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 Current Status of Park Golf Course and Turfgrass Management Practices in South Korea

Seog-Won Chang[1]

Abstract

Recently, the number of park golf course in South Korea has been rapidly increasing. However, no extensive research on turfgrass or soil management has been conducted in park golf cour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tatus of some park golf courses and the types of turfgrass used in South Korea. Among regional provinces, the highest number of park golf courses is founded in Gyeongsangbukdo (62, 15.5%), followed by Gyeongsangnamdo (60, 15.1%), and Gyeonggido (43, 10.8%). The total number of park golf courses holes is was 1,431 in Gyeongsangbukdo (18.5%), 1,125 in Gyeongsangnamdo (14.6%), and 720 in Gyeonggido (9.3%). Park golf courses are primarily located near streams or rivers, accounting for 63.6%, with 40.3% being 18-hole courses and 35.4% being 9-hole courses, respectively. Some are also located in urban parks or sports facilities. All park golf courses feature artificial grassteeing areas, and Zoysia japonica fairways. The putting greens consist of artificial grass, Z. japonica, or a combination of turfgrass protection mats and Z. japonica. Considering the current trend of new construction and the expansion of park golf courses in South Korea, a continuing increase anticipated in the future. Turfgrass management research is likely to be necessary to enhance user satisfaction and ensure environmental protection.

Keyword



서론

파크골프는 Park(공원)와 Golf(골프)를 합성한 용어로 골프장에 비해 약 1/54 정도의 9,900~13,200 ㎡ (약 3,000평~4,000평) 내외 규모의 9홀이나 18홀 잔디밭에서 골프와 매우 유사한 장비(클럽과 공 등)와 규칙으로 하는 운동경기를 말한다(Sim and Seong, 2004). 파크골프는 골프에 비해 공이 크고 무거우며 클럽의 로프트 각이 낮아 공을 높게 띄우기가 어려워서 비교적 안전하게 운동이 가능하다(Ok et al., 2019). 그러한 장점 때문에 파크골프는 우리나라에서는 노인층이 주로 참여하는 스포츠로 알려져 있다(Lee et al., 2022; Park and An, 2015). 최근에는 파크골프가 골프보다 소요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고 경기규칙도 단순해서 남녀노소나 가족 3대가 함께 할 수 있는 운동으로 인식되고 있다(Choe, 2012; Choi et al., 2017; Lee, 2020; Shim and Huh, 2006). 파크골프장에서 운동을 하려면 골프장마다 다르지만 보통 무료거나 1만 원 내외의 저렴한 비용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 노령인구가 늘면서 파크골프 인구는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복지 차원에서 조성하는 파크골프장의 숫자도 전국적으로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파크 골프장은 2017년 137개에서 2020년 254개, 2024년 398개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그 숫자가 2017년 대비 2024년에 약 190% 상승하였다. 파크골프인구는 2017년 1만 6,728명에서 2023년 14만 2,664명으로 약 853% 늘어났다(Korea Park Golf Association, 2024). 파크골프장 18홀의 정규코스는 보통 12,000m²(약 3,600평) 이상으로 조성되며, 골프와 같이 파 3홀, 파 4홀, 파 5홀로 구성되어 있다(Sim and Seong, 2004). 홀마다 티잉 그라운드, 페어웨이, 벙커, OB 지역, 러프, 그린으로 골프장과 그 구성이 동일하다. 파크골프장은 보통 티잉 그라운드, 퍼팅 그린, 벙커를 제외하고 모두 잔디로 식재되어 있기 때문에 골프장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 잔디관리가 꼭 필요한 시설이다. 특히 파크골프장은 골프장 대비 비관리 면적(벙커, 도로 등)이 매우 적어 상대적으로 잔디 관리비율이 높은 편이다(Ok et al., 2019). 하지만 지금까지 파크골프장 잔디관리에 대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KISTI 과학기술정보통합서비스(NDSL)에서 검색(2024년 8월 현재, 검색어: 파크골프장)한 결과에 의하면, 파크골프장 토양 및 잔디 관리 실태에 관한 전문가 연구가 전혀 없는 상태이다. 하지만 체육 관련 전공자에 의한 보고 사례는 1건(Cho and Park, 2009)이 보고되었다. Cho와 Park (2009)은 7개 파크골프장의 잔디 품질 상태를 조사한 후에 잔디 손상이 심하고 관리 작업이 부적절하다고 진단한 바 있다. 그들은 파크골프장 잔디의 답압피해가 심하고 주로 예초와 관수만 실시하는 극도의 기본 관리로 유지되어 잔디 품질이 좋지 않아 파크골프장을 위한 맞춤형 관리기준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따라서 파크골프장 실태 조사를 통해 정확한 현황을 파악하고 유형별로 효율적인 잔디관리와 환경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을 수립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전국에서 급증하고 있는 파크골프장의 조성 현황과 일부 파크골프장의 잔디 식재실태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보고한다.

재료 및 방법

전국 파크골프장 조성 현황(2024년 08월 06일 현재 홈페이지)은 (사)대한파크골프협회 홈페이지(http://kpga7330.com/)를 통해서 자료(398개 파크골프장)를 다운로드받아 분석하였다. 파크골프장의 위치는 웹사이트인 “다음(https://www. daum.net/)” 지도(https://map.kakao.com/)에 305개 파크골프장 주소(2022년 02월 06일 현재 홈페이지 업로드 자료)를 입력한 후에 “스카이 뷰” 기능을 통해 조사하였다. 파크골프장 잔디 종류 조사는 2020년 6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전국의 14개 파크골프장을 직접 방문하여 실시하였다. 강원도에서는 강릉파크골프장, 문막파크골프장, 학성파크골프장, 행구수변공원파크골프장, 횡성파크골프장, 경기도에서는 성저파크골프장, 연천파크골프장, 포천시 파크골프장, 화정파크골프장, 경상남도에서는 상락원파크골프장, 우주항공파크골프장, 합천군파크골프장, 그리고 충청남도에서는 서산시파크골프장과 충청북도에서는 청주장애인파크골프장을 각각 방문하였다. 잔디의 종류는 현장에서 잎(천연잔디)과 파일(인조잔디)의 형태와 생물체 여부를 확인하고 천연잔디와 인조잔디로 구분하였다. 천연잔디는 Choi et al. (2012)의 방법에 따라 잎의 형태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였고, 인조잔디는 천연잔디 잎의 기능을 하는 파일의 종류나 모양에 상관없이 모두 인조잔디에 포함하였다. 천연잔디 답압 피해를 줄이려는 목적의 플라스틱 구조물은 인조매트로 분류하였다. 우리나라 인구는 통계청(https://www.kostat.go.kr) 자료를 인용하였다. 데이터 통계분석은 SAS 프로그램(version 9.4, SAS institute, Cary, NC, USA)을 이용하였고, 유의성 검정은 단순선형상관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및 고찰

우리나라 광역자치단체별 파크골프장 조성 수 및 위치(2024년 8월 현재)는 Table 1과 같다. 우리나라 파크골프장 수는 광역자치단체 사이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파크골프장 수는 경상북도 62개(15.5%), 경상남도 60개(15.1%), 경기도 43개(10.8%), 강원특별자치도와 전라남도 36개(9.0%), 대구광역시 33개(8.3%) 순으로 높았다. 파크골프장 홀수는 경상북도 1,431개(18.5%), 경상남도 1,125개(14.6%), 경기도 720개(9.3%) 순이었다. 골프장수와 광역자치단체 면적과 광역자치단체 인구수 및 60대 이상의 인구수는 각각 상관계수 0.78160 (P값: 0.0663), 0.07766 (P값: 0.7750), 0.32108 (P값: 0.2089)로 유의수준이 낮아 모두 함수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파크골프장의 홀수와 광역자치단체 면적은 상관계수 0.84906 (P값: 0.0325)로 유의수준이 96.8%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유의수준이 높았던 이유는 광역자치단체별로 파크골프인구가 늘어나면서 유휴 공간이 많은 자치단체 위주로 수요에 맞게 파크골프장을 신설하고 홀을 증설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파크골프장의 홀수와 광역자치단체 인구수 및 60대 이상의 인구수는 각각 상관계수 –0.05819 (P값: 0.8434), 0.33360 (P값: 0.2243)으로 유의수준이 낮아 모두 함수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1

Number of park golf course and hole number, land area and population of regional province.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30303/N0260130303-t1.png

파크골프장은 주로 강 옆이나 하천 옆에 위치(63.6%)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그 다음으로 공원(10.2%)이나 체육시설 안(6.9%)에도 존재하였다. 파크골프장이 있는 곳의 대부분이 하천변이나 강변 유휴지이기 때문에 골프장 조성비용을 줄일 수 있고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유휴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치단체 입장에서는 다른 공간보다 장점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Fig. 1). 하지만 일부 파크골프장은 큰 도로와 하천 또는 강 사이에 있었기기 때문에 차가 없는 이용객들은 방문하기가 매우 위험하고 까다로울 것으로 예상되었다. 특히 골프장 전체가 하나의 주소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처음으로 파크골프를 즐기려는 사람들은 입구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어 보였다. 파크골프의 저변확대를 위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로 강변과 하천변에 위치한 파크골장의 잔디관리에 사용하는 화학농약과 화학비료가 하천(강) 환경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관한 우려가 제기될 수 있다(Kim and Chung, 2023). Lee et al. (2006)은 농경지에서 사용하는 화학농약과 화학비료가 수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바 있다. 하지만 하천변이나 강변과 같은 유휴지가 적은 인천광역시나 제주도와 같은 자치단체에서는 공원이나 체육시설의 일부로 조성하는 파크골프장이 최선의 선택으로 보인다. 인천광역시와 제주특별자치도는 공원이나 체육시설 내 파크골프장 조성 비율이 각각 40%와 60%를 차지하였다. 주택가나 큰 도로 옆 등에 설치한 파크골프장을 포함한 기타는 16.7%였다. 공원의 일부나 주택가에 인접해있는 파크골프장은 여성이나 어린이들이 포함된 가족이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인축에 안전한 잔디관리 자재의 이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2

Location of park golf course in regional province.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30303/N0260130303-t2.png
Fig. 1

A park golf course located on a riverside (A). Holes are separated by steel structures, and fairways are planted with natural turfgrass. A park golf course on a riverside that was damaged by overflowing water during the summer rainy season (B). A park signboard in a city (C) and a park golf course, which is part of the park facility (D). Tee box and fairway under the trees at a park golf course are installed of artificial gras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30303/N0260130303-f1.png

우리나라 파크골프장의 홀 구성을 보면, 18홀이 40.3%로 가장 많았으며, 9홀이 35.4%, 36홀 12.8% 순서였다(Table 3). 그 외에 일부 파크골프장은 골프장과 다르게 다양한 홀(6홀, 7홀, 11홀, 45홀, 63홀, 72홀 등)을 조성한 것으로 나타났다(data not shown). 이러한 이유는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이나 부지 여건 등에 맞게 다양한 규모로 만들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Jeon et al., 2008). 일부 파크골프장은 입장료 또는 사용료가 있었으나, 일부는 무료로 운영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파크골프장 관리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보였다(personal communication).

Table 3

Hole number of park golf course by regional province.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30303/N0260130303-t3.png

파크골프장 현황 및 실태는 Table 4와 같다. 강원도, 경상남도, 충청남도, 충청남도 4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소재 14개 파크골프장을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조사한 14개 모든 파크골프장에서 티잉 그라운드는 인조잔디, 그리고 페웨이는 들잔디로 조성되어 있었다(Fig. 2). 답압이 심한 티잉 그라운드에서 인조잔디 선택은 불가피한 결정으로 보인다. 그리고 주로 하천변에 있는 파크골프장은 토양이 모래이기 때문에 페어웨이에 고온과 건조에 강한 들잔디 식재는 최선의 선택으로 판단된다. 퍼팅 그린에는 인조잔디 또는 들잔디 또는 플라스틱 잔디 보호매트와 들잔디가 파크골프장 여건에 따라 혼재되어 있었다. 퍼팅그린에서 들잔디는 답압 피해가 큰 것으로 보였다. 그래서 많은 파크골프장에서는 인조잔디로 퍼팅그린을 조성하거나 천연잔디 퍼팅그린 위에 잔디보호 매트를 설치하여 답압피해를 줄이고자 하였다(Fig. 2). Cho와 Park (2009)도 파크골프장이 답압으로 잔디 손상이 심하고, 특히 퍼팅그린은 홀컵의 잦은 이동이 필요하다고 보고한 바 있다. 특히 조사 중 만난 파크골프장 담당자들은 답압이 한국잔디 그린업 시기에 그린업을 지연시키고 그린업률을 떨어뜨린다는 것(Kim et al., 2020)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다(personal communication). 그런 이유로 많은 파크골프장에서 이른 봄 그린업 시기에 잔디보호를 위해 몇 주 동안의 겨울휴장을 결정하고 있었다(Fig. 2).

Table 4

Park golf course location and grass type.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30303/N0260130303-t4.png
Fig. 2

Artificial grass tee box and putting green in a park golf course (A). A natural turfgrass putting green require periodic hole cup movement due to compaction damage (B). Artificial plastic mat on a putting green installed to protect natural turfgrass (C). A park golf course closed during the spring green-up period to protect natural turfgrass (D).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30303/N0260130303-f2.png

파크골프장에서 주로 문제되는 것은 지상부 밀도 저하와 잡초 발생이었다(Fig. 2). 방문했던 대부분의 파크골프장 페어웨이에는 잔디의 지상부 밀도가 전체적으로 낮은 상태로 유지되고 있었고, 이용자들의 이동이 잦은 지점이나 퍼팅 그린 등에서의 지상부 밀도는 더 낮은 경우가 많았다. 일부 파크골프장에서는 골프장에서 발견되는 갈색퍼짐병, 페어리링, 잔디혹응애, 토끼풀 등의 병해충잡초를 관찰할 수 있었다(Fig. 3). 이러한 원인은 잔디 생산지, 파크골프 이용자 등으로부터 유입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Bae et al., 2013; Min et al., 2014). Min et al. (2014)은 잔디 생산지에서 발생하는 병이 골프코스에서 나타나는 병과 유사하다고 보고하면서 생산지에서의 철저한 병 관리를 경고한 바 있다. 잔디 병해충잡초의 종류나 발생 정도에서는 파크골프장 사이에 차이가 매우 심한 편이었다. 잔디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주체들의 관련 지식정도나 예산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관심 정도에 따른 차이가 원인인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차이는 병해충잡초 방제방법과 직접 관계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원인에 관해서는 향후 연구를 통해 밝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파크골프장에서는 병충해가 기상상황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기 때문에 연중 발생하는 잡초가 더욱 문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학교운동장이나 묘지 잔디에서도 병해충보다 잡초 발생이 더 큰 문제가 되고 있다(Chang et al., 2020; Chang et al., 2022).

본 연구에서 직접 만나 인터뷰한 다수의 파크골프장 관계자들은 골프장 토양이 모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배수와 양분의 용탈이 심해서 적절한 잔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관수와 비료 살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personal communication). 조사한 파크골프장에서 공원 내 일부 파크골프장은 고정식 스프링 클러가 설치되어 있지만, 하천변 파크골프장에는 고정식 대신에 이동식 스프링클러를 사용하고 있었다(Fig. 3). 자연강우에 의존할 경우 모래땅이기 때문에 한발에 취약해서 건조에 강한 잔디로 식재하지 않으면 잔디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파크골프장에서 화학농약이나 화학비료를 사용한다면 그 일부가 하천과 강으로 유입되는 농작물 재배과정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파크골프장도 비슷한 문제가 유발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예상할 수 있었다. 공원이나 주택가에 위치해 있는 파크골프장도 이용자인 노인층과 주변 거주 지역의 어린 아이들에게 24시간 노출되어 있는 시설이기 때문에 인축에 안전한 잔디관리 자재의 사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Ok et al., 2019). 본 연구에서 조사한 파크골프장 대부분에서 전문지식이 부족한 동호회 회원 위주로 잔디가 관리되고 있어서 화학농약과 화학비료의 오남용이 문제될 수 있었다(data not shown). 따라서 이용자들의 만족도 제고와 환경보호 측면에서 전국적인 규모의 파크골프장 잔디관리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 3

A park golf course equipment storage shed with self-propelled rotary mowers (A). Park golf course fairway being irrigated with a portable sprinkler (B). A fairway filled with clover (Trifolium repens) plants (C). Zoysia japonica fairway infected with large patch disease by Rhizoctonia solani (D).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30303/N0260130303-f3.png

요약

최근 우리나라에서 파크골프장이 급격하게 늘고 있다. 지금까지 파크골프장 토양 및 잔디 관리에 대한 전문가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파크골프장의 조성 현황과 일부 파크골프장의 잔디 식재현황을 조사하였다. 우리나라에서 2024년 8월 현재 398개의 파크골프장과 7,727개의 홀이 조성되어 있었다. 파크골프장 수는 광역자치단체 중 경상북도 62개(15.5%), 경상남도 60개(15.1%), 경기도 43개(10.8%) 순으로 높았다. 파크골프장의 전체 홀수도 경상북도 1,431개(18.5%), 경상남도 1,125개(14.6%), 경기도 720개(9.3%) 순이었다. 파크골프장은 주로 하천이나 강 옆(63.6%)에 18홀(40.3%)이나 9홀(35.4%) 규모로 위치하고 있었다. 도심 공원이나 스포츠 시설 내에도 일부 존재하였다. 모든 파크골프장에서 티잉 그라운드는 인조잔디, 그리고 페웨이는 들잔디로 조성되어 있었다. 퍼팅 그린에는 인조잔디 또는 들잔디 또는 잔디보호매트와 들잔디가 혼재되어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파크골프장은 지금의 신설과 증설 추세를 고려할 때 향후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된다. 파크골프장 이용자들의 만족도 제고와 환경보호 측면에서 잔디관리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funded by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NRF-2018R1D1A1B07041214).

Authors Information

Seog-Won, Chang, Dept. of Golf Course Management, Korea Golf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rofessor, https://orcid. org/0000-0003-2053-6833

References

1 Bae, E.J., Lee, K.S., Kim, D.S., Han, E.H., Lee, D.M. et al. 2013. Sod production and current status of cultivation management in Korea. Weed Turf. Sci. 2(1):95-99. (In Korean)  

2 Chang, S.W., Bae, E.J., Kim, K.D. and Lee, J.H. 2020. Investigation on turfgrass growth environment in natural turfgrass playgrounds of 2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outh Korea. Weed Turf. Sci. 9:159~168. (In Korean).  

3 Chang, S.W., Lee, J.H., Bae, E.J. and Kim, S.H. 2022. A study on the actual use of pesticides on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in Korea and the perception of chemical pesticides among school staffs. Weed Turf. Sci. 11:289~296. (In Korean).  

4 Cho, K.J. and Park. J.H. 2009. Turf management problem and its improvement in the park golf course. Kor. J. of Sports Science. 18(4): 619- 628. (In Korean).  

5 Choe, M.J. 2012. The effect of park golf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sleep of the elderly.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7(6):1529-1536. (In Korean).  

6 Choi, H.Y., Choi, J.Y. and Kim, H.W. 2017. The effects of park golf exercise on risk factor of metabolic syndrome and blood lipids of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25(4):418-421. (In Korean).  

7 Choi, J.S., Yang, G.M., Oh, C.J. and Bae, E.J. 2012.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rate of medium-leaf type zoysiagrasses collected at major sod production area in S. Korea. Asian J. Turfgrass Sci. 26:1-7. (In Korean)  

8 Jeon, Y.G., Lee, J.G. and Seo, W.H. 2008. A study on the constraint factor of revitalization in domestic park golf. J. Kor. Soc. PeoplePlantsEnviron. 11(3):143-151. (In Korean).  

9 Kim, C.M. and Chung, I.M. 2023.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ocal residents’ perception of tourism impact on park golf course development, satisfaction, and supporting intention. Journal of Golf Studies. 17(3):203-212. (In Korean).  

10 Kim. K.D., Lee, J.H. and Chang, S.W. 2020. Quality difference of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playgrounds by human compaction intensity before and after spring green-up in school playground conditions. Weed Turf. Sci. 9:169-177. (In Korean).  

11 Korea Park Golf Association. 2024. Status of park golf courses nationwide in 2024. http:// www.kpga7330.com/data/info.php, August 2024. (In Korean)  

1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4. Statistics by organization in South Korea. https://kosis.kr/ statisticsList, August 2024. (In Korean)  

13 Lee, H.G. 2020. Analysis about the value system of park golf club members using the means-end chain theory.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80:211-221. (In Korean).  

14 Lee, H.J., Lee, R.S. and Heo, J.M. 2022. The meaning of park-golf experience as serious leisure of older adults. The Kore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45(2):189-196. (In Korean).  

15 Lee, W.S., Jung, S.G., Park, K.H. and You, J.H. 2006. An analysis on water pollution degree by the watershed considering landcover types in the mid-Nakdong rive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15(4), 349-357. (In Korean).  

16 Min, G.Y., Lee, J.H. and Kwak, Y.S. 2014. A detail investigation of major diseases occurrence and pathogen population on turfgrass cultivation in nationwide. Weed Turf. Sci. 3(2):121-129. (In Korean).  

17 Ok, S.C., Lee, H.G. and Shin, S.M. 2019. A place identity reading of park golf courses in the center of a city. Kor. J. of Sport Sociplogy. 32(2):36-55. (In Korean).  

18 Park, J.L. and An, M.J. 2015. The effect of the elderly park golf participant’s participation motivation on the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olf Studies. 9(2):1-12. (In Korean).  

19 Shim, C.S. and Huh, J.Y.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n park golf participation in old. The Kore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45(2):189-196. (In Korean).  

20 Sim, C.S. and Seong, N.H. 2004. The effect and introduction background of park golf as sport for all. J. of Korea Sport Research. 15(5):551-562.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