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Different Mulch Types on Weed Occurrence in Maize and Soybean Fields in Jeonnam Province and Weed Dominance Based on Population Growth Differences

Research Article
박 현화  Hyun Hwa Park1김 희권  Hee Kwon Kim1국 용인  Yong In Kuk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different mulching types affect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weeds in 35 maize and soybean fields in Jeonnam province,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variation within the same species and dominant levels of weeds based on important values. In June and August of 2020, we determined that maize fields had 27 and 21 different weed species, respectively. In June, August, and September of 2020, we found 28, 33, and 31 different weed species in soybean fields, respectively. In maize and soybean fields, the rankings of the top six dominant species differed slightly by survey period and crop, but the kinds of weed species were similar. The ten most dominant species at all survey periods in both maize and soybean was Digitaria ciliaris>Acalypha australis>Eclipta prostrata>Chenopodium album>Amaranthus lividus>Abutilon theophrasti>Cyperus microiria>Echinochloa crus-galli>Bidens frondosa>Mollugo verticillata. Weed occurrence in maize field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egardless of mulching type. However, in soybean fields in June, August, and September, 28, 28 and 31 different species of weeds were detected in areas using non-mulching methods and 12, 18, and 20 species were detected in areas using black vinyl mulching methods, respectively. In both maize and soybean fields, the order of rankings of the top ten dominant species by mulching types was different, but the kinds of species were similar. In maize and soybean fields, it was determined that the variation between minimum and maximum shoot fresh weight in weeds of the same species was greater in June than in August and September. In addition, most of the weeds with the greatest variation between minimum and maximum shoot fresh weight in both maize and soybean fields were the same weeds that were most dominant in terms of important values, although the order of ranking varied slightly. Thus, weeds with the greatest shoot fresh weight variation are likely to become dominant weeds due to factors such as climate change.

Keyword



서 언

우리나라 논잡초 분포조사는 1971년, 1981년, 1991년, 2000-2001년과 2013년에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전국 규모로 이루어졌다(Ha et al., 2014; Oh et al., 1981; Park et al., 1995). 밭잡초 분포조사의 경우 1982년 12월과 1983년 4월에 전국 1,800지점에서 조사한 결과 맥류 포장에서 37종, 전작지에서 36종, 답리작 포장에서 29종의 잡초 발생을 확인하였으며, 전작지에서는 별꽃과 뚝새풀이, 답리작 포장에서는 뚝새풀과 벼룩나물이 우점초종으로 조사되었다(Ha et al., 1983). 그 이후 1990년에 전국의 81개 군의 2개 면에서 각각 2필지를 선정하여 전작지의 동·하작물별로 조사한 결과 동작물 재배지에는 39과 165종, 하작물 재배지에는 41과 189종 등 총 34과 122종이라고 하였다(Chang et al., 1990). 그 후 2002년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주관으로 조사한 결과 총 33과 112종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Lee et al. (2015)은 2014년 밭잡초를 조사한 결과, 밭에는 50과 375종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농경지에 잡초 발생과 군락 변화는 지역, 농경지, 작물종류, 작부체계와 작물재배법 등에 따라 적응력이 강하고 번식력 높은 잡초들이 우점하여 다양한 유형의 군락을 형성한다(Kim and Shin, 2007; Song, 1997). 특히 밭에서 발생하는 잡초는 그 지역의 지형, 토질, 토양비옥도, 경운종류, 작물의 재배시기 및 양식, 산업형태 등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제초제 종류와 사용빈도, 비닐피복, 볏짚 또는 보릿짚 이용, 예초기 및 손제초 등 잡초관리 방법에 따라 농업생태계 내 잡초종의 다양성, 발생량 및 우점초종이 달라진다(Kim and Shin, 2007; Lee et al., 2001).

작물 재배지에서 잡초를 방제하지 않을 경우, 작물별로 차이가 있으나 콩, 옥수수, 감자, 고추는 17.2-50.2% 정도 수량이 감소한다고 하였고, 고추밭에서는 피, 명아주, 바랭이와 가는털비름이 m2당 1주 발생 시 고추 수량이 각각 14.6, 22.5, 5.9와 14.6%가 감소되었다고 하였다(RDA, 2000; Won et al., 2011; Won et al., 2012). 옥수수 재배 시 파종 후 50일간 제초 관리하면 완전 제초와 같은 효과가 있으나, 파종 후 20, 30일과 40일간 제초하고 방임하는 경우 각각 76, 64 및 33%가 감소된다고 하였다(Song et al., 1997). 외래잡초 둥근잎유홍초 m2당 1, 5, 10 및 20본 발생시 콩의 수량은 각각 12, 23, 37 및 45% 감소하였다(Jang et al., 2019). 또한 미국나팔꽃 m2당 1, 5, 10 및 20본 발생시 콩의 수량은 각각 30, 72, 86 및 94% 감소하여 발생 초종에 따라 수량감소에 차이를 보였다(Jang and Kuk, 2020). 또한 농경지에서 발생한 잡초는 작물 수량감소 뿐만 아니라 품질저하, 병해충 서식지 제공, 수확 시 농작업 방해 등의 원인이 된다(Hwang et al., 2013). 따라서 잡초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잡초종의 분포를 주기적으로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이상기후로 인하여 기후변화가 잡초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CO2와 온도, 강수량, 일사량 등의 변화는 아열대 또는 열대 잡초 등 외래잡초의 침입과 토착잡초 중에 월동이 가능한 잡초가 늘어나 생태계를 교란하고 작물 재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이에 맞는 잡초관리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Dukes et al., 2009; Singer et al., 2013).

최근에는 콩과 옥수수 재배시 비닐 멀칭을 하여 재배하는 농가가 늘어나고 있다(Deng et al., 2019). 또한 우리나라 밭작물 재배지 잡초발생은 2014년 이후에는 조사가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목적은 전남지역 35개 지역의 옥수수와 콩 밭을 대상으로 멀칭 종류별 잡초 발생 양상과 동일 초종내에 개체간 생장 차이 정도와 중요도 값에 기초한 잡초 우점도와 관련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재료 및 방법

조사지역 및 방법

본 연구는 전남지역 10개 시·군(강진, 고흥, 곡성, 보성, 무안, 영광, 장흥, 함평, 화순, 해남), 시·군당 2-5지점 총 35지점 옥수수와 콩 재배포장(무멀칭, 투명필름 멀칭, 흑색필름멀칭)의 잡초발생을 조사하기 위하여 2020년 1차 조사(6.16-6.23)와 2차(8.3-8.10)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콩의 경우는 3차(9.14-9.20)시기까지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은 GPS (고도, 위도, 경도 좌표)를 이용하여 지도로 작성하였다(Fig. 1). 조사지역 선정은 가능한 옥수수와 콩 재배면적이 넓은 지역을 선정하였고, Braun-Blanquet (1964) 방법에 의해 7등급(5, 4, 3, 2, 1, +, r)을 기준으로 피도를 조사하였다(Wikum and Shanholtzer, 1978). 각 단계별 잡초발생 정도는 Fig. 2와 같다.

즉 5는 피도가 조사면적의 75% 이상 출현, 4는 피도가 조사면적의 50-75% 출현, 3은 피도가 조사면적의 25-50% 출현, 2은 극히 개체수가 많거나 적어도 조사면적의 10-25% 출현, 1은 개체수가 많지만 피도가 10% 이하, +는 극히 낮은 피도로서 약간의 개체수가 출현, r은 극히 드물게 최소 피도로 출현할 때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10102_image/Fig_WTS_11_01_02_F1.png

Fig. 1. Survey sites of soybean (A) and maize (B) fields in Jeonnam province.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10102_image/Fig_WTS_11_01_02_F2.png

Fig. 2. Cover-abundance scale for seed estimation (Braun-Blanquet 1964; Wikum and Shanholtzer, 1978).

조사결과 분석

주요 조사항목은 초종별 발생빈도, 상대빈도, 피도, 상대피도, 우점도(중요치)를 조사하였다(Curtis and McIntosh, 1950).

-절대발생밀도=해당초종의 실제 발생본수 합계

-상대발생밀도=(해당초종의 발생본수/모든 초종의 발생본수)*100

-절대발생빈도=(해당초종이 발생된 quadrat수/sampling quadrat 합계)*100

-상대발생빈도=(해당초종의 절대발생빈도/모든 초종의 절대발생빈도 합계)*100

-중요도=상대발생밀도+상대발생빈도/2

잡초조사와 생활사, 결과분석 등의 참조는 한국의 잡초도감(Kim and Park, 2009)을 기준으로 국가표준식물목록(KNA, 2007)에 의거하여 작성하였다.

옥수수와 콩 재배지에서 잡초종 개체간 생장 차이 조사

옥수수와 콩 재배지에서 발생하는 잡초종의 개체간 생장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각각 10개 지점을 조사하였다. 지점별 옥수수와 콩 파종시기가 유사한 포장을 선정하였고 1차 조사(6월16-17일)와 2차 조사(8월17-18일)을 나누어 조사하였고, 콩은 3차(9월14-15일)까지 조사하였다. 각 지점당 각 초종의 10개체의 생체중을 조사하여 최소/최대 값의 차이를 산출하여 개체 간에 생장 차이로 하였다.

결과 및 고찰

옥수수 및 콩 재배지 잡초발생 양상

6월 중순에 전남 지역 옥수수 재배지에 발생한 잡초종은 27종이었고, 대부분 일년생 잡초종이었다(Table 1). 중요도에 의한 우점 잡초종은 바랭이>명아주>쇠비름>깨풀>한련초>개비름>강아지풀>어저귀>돌피>여뀌>미국가막사리>괭이밥>고마리>닭의장풀>까마중>방동사니 등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그 밖의 진득찰, 망초, 털별꽃아재비, 자귀풀 등은 발생량이 적었다. 발생한 초종은 과별로 볼 때 국화과와 벼과 발생이 많았고 그 밖의 과는 적었다.

Table 1. Occurrence of weed species by different survey period on maize fields in Jeonnam province.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10102_image/Table_WTS_11_01_02_T1.png

z Importance value.

8월 중순에 전남 지역 옥수수 재배지에 발생한 초종은 21종이었고, 대부분 일년생 잡초종이었다. 중요도에 의한 우점 잡초종은 바랭이>한련초>명아주>쇠비름>깨풀>까마중>미국가막사리>개비름>어저귀>방동사니>돌피 등의 순으로 발생하였고, 그 밖의 미국나팔꽃, 여뀌, 망초, 강아지풀 등은 발생량이 적었다. 발생한 초종은 과별로 볼 때 국화과와 벼과 발생이 많았고, 그 밖의 과는 적었다. 주요 상위 우점종은 조사시기별로 초종 순위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상위 우점 초종은 유사하였다. 또한 6월 조사에 비해 8월 조사에서 발생 초종수와 피도(자료 미제시)가 적은 이유는 8월에는 옥수수가 초관이 형성되어 잡초종보다 경합에서 우위성을 확보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6월 중순에 전남 지역 콩 재배지에 발생한 잡초종은 28종이었고, 대부분 일년생 잡초종이었다(Table 2). 중요도에 의한 우점 잡초종은 깨풀>바랭이>쇠비름>개비름>한련초>명아주>돌피>고마리>미국가막사리 등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그 밖의 괭이밥, 강아지풀, 쇠뜨기, 닭의장풀 등은 발생량이 적었다. 이들 발생 잡초종을 과별로 볼 때 국화과와 벼과가 가장 많았다.

8월 중순에 전남 지역 콩 재배지에 발생한 잡초종은 33종이었고, 대부분 일년생 잡초종이었다. 우점 잡초종은 한련초>깨풀>바랭이>쇠비름>명아주>석류풀>방동사니>강아지풀>돌피>개비름>괭이밥>미국가막사리 등의 순이었다. 그 밖의 까마중, 미국나팔꽃, 왕바랭이 등은 발생량이 적었다. 6월 조사와 유사하게 8월 조사에서도 발생 초종을 과별로 볼 때 국화과와 벼과가 가장 많았다.

Table 2. Occurrence of weed species by different survey period on soybean fields in Jeonnam province.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10102_image/Table_WTS_11_01_02_T2.png

z Importance value.

9월 중순에 콩 재배지에 발생한 잡초종은 31종이었고, 대부분 일년생 잡초종이었다. 우점 잡초종은 깨풀>한련초>바랭이>쇠비름>방동사니>명아주>중대가리풀>돌피>개비름>괭이밥>석류풀 등의 순이었다. 그 밖의 미국가막사리, 진득찰, 여뀌, 망초 등은 발생량이 적었고, 이들 잡초종을 과별로 볼 때 국화과와 벼과가 많았다. 옥수수와 다르게 8월과 9월 조사에서는 6월 조사에 비해 우점 잡초종의 피도가 높았다. 그러나 상위 우점종 10초종은 조사시기별로 초종 순위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상위 우점 초종은 유사하였다.

콩과 옥수수 재배지에 발생한 잡초를 각 작물의 전체 조사시기를 종합적 분석해 볼 때 상위 우점 10초종 중 콩과 옥수수 재배지에서 상위 우점종 6종의 순위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초종은 유사하였다(Table 3). 그러나 상위 우점종 7위부터 10위까지 옥수수의 경우는 어저귀, 미국가막사리, 까마중이 포함되었고, 콩의 경우는 석류풀, 돌피, 괭이밥이 포함되었다. 전체 조사시기에서 콩과 옥수수 재배지에 공통적으로 발생한 상위 10초종의 우점 순위는 바랭이>깨풀>한련초>명아주>개비름>어저귀>방동사니>돌피>미국가막사리>석류풀 순이었다.

Table 3. Importance values (IV) of top 10 weeds by all survey period on maize and soybean fields.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10102_image/Table_WTS_11_01_02_T3.png

2003년도에 충북지역에서 식용작물과 원예작물 재배지에서 총 56지점을 조사한 결과 식용작물 재배지에서는 28과 79종이 발생하였고, 바랭이, 피 순으로 우점하였다(Choi et al., 2009). 인근 충남지역의 주요 식량작물인 보리, 감자, 콩, 옥수수 재배지 321지점을 조사한 결과 36과 130종의 잡초가 발생하였고, 바랭이, 망초, 쇠비름, 명아주 순으로 우점한다고 보고하였다(Hwang et al., 2014). 2020년에 조사한 본 연구에서도 바랭이는 여전히 상위 첫번째 우점 초종이었고 피와 명아주 경우도 상위 10위 우점 초종이었으나 그 밖의 망초와 쇠비름 경우는 본 연구에서는 상위 우점 초종으로는 포함되지 않았다. 또한 2014년에 전남 서부지역 콩 재배지에서 발생한 잡초종도 바랭이>쇠비름>깨풀>방동사니>개비름>한련초>괭이밥>쑥>흰명아주>개여뀌 순으로(Im et al., 2014), 본 연구에서는 깨풀>바랭이>쇠비름>한련초>명아주>개비름>석류풀>방동사니>돌피>괭이밥으로 우점 순위는 다소 다르나 상위 10초종 중 7초종은 동일하였다. 2014년 강원도 옥수수재배지에서 발생하는 잡초는 28과 105종으로 확인되었으며, 바랭이>쇠비름>흰명아주>깨풀>돌피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Heo et al., 2014), 본 연구의 경우 돌피를 제외한 우점 초종은 유사하였다. 경북지역 17개 시·군의 콩과 옥수수 재배포장에서 위의 연구와 동일하게 가장 우점 초종은 바랭이로 나타났다(Kim and Kim, 2015).

옥수수 및 콩재배지 멀칭 종류별 잡초발생 양상

6월 중순에 전남 지방 옥수수 재배지에 발생한 초종을 멀칭별로 볼 때 무멀칭, 투명비닐 및 흑색비닐에서 각각 19, 24, 및 19종 발생하였다(Table 4). 무멀칭의 경우 중요도에 의한 우점 초종은 바랭이>명아주>어저귀>쇠비름>한련초>깨풀>강아지풀>개비름 등 순으로 발생하였다. 투명비닐 멀칭의 경우 우점 초종은 바랭이>쇠비름>명아주>깨풀>한련초>개비름>어저귀>강아지풀 등 순으로 발생하였다. 흑색 비닐 멀칭의 경우 바랭이>명아주>깨풀>한련초>쇠비름>괭이밥>개비름>미국가막사리 등 순으로 발생하였다. 멀칭 종류별로 바랭이, 명아주, 쇠비름 등과 같은 주요 우점 초종은 순위는 다르지만, 우점 초종은 크게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투명비닐 멀칭의 경우 무멀칭과 흑색비닐 멀칭에 비해 우점 초종의 피도가 높게 나타났다.

8월 중순에 전남 지방 옥수수 재배지에 발생한 초종을 멀칭 종류별로 볼 때 무멀칭과 투명비닐 멀칭에서 각각 21종과 20종이 발생하였다. 무멸칭의 경우 우점초종은 한련초>바랭이>미국가막사리>깨풀>물피>까마중>미국나팔꽃>닭의장풀 순으로 발생하였다. 투명비닐 멀칭의 경우 우점초종은 개비름>명아주>쇠비름>바랭이>까마중>깨풀>어저귀>미국가막사리>한련초 등 순으로 발생하였다. 각 멀칭 종류별로 6월과 8월 조사시기에 따라 주요 우점 초종 뿐만 아니라 순위도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이유는 옥수수 재배기간 중 6월은 파종 후 얼마되지 않은 유묘기로 잡초생장이 빠를 수 있지만 8월은 옥수수의 최대 생장기로 상대적으로 잡초 발생 및 생장에 좋은 환경조건이 아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6월 중순에 전남 지역 콩 재배지에 발생한 초종을 멀칭재배 종류별로 볼 때 무멀칭 및 흑색비닐 멀칭에서 각각 28종 및 12종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흑색비닐 멀칭에서 발생 초종이 단순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Table 5). 무멀칭의 경우 중요도에 의한 우점 초종은 깨풀>바랭이>쇠비름>개비름>명아주>한련초>미국가막사리>고마리 등 순으로 발생하였다. 흑색 비닐 멀칭의 경우 바랭이>깨풀>한련초>괭이밥>돌피>쇠뜨기>방동사니 등 순으로 발생하였다.

8월 중순에 발생한 초종을 멀칭재배 종류별로 볼 때 무멀칭 및 흑색비닐 멀칭에서 각각 28종 및 18종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앞의 6월 조사와 유사하게 흑색비닐 멀칭에서 발생초종이 단순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무멀칭의 경우 중요도에 의한 우점 초종은 깨풀>바랭이>쇠비름>명아주>방동사니>강아지풀>석류풀>미국가막사리 등 순으로 발생하였다. 흑색 비닐 멀칭의 경우 바랭이>석류풀>중대가리풀>돌피>한련초>개비름 등 순으로 발생하여 주요 우점 잡초가 멀칭 유무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9월 중순에 발생한 초종을 멀칭 종류별로 볼 때 무멀칭 및 흑색비닐 멀칭에서 각각 31종 및 20종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앞의 6월과 8월 조사와 유사하게 흑색비닐 멀칭에서 발생초종이 단순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무멀칭의 경우 중요도에 의한 우점 초종은 한련초>깨풀>바랭이>쇠비름>방동사니>명아주>돌피>괭이밥>개비름 등 순으로 발생하였다. 흑색 비닐 멀칭의 경우 바랭이>깨풀>방동사니>중대가리풀>한련초>석류풀>돌피 등 순으로 발생하여 주요 우점 잡초가 멀칭 유무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6월과 8월 조사를 종합적으로 볼 때 옥수수 재배지에서 상위 10초종의 경우 무멀칭에서는 바랭이>한련초>명아주>깨풀 등의 순이었고, 투명 비닐 멀칭의 경우 쇠비름>바랭이>명아주>깨풀 등의 순이었고, 흑색비닐 멀칭의 경우는 바랭이>명아주>깨풀>한련초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6). 비록 상위 우점 10초종의 경우 멀칭 종류별로 초종의 우점 순위는 다르나, 초종은 유사하였다. 또한 콩 재배지에서 1차, 2차와 3차 조사를 종합적으로 볼 때 상위 10초종 중 무멀칭에서는 깨풀>바랭이>쇠비름>한련초 등 순이었고, 흑색비닐 멀칭의 경우 바랭이>깨풀>석류풀>중대가리풀 등 순으로 나타났다. 위의 옥수수 경우와 유사하게 콩에서 상위 우점 10초종의 경우도 멀칭 종류별로 우점 순위는 다르나, 초종은 유사하였다. 잡초종의 발생은 지역별로 우점 잡초종이 다를 뿐만 아니라 재배작물(식용작물, 원예작물, 특용작물 등), 작부체계의 종류에 따라 다름을 보고하였다(Choi et al., 2009; Kim and Shin, 2007; Song, 1997). 특히 최근에는 콩과 옥수수 경우 과거와 다르게 생분해성 필름을 포함한 멀칭재배를 하는 농가가 들어 나고 있다(Deng et al., 2019). 따라서 위의 지역과 재배작물에 따라 잡초발생이 다를 뿐만 아니라 멀칭과 같은 재배방법에 따라 우점 잡초종이 변화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Table 4. Occurrence of weeds by different survey period under different mulch types of maize fields in Jeonnam province.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10102_image/Table_WTS_11_01_02_T4.png

z Importance value.

Table 5. Occurrence of weeds by different survey period under different mulch types of soybean fields in Jeonnam province.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10102_image/Table_WTS_11_01_02_T5.png

z Importance value.

Table 6. Importance values (IV) of top 10 weeds by all survey period under different mulch types of maize and soybean fields in Jeonnam province.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10102_image/Table_WTS_11_01_02_T6.png

옥수수 및 콩 재배지 잡초종의 개체간 생육 차이

일반적으로 동일한 포장 내에서도 토양 비옥도 등에 의해 동일한 초종의 경우도 개체 간에 생육 차이를 보일뿐만 아니라 제초제 및 저온과 같은 환경스트레스에서 동일 개체의 엽령간에도 반응이 달라진다(Kuk and Yun, 2010). 또한 작물 재배지에서 잡초종의 개체 간 변이가 큰 초종은 이상기상과 같은 기후변화로 인하여 생존전략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앞의 피도 등을 고려하여 계산 한 중요도 값에 근거한 우점 초종과 개체간 변이 정도와 관련성으로 보기 위하여 6월과 8월에 전남 지역 옥수수 재배지에서 잡초종의 생육 정도를 조사하였다(Table 7). 6월 옥수수 재배지 조사에서 잡초종의 생체중에 기초한 개체간 변이가 가장 큰 초종은 깨풀로서 최소/최대 차이가 107배를 보였다. 생체중에 기초한 개체간 변이가 큰 초종은 깨풀>명아주>까마중>바랭이>어저귀>여뀌>돌피>미국가막사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6월에 옥수수 재배지에서 조사한 중요도 값에 근거한 우점 순위는 바랭이>명아주>쇠비름>깨풀>한련초>개비름 등으로 보여 생체중 변이에 기초한 우점 순위는 다소 차이는 있으나 초종은 유사한 것으로 보아 포장조건하에서 개체간에 변이가 큰 초종이 우점도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8월 옥수수 재배지에서 잡초종 생체중 변이가 가장 큰 초종은 한련초로서 최소/최대 4.8배 차이를 보였다. 생체중에 기초한 개체간 변이가 큰 초종은 한련초>미국나팔꽃>개비름>깨풀>명아주>쇠비름>미국가막사리>바랭이 등의 순으로 나타나서 6월 조사에 비해 초종의 개체간 변이가 적었다. 그러나 옥수수 재배지의 중요도 값에 근거한 주요 우점 잡초종(바랭이>한련초>명아주>쇠비름>깨풀)과 위의 개체간에 변이가 큰 초종의 우점 순위는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우점 초종의 종류는 유사하였다. 8월에 비해 6월에 개체간 변이가 큰 것은 잡초의 발아특성 등에 기인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7. Differences in population growth within the same species by different survey period under maize fields in Jeonnam porvince.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10102_image/Table_WTS_11_01_02_T7.png

zDifference of maximum/minimum.

Table 8. Differences in population growth within the same species by different survey period under soybean fields in Jeonnam province.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10102_image/Table_WTS_11_01_02_T8.png

zDifference of maximum/minimum.

6, 8, 및 9월에 전남 지역 콩 재배지에서 잡초종의 개체간 생장 차이 정도를 조사하였다(Table 8). 6월에 조사한 잡초종 중 생체중에 기초한 개체간 생장 차이가 가장 큰 초종은 미국가막사리였다. 그 다음으로 개체간 생장차이가 큰 초종은 명아주>깨풀>쇠비름>바랭이>돌피>쇠뜨기>닭의장풀>개비름>괭이밥 등 순으로 나타났다. 6월에 콩 재배지에서 조사한 중요도 값에 근거한 우점 순위는 깨풀>바랭이>쇠비름>개비름>한련초>명아주>돌피 등의 순으로 보여 개체간 생체중 변이에 기초한 우점 순위는 다소 차이는 있으나 우점 초종은 유사한 것으로 보아 콩의 경우도 우점 초종은 일반적으로 개체간에 변이가 큰 것으로 사료된다.

8월 콩 재배지 조사지에서 잡초종 생체중 변이가 큰 초종은 개비름>깨풀>한련초>바랭이>괭이밥>까마중>명아주>방동사니 등 순으로 나타났다. 9월 콩 재배지 조사지에서 생체중 변이가 큰 초종은 한련초>중대가리풀>진득찰>개비름>깨풀>쇠비름>방동사니>바랭이 등 순으로 나타났다. 6월의 경우와 유사하게 8월과 9월 조사에서도 중요도 값에 근거한 우점 초종 순위에서는 차이를 보였으나 우점 초종들은 유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조사시기가 늦어질수록 잡초종의 개체 최대/최소 값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예를 들면 명아주 경우 6월, 8월과 9월 조사에서 개체간 생체중 변이의 최대/최소 값은 각각 203, 31, 및 19배를 보였고 바랭이 경우는 개체간 최대/최소 값은 각각 121, 24, 및 12배를 보였다. 콩 재배지에서도 옥수수 재배지와 유사하게 6월 경우는 발아속도 등에 의해 개체간 변이가 컸던 것으로 사료된다. 조사시기별 개체간 생체중 변이가 큰 초종의 순위는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개체간 변이가 큰 초종의 종류들은 유사하였다. 따라서 동일 잡초 중 개체간에 생장 차이가 큰 초종들이 포장에서 우점화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of “Cooperative Research Program for Agriculture Science &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No. PJ0151030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 The authors acknowledge the help of Byung Joon Jeong and Ok Gi Lee in data collection.

Authors Information

Hyun Hwa Park, Sunchon National UniversityUniversity, Ph.D. student

Hee Kwon Kim, Sunchon National UniversityUniversity, Researcher

Yong In Kuk, https://orcid.org/0000-0002-4000-8360

References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fi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p. 865. Springer, New York, USA.  

2 Chang, Y.H., Kim, C.S. and Youn, K.B. 1990. Weed occurrence in upland crop fields in Korea. Kor. J. Weed Sci. 10(4):294-304. (In Korean)  

3 Choi, B.S., Song, D.Y., Roh, J.Q., Ku, Y.C. and Lee, C.W. 2009. Distributional occurrence of weed species on different upland fields in Chungcheong region. Kor. J. Weed Sci. 29(2):139-149. (In Korean)  

4 Curtis, J.T. and McIntosch, R.P. 1950. The interrelations of certain analytic and synthetic phytosociological characters. Ecol. 31:434-455.  

5 Deng, L., Yu, Y., Zhang, H., Wang, Q. and Yu, R. 2019. The effects of biodegradable mulch film on the growth, yield, and water use efficiency of cotton and maize in an arid region. Sustainability 11:7039.  

6 Dukes, J.S., Pontius, J., Orwig, D., Gamas, J.P., Rodgers, V.L., et al. 2009. Responses of insect pests, pathogens, and invasive plant species to climate change in the forests of northeastern North America: What can we predict. Can. J. For. Res. 39:231-248.  

7 Ha, Y.W., Nam, Y.I., Park, M.E. and Cho, C.H. 1983. Distribution of weed population in the winter wheat and barley field in Korea. Kor. J. Weed Sci. 3(2):120-128. (In Korean)  

8 Ha, H.Y., Hwang, K.S., Suh, S.J., Lee, I.Y., Oh, Y.J., et al. 2014. A survey of weed occurrence on paddy field in Korea. Weed Turf. Sci. 3(2):71-77. (In Korean)  

9 Heo, S.J., Choi, J.K., Lim, S.J., Choi, S.C., Yoon, B.S., et al. 2014. Distribution of weed occurrence in maize upland fields of Gwangwon area. Kor. J. Weed Sci. 34(Supp.2):71. (In Korean)  

10 Hwang, K.S., Won, O.J., Park, S.H., Eom, M.Y., Suh, S.J., et al. 2013. A survey of weeds occurrence on paddy fields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Weed Turf. Sci. 2(4):341-347. (In Korean)  

11 Hwang, K.S., Eom, M.Y., Park, S.H., Suh, S.J., Lee, I.Y., et al. 2014.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weed species on upland fields in Chungnam province. Weed Turf. Sci. 3(4):262-268. (In Korean)  

12 Im, B.H., Jang, J.H., Im, I.B., Park, J.H., Jang, J.H., et al. 2014. Weeds on soybean fields of Jeonnam Western region. Kor. J. Weed Sci. 34(Supp. 2):49. (in Korean)  

13 Jang, S.J., Lee, D.J. and Kuk, Y.I. 2019. Soybean growth and yield reductions caused by Quamoclit coccinea at varying density. Res. on Crops. 20(2):301-305.  

14 Jang, S.J. and Kuk, Y.I. 2020. Occurrence distribution of an exotic plant Ipomoea hederacea and soybean growth and yield reductions caused by its occurrence densities. Res. on Crops. 20(2):76-81.  

15 Kim, D.S. and Park, S.H. 2009. Weed of Korea second edition revised and enlarged. Rijeon Agricultural Resources Publications, Seoul, Korea.  

16 Kim, K.U. and Shin, D.H. 2007. The principles of weed science. pp. 80-81.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ress, Daegu, Korea.  

17 Kim, S.K. and Kim, H.Y. 2015. Dominance and distribution of weed occurrence on hot pepper, soybean, maize, and Chinese cabbage fields of Gyeongbuk province. Weed Turf. Sci. 4:95-103. (In Korean)  

18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Korea.  

19 Kuk, Y.I. and Yun, Y.B. 2010. Mechanism of protophophyrinogen oxidase-inhibiting herbicide, oxyfluorfen tolerance in squash leaves of various ages. Kor. J. Weed Sci. 30(2):111-121. (In Korean)  

20 Lee, I.Y., Oh, Y.J., Hong, S.H., Choi, J.K., Heo, S.J., et al. 2015. Weed flora diversity and composition on upland field of Korea. Weed Turf. Sci. 4(3):159-175. (In Korean)  

21 Lee, I.Y., Park, J.E., Park, T.S., Lim, S.T. and Moon, B.C. 2001. Factfinding survey on paddy, upland and orchard herbicides use at farmer’s level. Kor. J. Weed Sci. 21(1):58-64. (In Korean)  

22 Oh, Y.J., Ku, Y.C., Lee, J.H. and Ham, Y.S. 1981. Distribution of weed population in the paddy field in Korea, 1981. Kor. J. Weed Sci. 1(1):21-29. (In Korean)  

23 Park, K.H., Oh, Y.J., Ku, Y.C., Kim, H.D., Sa, J.K., et al. 1995. Changes of weed community in lowland rice field in Korea. Kor. J. Weed Sci. 15(4):254-261. (In Korean)  

24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0. Safety of pesticides and crop protect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Suwon, Korea.  

25 Singer, A., Travis, J.M.J. and Johst, K. 2013. Interspecific interactions affect species and community responses to climate shifts. Oikos. 122:358-366.  

26 Song, D.Y., Ku, Y.C., Lee, S.B., Seong, K.Y., Sin, D.I., et al. 1997. Effects of the duration of weed control time on growth and yield of waxy corn. Kor. J. Weed Sci. 17(3):295-302. (In Korean)  

27 Wikum, D.A. and Shanholtzer, G.F. 1978. Application of the Braun-Bkanquet cover-abundance scale for vegetation analysis in land development studies. Environ. Manage. 2(4):323-329.  

28 Won, J.G., Jang, K.S., Hwang, J.E., Kwon, O.H., Jeon, S.G., et al. 2011. Competitiveness and yield loss of red pepper by densities of Echinochloa crus-galli (L.) P. Beauv. and Chenopodium album L. Kor. J. Weed Sci. 31(1):71-77. (In Korean)  

29 Won, J.G., Jang, K.S., Hwang, J.E., Kwon, O.H., Kwon, T.Y., et al. 2012. Yield response of red pepper by densities of D. ciliaris and A. patulus in eco-friendly cultivated field. Weed Turf. Sci. 1(4):38-43.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