44. (In Korean)  

14 Min, S.H. and Kim, Y.H. 2014. A study on the combustion test of artificial turf installed on field. Fire Sci. Eng. 28(2):48-53. (In Korean)  

15 Shin, W.S. and Han, K.Y. 2004. The study about architectural plan and practical use of multipurpose room of school facilities (Auditorium, Gymnasium). Review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11(2):5-16. (In Korean)  

16 Turfgrass Resource Center. 2009. Natural grass and artificial turf: Separating myths and facts. http://www.nsgao.com/images/Natural-Grass- and- Artificial-Turf_booklet. pdf (Accessed Sep. 20,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