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oot Zone Soil Based on Sand Blending with Zeolite and Perlite

Research Article
구 본순  Bon-Soon Ku1김 영선  Young-Sun Kim12최 문진  Mun-Jin Choi1배 은지  Eun-Ji Bae3이 긍주  Geung-Joo Lee4*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mixed ratio of zeolite and perlite as soil amendment on th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pplied to golf course green. The soil amendments were 0, 3, 5, 7 and 10% by soil volume. Soil chemical factors such as pH, electrical conductivity (EC) and cation exchangeable capacity (CEC) were increased by higher proportion of zeolite amount, whil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erlite addition. Soil physical factors like capillary porosity, air-filled porosity and total porosity were increased perlite proportion, whil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zeolite treatments. For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percentage of soil amendments and soil physicochemical factor, zeolit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EC (p<0.01), and perlit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porosity and hydraulic conductivity (p<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zeolite improved cation exchangeable capacity, and perlite was found to modify a water permeability and root zone aero-environment.

Keyword



서 언

1980년대부터 세계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지구온난화는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등의 온실가스가 지구 대기 중에 축적되어 지구 표면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에너지를 흡수하여 지구의 대기온도를 상승시키는 현상으로 기후변화와 같은 범지구적인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 받고 있다(Kim, 2009). 국내에서도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의 발생을 줄이는 도시 숲이나 녹지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로드맵을 구축하고 있다.

천연잔디로 조성된 학교 운동장은 근린공원과 더불어 도심의 녹지공간을 조성하고 제공하는 중요한 장소로서 학생들과 그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향상시키고, 상호관계를 이뤄가는 중요한 장소라고 할 수 있다(Lee, 2013). 2014년을 기준으로 국내 초·중·고등학교의 학교 운동장은 총 11,673개이고, 이 중 6.9% (807개)가 천연잔디 운동장이고, 15.9% (1,858개)가 인조잔디 운동장이며, 나머지 77.2% (9,008개)가 맨땅 운동장으로 조사되었다(Han et al., 2015). 천연잔디 운동장은 녹색의 식물체가 존재하므로 자연 교감의 기회를 제공하고(Gang and Sim, 2010),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 함량(Seol, 2015), 이산화탄소 저감 및 지표와 지상부의 온도 저감 효과(Han et al., 2015; Lee et al., 2015)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조잔디나 맨땅 운동장에 비해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천연잔디 운동장은 주기적인 관리 및 비용이 발생하고, 국내 초·중·고등학교 당 학생수가 많아 답압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이며, 천연잔디의 장점에 대한 충분한 이해 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잔디 운동장이 조성된 후에는 토양 환경을 변경하기 어려우므로 처음 조성 시 잔디 생육에 적합한 토양이 조성되어야 한다(Kim et al., 2020). Chang et al. (2020)은 학교 운동장의 토양이 주로 사질양토이거나 양질사토라고 보고하였고, 이러한 토양은 지속적인 답압이 가해지는 경우 토양의 물리적 환경이 악화되어 잔디 생육이 불량해진다(Seo et al., 2015). 따라서 학교 운동장 조성 시 불량한 외부 환경 조건에도 불구하고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토양 조건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답압이 많은 운동장이나 골프장에서 잔디 조성 토양은 모래를 이용하고 있으나(Ahn et al., 1992), 모래는 보수력과 보비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토양개량제가 혼합되어 조성되고 있다(Kim et al., 2010). 토양개량제의 적절한 사용은 잔디밭 조성 후 잔디의 생육과 품질을 향상시키게 되므로(Kim et al., 2017) 천연잔디 운동장의 조성을 확대하고 우수한 잔디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토양개량제를 활용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토양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이탄, 부식산, 피트모스, 코코넛 코이어 등과 같은 유기성 토양개량제(Kim et al., 2010; 2011)와 펄라이트, 제올라이트, 규조토, 화산석 등과 같은 무기성 토양개량제(Jang et al., 2016; Kim et al., 2009)의 혼합 비율별 모래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 토양개량제의 특성에 따라 토양의 개량 방향이 결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Kim et al., 2009). 토양개량제의 혼합에 따른 조성 토양의 특징은 잔디 생육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Kim et al., 2017).

펄라이트는 용적밀도가 낮고 비모세관 공극이 많아 배수성이 큰 토양개량제로서 또는 수경재배용 배지로 이용되고 있다(Son and Cho, 2000). 반면에 보비력이 낮고, 배수성이 높아 수경재배 시 고형배지로 이용될 뿐 아니라 상토의 원료로 이용하기도 한다(Kim and Kim, 2011). 제올라이트는 이온교환능력과 흡착력을 보유하고 있어 수용액 중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흡착제로 이용되었으나(Lee et al., 2002), 양이온의 흡착능력이 우수하여 토양의 양이온치환용량을 개선시켜 작물의 생육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Hur and Shin, 2000). 학교 운동장 토양의 토성은 사질양토나 양질사토를 나타내며, 모래에 비해 공극률과 보비력은 높으나 배수성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Kim et al., 2020). 천연잔디가 식재된 학교 운동장에서 잔디의 생육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답압 조건에서 토양의 통기성을 개선하여 습해를 감소시키고, 보비력을 개선하여 잔디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펄라이트와 제올라이트는 각각 통기성과 보비력을 개선하는 토양개량제로 알려져 있어 천연잔디 학교 운동장 조성 시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개량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Kim et al., 2009; Son and Cho, 2000).

따라서 본 연구는 토양개량제로 사용되는 제올라이트와 펄라이트의 혼합 비율별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토양개량제별 토양개량 효과를 평가하고, 학교 운동장 천연잔디 조성 및 관리 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시험 기간 및 공시 재료

본 연구는 경상북도 경산시 소재의 대구대학교에서 수행되었고, 실험에 사용된 모래의 입경 분포는 미국골프협회(United Sates Golf Association, USGA)에서 제시한 그린 규격에 적합하지 않으나 유사한 입경 분포를 보였고, 자갈과 극조사의 비율이 25.7%로 USGA규격보다 약 15.7% 정도 높은 모래였다(Table 1). 공시모래는 조사과 극조사 함량비가 USGA규격에 적합하지 않았으나 다른 함량 비율은 규격에 적합하여 스포츠용도가 아닌 학교 운동장 조성 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실험에 이용하였다. 토양개량제로는 제올라이트(Hosu Science, Daejeon, Korea) 와 펄라이트(Kebifarm, Cheonan, Korea)를 이용하였고, 제올라이트와 펄라이트의 이화학성 조사결과, 토양산도(pH)는 각각 5.3와 6.2를,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는 각각 0.25와 0.01 dS m-1를, 양이온치환용량(cation exchangeable capacity, CEC)은 각각 27.8과 10.8 cmolc kg-1를, 용적밀도(bulk density)는 각각 1.06과 0.10 g cm-3를 나타냈다(Table 2).

Table 1.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sand used in this study.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00310_image/Table_WTS_10_03_10_T1.png

USGA: 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

Table 2.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zeolite and perlite used in this study.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00310_image/Table_WTS_10_03_10_T2.png

EC: Electrical conductivity; CEC: Cation exchangeable capacity.

토양개량제 혼합 비율별 토양이화학성 특성

시험용 상토를 만들기 위해 105℃로 조정된 건조기(OF-W155, Daihan Scientific, Daegu, Korea)에서 6시간 동안 건조된 시험용 모래에 각각 제올라이트와 펄라이트를 0, 3, 5, 7 및 10% 부피 비율로 혼합하여 처리구를 설정하였고, 각 처리구별 토양화학성 및 물리성을 측정하였다.

모래 혼합토의 화학성은 토양산도(pH), 전기전도도(EC) 및 양이온치환용량(CEC)를 조사하였다. pH와 EC는 1:5법으로 pH meter (SevenCompact pH/ion S220, METTLER TOLEDO, Ohio, USA), EC meter (Orion 3 star, Thermo Fisher Scientific, Massachusetts, USA)로 측정하였고, CEC는 1N-NH4OAc 침출법을 이용하였다.

모래 혼합토의 물리성은 용적밀도(bulk density), 모세관 공극(capillary porosity), 비모세관 공극(air-filled porosity), 공극률(total porosity) 및 수리전도도(hydraulic conductivity)를 측정하였다. 토양물리성을 측정하기 위해 USGA 측정 방식에 준하여 코어(직경 7.5 cm, 높이 10 cm인 원통)에 혼합된 상토를 넣고 다짐장치를 사용하여 현장 상태와 유사한 답압 상태의 물리성을 갖도록 조제하였다(Joo, 1993). 조제된 모래 혼합토의 토양물리성은 상토의 표준분석법(NIAST, 2000)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ver. 12.1.1, IBM, New York, USA)를 이용하여 Duncan 다중검정과 t-검정을 통해 처리구간 평균값의 유의차를 검정하였고, 단순선형회귀분석을 통해 토양개량 처리별 토양의 물리·화학성 변화에 대해 상관관계를 검정하였다.

결과

토양화학성 변화

처리구별 토양의 pH, EC 및 CEC의 변화는 Table 3과 같다. 제올라이트 혼합 처리구들의 pH는 6.96-7.45의 범위를 보였고, 펄라이트 혼합 처리구들의 pH는 6.96-7.64의 범위를 보였다. pH는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제올라이트는 5% 혼합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펄라이트는 혼합 비율에 따른 처리구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EC는 제올라이트 혼합 처리구에서 0.07-0.17 dS m-1의 범위를, 펄라이트 혼합처리구에서 0.07-0.09 dS m-1의 나타냈고, 각 토양개량제 혼합처리구에서 EC가 대조구에 비해 전반적으로 증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CEC는 제올라이트 처리구에서 1.37-3.17 cmolc kg-1를, 펄라이트 처리구에서 1.15-1.37 cmolc kg-1로 혼합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에, 제올라이트 처리구는 혼합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CEC가 증대되었다.

토양개량제의 혼합 비율별 모래상토의 화학성 변화를 조사하였다(Table 4). 제올라이트는 혼합 비율의 증가에 따라 pH, EC 및 CEC와 정의 상관성을(p<0.01), 펄라이트는 혼합 비율이 높아질수록 pH와 정의 상관성을 나타냈다(p<0.01).

Table 3. Chemical properties in root zone soil after different blending ratio of zeolite and perlite.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00310_image/Table_WTS_10_03_10_T3.png

EC: Electrical conductivity; CEC: Cation exchangeable capacity.

z Treatments were as follows; 0% (only sand, sand 100%), 3% (zeolite or perlite 3%+sand 97%; v/v), 5% (zeolite or perlite 5%+sand 95%; v/v), 7% (zeolite or perlite 7%+sand 93%; v/v), 10% (zeolite or perlite 10%+sand 90%; v/v).

a-c: Means with same letters within a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0.05 level.

** represents a significance at the 0.01 probability level by T-test between zeolite and perlite.

Table 4.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ixture ratio of soil amendments and respective soil chemical factor (n=18).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00310_image/Table_WTS_10_03_10_T4.png

EC: Electrical conductivity; CEC: Cation exchangeable capacity.

** represents a significance at the 0.01 probability by simple correlation analysis.

토양물리성 변화

토양개량제의 혼합 비율에 따른 토양의 용적밀도, 모세관 공극, 비모세관 공극, 공극률 및 수리전도도의 변화는 Table 5와 같다.

Table 5. Physical properties in root zone soil after different blending ratio of zeolite and perlite.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00310_image/Table_WTS_10_03_10_T5.png

USGA: 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

z Treatments were as follows; 0% (only sand, sand 100%), 3% (zeolite or perlite 3%+sand 97%; v/v), 5% (zeolite or perlite 5%+sand 95%; v/v), 7% (zeolite or perlite 7%+sand 93%; v/v), 10% (zeolite or perlite 10%+sand 90%; v/v). a-c: Means with same letters within a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0.05 level.

NS and ** represent not significant and a significance at the 0.01 probability level by T-test between zeolite and perlite, respectively.

제올라이트 혼합 처리구에서 용적밀도, 모세관 공극, 비모세관 공극, 공극률 및 수리전도도는 각각 1.71-1.73 g cm-3, 16.66-17.39%, 13.66-14.92%, 30.66-31.62%, 229.97-279.77 mm hr-1로 조사되었으나, 각 처리구별 토양물리성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제올라이트의 처리에 의한 토양물리성 개량 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펄라이트 혼합 처리구에서 용적밀도, 모세관 공극, 비모세관 공극, 공극률 및 수리전도도는 1.52-1.71 g cm-3, 16.70-20.40%, 14.92-18.95%, 31.62-39.35%, 229.97-292.88 mm hr-1로 조사되었다. 펄라이트 10% 혼합 처리구에서 용적밀도를 감소시켜 모세관 공극, 비모세관 공극, 공극률 및 수리전도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펄라이트 혼합 처리구에서 용적밀도는 감소했고, 비모세관 공극, 모세관 공극 및 총공극은 증가하였으며, 수리전도도는 10%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따라서 펄라이트의 처리에 의해 토양의 공극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펄라이트가 용적밀도가 낮고 비모세관 공극이 높은 특징을 나타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Son and Cho, 2000).

토양개량제의 혼합토의 물리적 특성 각 항목별 상관성을 조사하여 항목간 유의차를 조사하였다(Table 6). 제올라이트 혼합 처리구에서 비모세관 공극은 모세관 공극과는 부의 상관성을(p<0.01), 총공극과는 정의 상관성을 나타냈고(p<0.01), 모세관 공극은 수리전도도와 정의 상관성을 나타냈다(p<0.01). 펄라이트 혼합 처리구에서 모세관 공극은 용적밀도와 부의 상관성을(p<0.01), 비모세관 공극이나 총공극과 정의 상관성을 나타냈다(p<0.01).

토양개량제의 처리량별 모래상토의 물리적 특성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토양개량제와 토양개량제 함유량과 토양물리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Table 7). 제올라이트는 토양의 물리적 특성과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펄라이트는 모래상토에 처리 시 모래상토의 물리적 특성에 고도의 상관성(p<0.01)을 나타냈고, 펄라이트의 처리량에 따라 용적밀도는 부의 상관성을, 모세관 공극, 비모세관 공극, 총공극 및 수리전도도와는 정의 상관성을 나타냈다(p<0.01).

Table 6.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each physical factor in root zone soil after different blending ratio of zeolite and perlite (n=18).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00310_image/Table_WTS_10_03_10_T6.png

zSoil factors were follow. BD: Bulk density; CP: Capillary porosity; AP: Air-filled porosity; TP: Total porosity; HC: Hydraulic conductivity.

* and ** represent significant at the 0.05 and 0.01 probability level by simple correlation analysis.

Table 7.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ixture ratio of soil amendments and soil factor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00310_image/Table_WTS_10_03_10_T7.png

BD: Bulk density; CP: Capillary porosity; AP: Air-filled porosity; TP: Total porosity; HC: Hydraulic conductivity.

** represents a significance at the 0.01 probability by simple correlation analysis, respectively.

고찰

잔디 생육을 위한 토양은 그라운드에 가해지는 답압을 줄이고, 강우 시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모래 토양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Kim et al., 2010). 모래 토양은 보수력과 보비력이 약하기 때문에 토양개량제를 사용하여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절하여 이용한다(Kim et al., 2009). 토량개량제는 모래와 혼합되어 용적밀도를 감소시켜 총공극량을 증대시키며(Kim et al., 2017), 토양개량제의 특성에 따라 모래상토의 모세관 공극이나 비모세관 공극의 특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Kim et al., 2010). 또한 이러한 공극의 변화는 모래상토의 수리전도도에도 영향을 주게 되고, 잔디 식재 시 잔디의 생육과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Kim et al., 2017). 본 연구에서도 제올라이트와 펄라이트의 혼합 비율에 따라 모래상토의 이화학적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제올라이트와 펄라이트가 혼합된 모래상토별 t-검정 결과, pH, EC, CEC, 모세관 공극, 비모세관 공극 및 총공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어 토양개량제의 종류에 따라 토양의 개량 특성이 다르게 나타냈다(p<0.01; Table 3 and Table 5). 제올라이트는 모래에서 토양화학성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던 반면에, 펄라이트는 모래상토의 물리적 특성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Table 4 and Table 7).

제올라이트는 휴믹산, 이탄, 토탄, 코코넛 코이어 등에 비해 용적밀도가 높으며(Kim et al., 2010), 입상의 제형을 나타내는 경우 상대적으로 모래와 유사한 입경과 용적밀도를 나타내어 토양의 물리적 특성 개량보다는 화학적 특성 개량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2010). 본 연구에서 제올라이트는 모래토양에서 CEC가 증대되었고(Table 3 and Table 4), 이는 Kim et al. (2010)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제올라이트는 다공성 물질로 흡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토양에 처리되었을 때 토양의 CEC가 증대되어 토양의 보비력을 향상시킨다(Hur and Shin, 2000). 따라서 제올라이트의 혼합 비율에 따른 모래 중 보비력 개선 효과를 예측하기 위해 제올라이트 혼합 모래상토와 CEC의 선형회귀식을 조사한 결과, F(x)=0.1713×X+1.217 (R2=0.719**; X: 제올라이트 혼합 비율[부피기준])을 나타냈다(Fig. 1). Ok et al. (2004)은 100% 모래에 15% 제올라이트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최적의 putting green조건과 우수한 벤트그라스의 잔디품질을 4 년 동안 유지되었다. Kim et al. (2017)은 토양 중 CEC는 잔디의 생육과 품질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며, 잔디 식재지에서 토양 조성 시 토양개량제 선정 및 혼합 비율 결정에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제올라이트는 부식산과 더불어 토양의 CEC를 개선할 수 있는 대표적인 토양개량제로서 모래에서 부족한 보비력 향상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Kim et al., 2010). 본 연구의 회귀식을 이용하여 Ok et al. (2004)의 15% 제올라이트 혼합 시 CEC는 약 3.78 cmolc kg-1로서 처리 전보다 약 2.2배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00310_image/Fig_WTS_10_03_10_F1.png

Fig. 1. Linear regression between blending ratio of soil amendments like zeolite and perlite and main soil factor. 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lending ratio of zeolite and CEC (cation exchangeable capacity); B: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lending ratio of perlite and total porosity. ** represents a significance at the 0.01 probability, respectively..

펄라이트는 용적밀도가 낮아 공극량이 높으며, CEC가 낮아 배수성이 우수하여 수경재배의 배지로 이용되고 있으며, 입자의 크기에 따라 토양개량제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Son and Cho, 2000). 본 연구에서 펄라이트 처리구는 토양화학성보다 토양물리성 개량 효과가 나타나 토양의 공극이 증대되었고, 수리전도도가 증가하였다(Table 3-7). 토양 공극의 개선은 한국잔디(Zoysia japonica; Park et al., 1992)와 켄터키 블루그래스(Poa pratensis L.; Kim, 2014)의 생육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rk et al., 1992). 그러나 펄라이트는 토양 중 CEC의 개선 효과는 미미하고, 토양의 수리전도도가 증가하여 잔디의 양분흡수는 감소하였다(Park et al., 1992). Table 3과 5에서 펄라이트는 토양의 화학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모세관 공극, 비모세관 공극 및 총공극의 변화에 영향을 주어 토양 물리성을 개선하였다. 펄라이트 처리량과 토양 중 공극량은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었고, 이들의 선형회귀식은 F(x)=0.8102×X+32.74 (R2=0.864**; X: 펄라이트 혼합 비율[부피기준])로 조사되었다.

Park et al. (1992)은 펄라이트 10% 처리와 제올라이트 4% 처리구에서 잔디의 생육 및 품질이 개선되었고, 이는 토양의 보비력(CEC)과 토양 공극의 개선에 의한 결과라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올라이트 처리구는 토양 중 CEC는 개선하였으나 토양 공극 개선 효과는 미미하였고, 펄라이트는 토양 공극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으나 토양 중 CEC개선 효과는 미미하였다. 따라서 토양개량제를 단용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개량제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Kim (2014)은 제올라이트와 펄라이트를 하이드로겔에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한지형 잔디의 생육과 품질을 증대시킨다고 보고하였다.

토양개량제의 사용은 토양의 물리·화학성을 개선하여(Kim et al., 2010) 잔디의 생육 향상과 품질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Kim, 2014). 하지만 토양개량제는 종류마다 그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토양개량제를 일정한 범위로 잔디 식재 조성 지역에 적용하기 어렵다(Kim et al., 2010). 또한 동일한 토양개량제를 사용하더라도 조성 토양의 입경이나 특성에 따라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변화하기 때문이다(Kim et al., 2009; 2017). 그러므로 토양개량제별 특성을 조사하고, 토양별 효과 등을 검정하여 그것의 혼합 비율에 따른 토양개량 요인을 수집하여 토양에 적용 가능한 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제올라이트와 펄라이트는 각각 토양 보비력(CEC)과 토양 공극(porosity) 개선에 효과적인 개량제로 판단된다(Fig. 1).

요 약

본 연구는 토양개량제로 사용되는 제올라이트와 펄라이트의 처리량에 따른 모래상토에서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제올라이트와 펄라이트를 USGA 규격과 유사한 입경 분포를 나타내어 학교운동장에 적용할 수 있는 모래에 0, 3, 5, 7, 10% 부피 비율로 혼합하였다. 제올라이트 처리구는 모래 상토의 pH, EC 및 CEC와 같은 토양화학성에 영향을 미쳤으나, 펄라이트 처리구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제올라이트는 토양물리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펄라이트는 모세관 공극, 비모세관 공극 및 총공극이 증가되었다. 토양개량제의 처리량과 토양물리·화학적 특성의 상관관계 조사에서 제올라이트는 CEC와 정의 상관성(p<0.01)을 나타냈고, 펄라이트는 모세관 공극, 비모세관 공극, 총공극 및 수리전도도에서 정의 상관성(p<0.01)을 나타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할 때, 토양개량제의 특성에 따라 토양의 물리·화학성을 개선시켰고, 제올라이트와 펄라이트는 각각 보비력과 토양 공극을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주요어: 공극률, 비모세관 공극, 수리전도도, 토양개량제

Acknowledgme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of the Forest Biomaterial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Project No. FG0900-2020-01).

Authors Information

Bon-Soon, Ku, Daegu University, Doctor of Philosophy

Young-Sun, Kim, Daegu University, Professor and Institute of Natural Sciences, Daegu University, Researcher

Mun-Jin, Choi, Daegu University, Master student

Eun-Ji, Bae, https://orcid.org/0000-0003- 4597-8873

Geung-Joo, Le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References

1 Ahn, Y.T., Kim, S.T., Kim, I.S., Kim, J.W., Kim, H.J., et al. 1992. Standard and practice for management in golf course. KTRI, Seongnam, Korea. (In Korean)  

2 Chang, S.W., Bae, E.J., Kim, K.D. and Lee, J.H. 2020. Investigation on turfgrass growth environment in natural turfgrass playgrounds of 2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outh Korea. Weed Turf. Sci. 9(2):159-168. (In Korean)  

3 Gang, M.G. and Sim, U.G. 2010. Basic study on selection of wild plant species for school playground. Proc.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 Nov. 05, 2010. pp. 188-191. (In Korean)  

4 Han, S.W., Soh, H.S., Won, S.Y. and Ju, Y.C. 2015. Present state of turf management of school playgrounds in Gyeonggi province of Korea. Weed Turf. Sci. 4(4):405-412. (In Korean)  

5 Hur, B.K. and Shin, K.Y. 2000. Changes of potato cv. Superior growth and soil properties in highland mounding-soil by treatment of zeolite. Korean J. Crop Sci. 45(3):167-170. (In Korean)  

6 Jang, G.M., Tae, H.S., Shin, C.C., Kim, K.D. and Hong, B.S. 2016. Effects of several soil conditioners on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turfgrass growth of school playgrounds. Kor. J. Soil Sci. Fert. 87-87. (In Korean)  

7 Joo, Y.K. 1993. The measurement of soil conditioning effects of organic materials. Kor. Turfgrass Sci. 7(1):13-18. (In Korean)  

8 Kim, H.H. 2009. Design for carbon neutral arboretum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KIEAE Journal 9(3):61-68. (In Korean)  

9 Kim, H.S. and Kim K.H. 2011. Physical properties of the horticultural substrate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peatmoss, perlite and vermiculite. Korean J. Soil Sci. Fert. 44(3):321-330. (In Korean)  

10 Kim, K.N. 2014. Effect of polymer, calcium, perlite and chitosan in organic amendment on growth in Kentucky bluegrass. Weed Turf. Sci. 3(1):19-38. (In Korean)  

11 Kim, Y.S., Ham, S.K. and Lim, H.J. 2010. Change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mixed ratio of 4 types of soil amendments used in golf course. Kor. Turfgrass Sci. 24(2):205-210. (In Korean)  

12 Kim, Y.S., Kim, T.S. and Ham, S.K. 2009. The change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mixture ratio of inorganic soil amendments. Kor. Turfgrass Sci. 23(2):271-278. (In Korean)  

13 Kim, Y.S., Lee, S.B., Ham, S.K., Lim, H.J. and Choi, Y.C. 2011.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applied with mixed ratio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casts. Asian J. Turfgrass Sci. 25(1):106-111. (In Korean)  

14 Kim, Y.S., Lim, H.J., Ham, S.K. and Lee, G.J. 2017. Improvement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urfgrass growth by root zone mixture of soil amendment ‘Profile’. Weed Turf. Sci. 9(4):433-440. (In Korean)  

15 Kim, Y.S., Park, E.H., Cho, M.S., Ham, S.K., Bae, E.J., et al. 202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oot zone soil based on sand blending with sandy loam and loam sand. Weed Turf. Sci. 9(4):433-440. (In Korean)  

16 Lee, J.W. 2013. Study on the ways of promoting physical education classed in the middle school considering school athletes and public access.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In Korean)  

17 Lee, H.H., Kwon, O.G., Shin, J.H., Kabir, Md.F., Lee, K.S., et al. 2015. Comparison of surface and air temperature depending on cover materials in playground. Weed Turf. Sci. 4(1):71-75. (In Korean)  

18 Lee, H.W., Oh, J.K., Kim, S.G. and Ko, H.B. 2002. Removal of ammonia from aqueous solutions with zeolite and bentonite. J. Kor. Inst. of Resour. Recycl. 11(3):3-9. (In Korean)  

19 NIAS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Standard methods of root zone soil. NIAST, RDA, Jeonju, Korea. (In Korean)  

20 Ok, C.H., Anderson, S.H. and Ervin, E.H. 2004. Amendments and construction system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and-based putting greens. Weed Turf. Sci. 18(3):149-163.  

21 Park, C.B., Hwang, K.S. and Lee, Y.B. 1992. Effects of source and mixing ratio of green topsoil on growth-quality of creeping bentgrass. Kor. Turfgrass Sci. 6(1):1-10. (In Korean)  

22 Seo, J.Y., Chung, J.I., Kim, M.C., Chung, J.S. and Shim, D.B. 2015. Effects of trampling on growth and development in Zoysia japonica. Weed Turf. Sci. 4(3):256-261. (In Korean)  

23 Seol, Y.H. 2015. Differences in emotional stability and physical class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at school. MS thesis, Korea National Sports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In Korean)  

24 Son, J.E. and Cho, Y.R. 2000. Analysis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perlite substrate. J. Bio-Environ. Cont. 9(1):20-26.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