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Conventional and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Weed Control Methods on Weed and Aquatic Plant Diversity in Rice Paddies, Rice Paddy Levees, Agricultural Waterways, and Streams

Research Article
이 효진  Hyo Jin Lee1김 예건  Ye Geon Kim1박 현희  Hyun Hwa Park1황 인택  In Taek Hwang1방 정환  Jeong Hwan Bang2홍 성준  Sung Jun Hong2국 용인  Yong In Kuk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nventional (CV) and golden apple snail (GAS) methods of weed control on weed occurrence in rice paddy levees (2021) and aquatic plant occurrence in rice paddies, agricultural waterways, and small streams (2022) in Gangwon, Gyeonggi, Chungnam, Chungbuk, Gwangju, and Jeonnam provinces at the transplanting, booting and harvesting stages of rice cultivation. In 2021, weed occurrence in rice paddy levees was highest at the transplanting stage, lower at the booting stage and lowest at harvest. This finding was consistent across all locations, regardless of weed control method. In areas where GAS methods were used, the most dominant weeds were Digitaria ciliaris, Artemisia princeps and Bidens frondosa. In total, 85 weed species were observed. The top 10 weed species were similar across all areas using both weed control methods. However, in areas where CV methods were used, only 69 weed species were observed. In general, Chungnam, Chungbuk and Jeonnam areas using GAS methods of weed control had greater weed diversity. Contrary to the levee surveys, 2022 studies in rice paddies, agricultural waterways, and streams found that the occurrence of aquatic plants was highest at harvest, lower at booting stages and lowest at the transplanting stages. Additionally, the number of aquatic plants was slightly higher in areas using GAS methods. The number of aquatic plants in rice paddies, agricultural waterways and streams was similar regardless of weed control methods, but aquatic plant diversity was higher in streams than in rice paddies and agricultural waterways. Therefore, the effects of GAS methods were more pronounced in levees where greater numbers of weed diversity were observed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aquatic plant diversity in rice paddies, agricultural waterways, and streams.

Keyword



서 언

관행농업은 작물재배 기간 동안 발생하는 병해충 및 잡초 방제와 작물 생육 촉진을 위해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함으로써 작물 수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관행농업에 사용한 농약과 화학비료에 의해 수질 및 토양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생물다양성 감소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Han et al., 2013; Ma and Joachim, 2006).

따라서 최근에는 유기농 자재를 이용하여 병해충 및 잡초를 방제하면서 농업생태계의 다양성과 건전성을 향상시키는 유기농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Ma and Joachim, 2006).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환경농업육성법’을 제정한 이후 유기농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Jeong et al., 1999; Kim, 1998; Moon et al., 1998).

벼 유기재배에서 왕우렁이 농법에 의한 잡초방제 효과는 95% 이상으로 매우 높고 효율적이므로 아직까지 이 농법을 대체할 만한 잡초방제 수단이 없는 실정으로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Jeong et al., 1999; Kim, 1998; Kwon et al., 2010; Moon et al., 1998). 더욱이 유기농업은 농업생태계와 관련한 환경보전을 통해 생물다양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Bengtsson et al., 2005; Benton et al., 2003; Butler et al., 2009; Gabriel et al., 2010; Ma and Joachim, 2006; Winqvist et al., 2011). 예를 들면 유기농업 시행논에서 관행 농업 논에 비해 약 40% 높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다양성이 관찰되었다(Kim et al., 2018).

그러나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왕우렁이 농법을 하는 농경지나 양식장의 왕우렁이들이 강우 등과 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환경생태계로 유출되기도 한다(Lee et al., 2002; NIE, 2017). 또한 농법에 사용된 왕우렁이는 도입 초기에 원산지가 열대지방인 것을 고려하여 국내에서는 월동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NIE, 2017),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남부지방을 비롯하여 다수의 지역에서 왕우렁이의 월동이 확인되었고, 월동한 왕우렁이로 인하여 벼를 비롯한 농작물 등의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Kim et al., 2007a, b; Lee et al., 2002; Seo et al., 2010; Shin et al., 2021). 또한 왕우렁이는 잡식성이고, 하루에 최대 개체 체중의 22%에 달하는 수생식물을 섭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Lee et al., 2002; Qiu and Kwong, 2009). 따라서 왕우렁이와 같은 외래생물의 유출은 토착 생물종의 종 풍부도를 감소시키고, 서식지 환경교란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플랑크톤 생물군집에 영향을 주어 하천 생태계, BOD, COD 및 탁도 증가 등 하천 환경 및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미친다(Butchart et al., 2010; Carlsson et al., 2004; Engelhardt and Ritchie, 2001; Galil, 2007).

따라서 본 연구는 2021년의 경우 벼 관행농법과 왕우렁농법을 실시하고 있는 지역(강원, 충북, 전남 등)별 벼 생육기(이앙기, 수잉기 및 수확기)별로 나누어 논둑을 대상으로 잡초 식생을 조사하였다. 또한 2022년의 경우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논, 농수로 및 소하천으로 나누어 수생식물을 조사하여 두 농법 간에 식물 다양성을 평가하였다.

재료 및 방법

벼 관행과 왕우렁이 농법 재배지 논둑 잡초 식생변화

조사는 강원 강릉, 경기 양평, 충남 예산, 충북 보은, 전남 화순, 장흥, 나주 및 해남, 광주 광산 지역의 관행 벼재배지와 왕우렁이 벼재배지 각각 20지역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조사지역은 Fig. 1과 같고, 왕우렁이 벼재배지는 친환경재배를 5년 이상한 농가를 선정하였고, 관행 벼재배지는 왕우렁이 조사 지역과 가능한 근접한 곳으로 하였다. 조사시기는 이앙기(7월), 수잉기(8월) 및 수확기(9월)로 나누어 논둑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잡초 초종수와 개체밀도를 20m 간격으로 Braun-Blanquet (1964) 방법에 의해 7등급(5, 4, 3, 2, 1, +, r)을 기준으로 피도를 조사하였다(Wikum and Shanholtzer, 1978).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20106_image/Fig_WTS_12_01_06_F1.png

Fig. 1 Investigation area treated with conventional (conven.) and golden apple snail (GAS) methods of weed control.

즉 5는 피도가 조사면적의 75% 이상 출현, 4는 피도가 조사면적의 50~75% 출현, 3은 피도가 조사면적의 25~50% 출현, 2은 극히 개체수가 많거나 적어도 조사면적의 10~25% 출현, 1은 개체수가 많지만 피도가 10% 이하, +는 극히 낮은 피도 로서 약간의 개체수가 출현, r은 극히 드물게 최소 피도로 출현할 때 기준으로조사하였다. 조사 후 아래와 같은 항목을 조사하여 중요도(우점도)를 산출하였다 (Curtis and McIntosh, 1950).

-절대발생밀도 = 해당초종의 실제 발생본수 합계

-상대발생밀도 = (해당초종의 발생본수/모든 초종의 발생본수) × 100

-절대발생빈도 = (해당초종이 발생된 quadrat수/sampling quadrat 합계) × 100

-상대발생빈도 = (해당초종의 절대발생빈도/모든 초종의 절대발생빈도 합계) × 100

-중요도 = 상대발생밀도 + 상대발생빈도/2

벼 관행과 왕우렁이 농법 재배지 논, 농수로 및 소하천 수생식물 양상 변화

조사지역은 위의 “벼 관행과 왕우렁이 농법 재배지 논둑 잡초 식생변화”조사의 광주지역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하였고, 5개 도, 10개 읍면 30개소 벼 관행농업과 왕우렁이 농업의 논, 농수로 및 소하천을 대상으로 하였다(Fig. 1). 조사시기는 위의 논둑 잡초조사와 동일하게 이앙기(7월), 수잉기(8월) 및 수확기(9월)로 나누어 논, 농수로 및 소하천을 조사하였다. 그 밖의 조사방법 등도 위의 연구와 동일하게 하였다.

결과 및 고찰

벼 관행과 왕우렁이 농법 재배지 논둑 잡초 식생변화

벼 생육시기별 벼 관행과 왕우렁이 농법을 실시한 각각 20개 지점의 논둑을 조사한 결과, 봄(이앙기) 조사의 경우 왕우렁이 농법을 하는 논둑에서 바랭이, 깨풀, 미국가막사리, 토끼풀, 쑥, 여뀌, 망초, 왕고들빼기, 방동사니, 닭의장풀 등 순으로 우점하여였고, 총 65종이 발생하였다(Table 1, Fig. 2). 관행농법을 하는 논둑의 경우 바랭이, 깨풀, 미국가막사리, 닭의장풀, 망초, 강아지풀, 방동사니, 고마리, 쇠비름, 털쇠무릎 등 순으로 우점하였고, 총 51종이 발생하여 왕우렁이 농법에서 잡초 발생종이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상위 10위 우점 초종 중 바랭이, 깨풀 및 미국가막사리는 두 농법 동일하게 1, 2 및 3위를 차지하였고, 상위 10위 초종 중 6초종은 동일하였으나, 그 밖의 초종은 두 농법 간에 차이가 있었다.

Table 1. Importance values (IV) of top 10 weeds in levees using golden apple snail (GAS) and conventional (conven.) methods at different growth stage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20106_image/Table_WTS_12_01_06_T1.png

RK, Ranking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20106_image/Fig_WTS_12_01_05_F2.png

Fig. 2 Occurrence number of weed species in levees surrounding rice paddies treated with conventional (conven.) and golden apple snail (GAS) methods at different rice growth stages.

여름(수잉기) 조사의 경우 왕우렁이 농법은 바랭이, 방동사니, 깨풀, 고마리, 닭의장풀, 쑥, 미국가막사리, 쇠비름, 강아지풀, 소리쟁이 등 순으로 우점하였고, 총 60종의 잡초종이 발생하였다. 관행농법은 바랭이, 깨풀, 닭의장풀, 미국가막사리, 강아지풀, 망초, 쑥, 고마리, 방동사니, 쇠비름 등 순으로 우점하였고, 총 51종이 발생하여 앞의 이앙기 조사 경우처럼 왕우렁이 농법에서 잡초 발생이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상위 10초종의 순위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두 농법의 상위 10초종은 유사하였다.

가을(수확기) 조사의 경우 왕우렁이 농법은 쑥, 소리쟁이, 망초, 바랭이, 토끼풀, 강아지풀, 미국가막사리, 개불알풀, 민들레, 쇠뜨기 등 순으로 우점하였고, 총 54종의 잡초종이 발생하였다. 관행농법은 쑥, 망초, 바랭이, 미국가막사리, 강아지풀, 소리쟁이, 여뀌, 개불알풀, 토끼풀, 민들레 등 순으로 우점하였고, 총 43종이 발생하여 왕우렁이 농법에서 잡초 발생 종수가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수확기 조사의 경우도 상위 10초종의 순위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두 농법의 상위 10초종은 유사하였다. 조사시기가 이앙기 > 수잉기 > 수확기로 갈수록 두 농법 간에 잡초 발생 초종수가 적어지는 경향이었으나, 이러한 현상은 잡초가 생육하면서 특정 잡초로 우점화되는 과정에서 일부 잡초종이 종간경합으로 인하여 사라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생육기(이앙기, 수잉기, 수확기)별 잡초 발생을 종합적으로 보면 왕우렁이 농법에서는 바랭이, 쑥, 미국가막사리, 망초, 깨풀, 개불알풀, 소리쟁이, 토끼풀, 강아지풀, 쇠비름 등 순으로 우점하였고, 총 85종이 발생하였다. 관행농법에서 바랭이, 쑥, 망초, 미국가막사리, 깨풀, 강아지풀, 닭의장풀, 고마리, 쇠비름, 소리쟁이 등 순으로 우점하였고, 총 69종이 발생하여 생육기 전체적으로 볼 때에도 왕우렁이 농법을 하는 논둑에 잡초종이 다양함을 알 수 있었고, 상위 우점 10초종의 순위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두 농법의 상위 10초종은 유사하였다. 이처럼 왕우렁이 농법을 하는 논둑에 종다양성이 관행농업에 비해 증가하였던 것은 왕우렁이 농법의 경우는 논둑에도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 주로 물리적인 방제에 의해 수행되는 반면에 관행농업의 경우 비선택성 제초제 사용에 의해 논둑을 관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잡초방제용으로 논에 투입된 왕우렁이는 일년생잡초 피, 물달개비, 여뀌바늘, 미국외풀, 밭둑외풀, 마디꽃 뿐만 아니라 다년생잡초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벗풀 등도 섭식하기 때문에 논둑으로 유출하여 잡초를 섭식할 경우 종 다양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Kwon et al., 2010). 또한 왕우렁이가 수생식물인 좀개구리밥과 부레옥잠 등도 잘 섭식하기 때문에 농수로나 소하천으로 다량 유입된 경우에도 식물종의 다양성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Nils and Jean, 2005). 실제로 유기 농법 시행 논에서 관행 농법 시행 논에 비해 곤충과 같은 생물 다양성이 약 40% 높아지는 것을 관찰하였고, 밭의 경우 유기 농법 시행 지역에서 약 10% 높은 다양성이 확인되었다(Kim et al., 2018).

지역별로 왕우렁이 농법과 관행농법의 잡초 발생 조사에서 이앙기 경우 경기/강원, 충남/충북, 전남의 왕우렁이 농법과 관행 농업은 각각 23종과 27종, 32종과 26종 및 52종과 38종으로 조사되어 경기/강원 지역을 제외하고 왕우렁이 농법에 잡초 발생이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Table 2, Fig. 3). 상위 10위 우점초종과 순위도 지역간에 차이가 있었던 것은 지역 간에 기상 등의 환경 요인에 기인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수잉기 조사의 경우 경기/강원, 충남/충북, 전남의 왕우렁이 농법과 관행 농업은 각각 17종과 23종, 28종과 23종 및 51종과 38종으로 조사되어 앞의 이앙기 조사처럼 경기/강원 지역을 제외하고 왕우렁이 농법에서 잡초 발생이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자료 미제시). 특히 전남 지역에서 왕우렁이 농법에서 잡초 발생이 관행농법에 비해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상위 10위 우점 초종과 순위도 지역간에 차이가 있었다.

수확기의 경우 경기/강원, 충남/충북, 전남의 왕우렁이 농법과 관행 농업은 각각 14종과 13종, 20종과 17종 및 43종과 36종으로 조사되어 앞의 수잉기 조사처럼 경기/강원 지역에는 두 농법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다른 지역에서는 왕우렁이 농법에서 잡초 발생이 관행농법에 비해 다양성을 보였다(자료 미제시). 상위 10위 우점 초종과 순위도 지역간에 차이를 보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경기/강원 지역을 제외하고 충남/충북, 전남 지역의 관행재배 보다는 왕우렁이 농법에서 잡초종이 다양하였고, 수확기보다는 이앙기와 수잉기 조사에서 잡초종이 다양하였다.

Table 2. Importance values (IV) of top 10 weeds in levees at transplanting stage using golden apple snail (GAS) and conventional (conven.) methods in different area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20106_image/Table_WTS_12_01_06_T2.png

RK, Ranking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20106_image/Fig_WTS_12_01_05_F3.png

Fig. 3 Occurrence number of weed species in levees surrounding rice paddies treated with conventional (conven.) and golden apple snail (GAS) methods in different areas at transplanting (A), booting (B), and harvesting (C) stages.

벼 관행과 왕우렁이 농법 재배지 논, 농수로 및 소하천 수생식물 양상 변화

벼 관행과 왕우렁이 농법을 실시한 5개 도, 10개 읍면 각각 30개 지점의 논, 농수로 및 소하천을 대상으로 벼 생육시기별로 수생식물을 조사하였다(Table 3, Fig. 4). 봄(이앙기) 조사의 경우 왕우렁이 농법은 고마리, 미국가막사리, 줄풀, 갈대, 미나리, 개구리밥, 드렁새, 물달개비, 미국외풀, 부들 순으로 우점하였고, 총 22종이 발생하였다. 관행농업에서는 고마리, 갈대, 미국가막사리, 줄풀, 드렁새, 미나리, 개구리밥, 부들, 논피 및 물달개비 순으로 우점하였고, 총 19종이 발생하여 왕우렁이 농법에서 다소 발생종이 많았다. 상위 우점 10초종의 순위는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두 농법의 상위 우점 10초종은 유사하였다.

여름(수잉기) 조사의 경우 왕우렁이 농법은 고마리, 미국가막사리, 줄풀, 개구리밥, 물달개비, 갈대, 드렁새, 미나리, 미국외풀, 논피 순으로 우점하였고, 총 24종이 발생하였다. 관행농업은 고마리, 미국가막사리, 개구리밥, 갈대, 줄풀, 드렁새, 미나리, 미국외풀, 물달개비, 여뀌바늘 순으로 우점하였고, 총 23종이 발생하여 두 농법간에 발생한 잡초 초종수는 유사하였다. 앞의 이앙기 조사처럼 상위 우점 10초종의 순위는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두 농법의 상위 우점 10초종은 유사하였다.

가을(수확기) 조사의 경우 왕우렁이 농법은 줄풀, 고마리, 미국가막사리, 갈대, 드렁새, 미국외풀, 물달개비, 개구리밥, 논피, 부들 순으로 우점하였고, 총 26종이 발생하였다. 관행농업은 미국가막사리, 줄풀, 갈대, 고마리, 드렁새, 물달개비, 미국외풀, 개구리밥, 부들, 미나리아재비 순으로 총 23종이 발생하여 왕우렁이 농법에서 다소 발생 초종 수가 많았다. 일반적으로 상위 우점 10초종의 순위는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두 농법의 상위 우점 10초종은 1~2종을 제외하고 유사하였다. 앞의 논둑 조사와 다소 다르게 논, 농수로 및 소하천 조사에서는 조사시기가 이앙기 < 수잉기 < 수확기로 갈수록 두 농법 간에 잡초 발생수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조사시기가 늦어질수록 수온 상승 등의 환경요인이 수생식물 생육에 더 적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각 생육기 조사를 종합적으로 볼 때 왕우렁이 농법은 고마리, 줄풀, 미국가막사리, 갈대, 개구리밥, 드렁새, 물달개비, 미나리, 미국외풀, 부들 순으로 우점하였고, 총 27종이 발생하였다. 관행농업은 고마리, 미국가막사리, 줄풀, 갈대, 드렁새, 개구리밥, 미나리, 물달개비, 미국외풀, 논피 순으로 우점하였고, 총 24종이 발생하여 우렁이 농법이 관행농법에 비해 발생한 잡초 종수가 다소 많았다. 상위 우점 10초종의 순위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상위 10초종 중 9초종은 두 농법 간에 동일하였다. 따라서 왕우렁이 농법의 경우 논둑 잡초발생에는 크게 영향을 미쳤으나 농수로나 소하천 등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3. Importance values (IV) of top 10 aquatic plants using golden apple snail (GAS) and conventional (conven.) methods at different rice growth stage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20106_image/Table_WTS_12_01_06_T3.png

RK, Ranking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20106_image/Fig_WTS_12_01_05_F4.png

Fig. 4 Occurrence number of aquatic plants in agricultural waterways and small streams surrounding rice paddies treated with conventional (conven.) and golden apple snail (GAS) methods at different rice growth stages.

벼 생육시기별로 왕우렁이 농법과 관행농법을 하는 논, 농수로 및 소하천을 중심으로 6개도 지역에서 잡초 발생을 조사하였다(Table 4, Fig. 5). 경기/강원 지역의 경우 왕우렁 농법은 고마리, 갈대, 논피, 미국외풀, 미국가막사리, 올방개, 개구리밥, 드렁새, 털물참새피, 마디꽃 순으로 우점하였고, 총 15종이 발생하여 관행농업 12종 보다 많았다. 경기/강원도의 경우 왕우렁이와 관행농업의 상위 10초종의 순위는 다르나 상위 10초종 중 1초종만 다르고, 유사하였다. 충남/충북의 경우 왕우렁이 농법은 고마리, 줄풀, 미국가막사리, 미나리, 개구리밥, 물달개비, 갈대, 드렁새, 부들, 미국외풀 순으로 우점하였고, 총 24종이 발생하여 관행농업 12종보다 2배 많은 종수가 발생하였다. 충남/충북의 왕우렁이 농업과 관행농업의 경우도 상위 10초종의 순위는 다르나, 상위 10초종 중 1초종만 다르고 유사하였다. 전남의 경우 왕우렁이 농업은 고마리, 줄풀, 미국가막사리, 개구리밥, 갈대, 미나리, 드렁새, 논피, 물달개비, 마름 순으로 우점하였고, 총 26종이 발생하여 관행농업 23종 보다 다소 많았다. 전남의 왕우렁이 농업과 관행농업의 경우도 상위 10초종의 순위는 다르나, 상위 10초종 중 2초종만 다르고 다른 초종은 유사하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경기/강원 지역이 충남/충북 지역과 전남지역에 비해 수생식물 발생이 적었던 것은 기온, 수온 등의 기상요인에 기인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4. Importance values (IV) of top 10 aquatic plants using golden apple snail (GAS) and conventional (conven.) methods in different area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20106_image/Table_WTS_12_01_06_T4.png

RK, Ranking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20106_image/Fig_WTS_12_01_05_F5.png

Fig. 5 Occurrence number of aquatic plants in agricultural waterways and small streams surrounding rice paddies treated with conventional (conven.) and golden apple snail (GAS) methods in different areas.

왕우렁이 농업과 관행농업을 하는 논, 농수로 및 소하천 주변 잡초발생을 조사하였다(Table 5, Fig. 6). 논의 경우 왕우렁이 농업에서 개구리밥, 미국외풀, 물달개비, 고마리, 마디꽃, 여뀌바늘, 미나리, 올미 순으로 우점하였고, 총 8종이 발생하여 관행농업도 8종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두 농법 간에 상위 8초종의 순위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1 초종을 제외하고 상위 우점 초종은 유사하였다. 이처럼 관행농업과 왕우렁이 농법간에 발생한 초종이 비슷한 것은 왕우렁이 농법에 의한 잡초방제 효과가 95% 이상으로 높아 제초제 사용에 의한 관행농업과 잡초 방제 효과가 유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Jeong et al., 1999; Kim, 1998; Moon et al., 1998).

Table 5. Importance values (IV) of top 10 aquatic plants using golden apple snail (GAS) and conventional (conven.) methods at rice paddies, agricultural waterways, and streams.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20106_image/Table_WTS_12_01_06_T5.png

RK, Ranking

http://dam.zipot.com:8080/sites/WTS/images/N0260120106_image/Fig_WTS_12_01_05_F6.png

Fig. 6 Occurrence number of aquatic plants in rice paddies (RP), agricultural waterways (AW) and streams (ST) surrounding fields treated with conventional (conven.) and golden apple snail (GAS) methods.

농수로의 경우는 왕우렁이 농법에서 미국가막사리, 개구리밥, 고마리, 미나리, 미국외풀, 줄풀, 갈대, 붕어마름, 여뀌바늘, 가래 순으로 우점하였고, 총 14종이 발생하였으나, 관행농업에서는 12종이 발생하였다. 상위 우점 10위 초종의 순위는 차이를 보였으나, 상위 10초종은 동일하였다. 소하천의 경우 왕우렁이 농업에서 고마리, 줄풀, 갈대, 미국가막사리, 드렁새, 부들, 논피, 물달개비, 미나리, 털물참새피 순으로 우점하였고, 총 21종이 발생하였고, 관행의 경우는 19종이 발생하였다. 조사장소 논, 농수로 및 소하천에서 관행농업과 왕우렁이 농법 간에 발생 초종수는 유사하였으나 논과 농수로에 비해 소하천에서 잡초 발생 종수가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왕우렁이 농법의 경우 관행농업에 비해 논둑에서는 잡초 다양성이 높아졌으나, 논, 농수로 및 소하천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왕우렁이 농법을 하는 농수로나 소하천에 왕우렁이 서식밀도가 관행농업을 하는 지역에 비해 높음을 보고 하였다(Shin et al., 2021). 왕우렁이 서식 수로에는 부엽성 수생식물인 개구리밥, 좀개구리밥이 서식하지 않았으나 전체적인 식물상은 서식하지 않는 곳과 큰 차이가 없었던 것처럼(Seo et al., 2010), 본 연구에서 왕우렁이 농법과 관행농업에서 논, 농수로 및 소하천 수생식물 분포에 큰 차이가 없는 것과 유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천적 및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경우는 유기농업에 비해 관행농업에서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Grant et al., 1983; Han et al., 2013; Hole et al., 2005; Mesléard et al., 2005; Power and Stuout, 2011). 또한 국외 사례의 경우 왕우렁이는 농업과 수생태계를 위협하고 자생종과의 경쟁 및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utiérrez and Reaser, 2005; Levin, 2006).

따라서 국내에서도 왕우렁이 양식장이나 논잡초 방제용으로 사용된 논에서 홍수 등에 의해 유출되거나 왕우렁이가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월동하거나 야생밀도가 높아질 경우 왕성한 식물 섭식 특성으로 인하여 생물다양성 저하 등의 문제가 우려된다(Bang and Cho, 2008; Lee et al., 2002; Shin et al., 2021). 또한 왕우렁이는 번식력이 왕성하고 섭식 대상은 벼, 논잡초, 미나리, 토마토, (양)배추, 무, 호박, 콩잎 등 대부분의 농작물을 포함한 식물체 및 동족의 왕우렁이 등 수중동물로서 더더욱 문제가 우려된다(Lee et al., 2002). 따라서 잡초방제용으로 활용되는 왕우렁이가 농경지로부터 유출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Authors Information

Hyo Jin Lee, Ye Geon Kim, Hyun Hwa Park, Sunch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tudent

In Taek Hwang, Sunchon National University, Researcher

Jeong Hwan Bang, Sung Jun Hong,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searcher

Yong In Kuk, Sunchon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of “Cooperative Research Program for Agriculture Science &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No. PJ0156040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 The authors acknowledge the help of Kim Young Ok, Kim Hee Gwon, Nam Ji Young, Lee Mi Young, and Jeong Byung Joon in data curation.

Acknowledgements

References

1 Bang, S.W. and Cho, M.K. 2008. Ecological risk of alien apple snails used in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and the urgent need for its risk management in Korea. KOSEB. 26(3):129-137.  

2 Bengtsson, J., Ahnström, J. and Weibull, A.C. 2005. The effects of organic agriculture on biodiversity and abundance: a meta-analysis. J. Appl. Ecol. 42:261-269.  

3 Benton, T.G., Vickery, J.A. and Wilson, J.D. 2003. Farmland biodiversity: is habitat heterogeneity the key?. Trends Ecol. 18:182-188.  

4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fi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p. 865. Springer, New York, USA.  

5 Butchart, S.H.M., Walpole, M., Collen, B., Van Strien, A., Scharlemann, J.P.W., et al. 2010. Global biodiversity: indicators of recent declines. Sci. 328(5982):1164-1168.  

6 Butler, S.J., Brooks, D., Feber, R.E., Storkey, J., Vickery, J.A., et al. 2009. A cross-taxonomic index for quantifying the health of farmland biodiversity. J. Appl. Ecol. 46:1154-1162.  

7 Carlsson, N.O., Brönmark, C. and Hansson, L.A. 2004. Invading herbivory: the golden apple snail alters ecosystem functioning in Asian wetlands. Ecol. 85(6):1575-1580.  

8 Curtis, J.T. and McIntosch, R.P. 1950. The interrelations of certain analytic and synthetic phytosociological characters. Ecol. 31:434-455.  

9 Engelhardt, K.A.M. and Ritchie, M.E. 2001. Effects of macrophyte species richness on wetland ecosystem functioning and services. Nature. 411(6838):687-689.  

10 Gabriel, D., Sait, S.M., Hodgson, J.A., Schmutz, U., Kunin, W.E., et al. 2010. Scale matters: the impact of organic farming on biodiversity at different spatial scales. Ecol. Lett. 13:858-869.  

11 Galil, B.S. 2007. Loss or gain? Invasive aliens and biodiversity in the Mediterranean Sea. Mar. Pollut. Bull. 55(7-9):314-322.  

12 Grant, I.F., Tirol, A.C., Aziz, T. and Watanabe, I. 1983. Regulation of invertebrate grazers as a means to enhance biomass and nitrogen fixation of cyanophyceae in wetland rice fields. Soil. Sci. Soc. Am. J. 47:669-675.  

13 Gutiérrez, A.T. and Reaser, J.K. 2005. Linkages between development assistance and invasive alien species in freshwater systems in Southeast Asia. USAID Asia and Near East Bureau, Washington, DC, USA.  

14 Han, M.S., Na, H.K., Kang, K.K., Kim, M.R., Na, Y.E., et al. 2013. Characteristics of benthic invertebrate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paddy field. Korean J. Environ. Agric. 32:17-23.  

15 Hole, D.G., Perkins, A.J., Wilson, J.D., Alexander, I.H., Grice, P.V., et al. 2005. Does organic farming benefit biodiversity? Biol. Conserv.122(1):113-130.  

16 Jeong, S.J., Park, H.S., Oh, J.S., Choi, B.C. and Choi, S.K. 1999. Studies on the ecology and ingestion of Ampullarius insularus for weeding of paddy rice. KAOA. 7(2):169-177.  

17 Kim, D.I., Kim, S.G., Choi, K.J., Kang, B.R., Park, J.D., et al. 2007a. Occurrence and damage of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e: Ampullariidae) in Jeonnam Province of South Korea. Korean J. Appl. Entomol. 46(1):109-115.  

18 Kim, H.J., Bae, S.D., Lee, G.H., Park, S.T., Park, C.G., et al. 2007b. Over-wintering of the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Gastropoda: Ampullariidae) and its overwintering habitat in the Yeongnam district. Korean J. Appl. Entomol. 46:437-444.  

19 Kim, H., Kim, K.J., Sun, Y., Jo, Y.J., Kim, T.Y., et al. 2018. Change in bio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s in agricultural fields depending on different farming methods. Korean J. Org. Agric. 26(4):687-706.  

20 Kim, H.D. 1998. Weed control effect by input of golden apple snails.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Symposium for the 1st half of the year. p. 83-90.  

21 Kwon, O.D., Park, H.G., An, K.N., Lee, I., Shin, S.H., et al. 2010. Weedy control efficacy and injury of rice plant by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in environment-friendly rice paddy fields. Korean J. Weed Sci. 30(3):282–290.  

22 Lee, S.B., Koh, M.H., Na, Y.E. and Kim, J.H. 2002.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pple snails. Korean J. Environ. Agric. 21(1):50-56.  

23 Levin, P. 2006. Statewide strategic control plan for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in Hawaii. The Hawaii Land Restoration Institute. Wailuka, Hawai.  

24 Ma, S.M. and Joachim, S. 2006. Review of history and recent development of organic farming worldwide. Agric. Sci. China. 5:169-178.  

25 Mesléard, F., Garnero, S., Beck, N. and Rosecchi, E. 2005. Uselessness and indirect negative effects of an insecticide on rice field invertebrates. C. R. Biol. 328:955-962.  

26 Moon, Y.H., Oh, D.H., Choi, J.S., NA, J.S. and Han, S.S. 1998. Originals: Properities and effects of utilizable materials for organic farming in rice. Korean J. Environ. Agric. 17(4):319-323.  

27 NIE. 2017. Investigating ecological risk of alien species (IV).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South Korea.  

28 Nils, O.L.C. and Jean, O.L. 2005. Herbivory on aquatic vascular plants by the introduced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in Lao PDR. Biol. Invasion. 7:233-241.  

29 Power, E.F. and Stout, J.C. 2011. Organic dairy farming: impacts on insect-flower interaction networks and pollination. J. Appl. Ecol. 48(3):561-569.  

30 Qiu, J.W. and Kwong, K.L. 2009. Effects of macrophytes on feeding and life-history traits of the invasive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Freshw. Biol. 54(8):1720-1730.  

31 Seo, H.Y., Paik, C.H., Choi, M.Y., Lee, G.H., Lee, K.B., et al. 2010. A study on the ecology of the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Lamark) in Chungnam and Jeonbuk Province of Korea. J. Ecol. Environ. 24(6):772-780.  

32 Shin, I.C., Byeon, Y.W., Lee, B.M., Kim, J.R., Yoon, H.J., et al. 2021.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overwintering of golden apple snails, Pomacea canaliculata (Gastropoda: Ampullariidae) at the environment-friendly complex in Korea. Korean J. Environ. Agric. 40(4):279-289.  

33 Winqvist, C., Bengtsson, J., Aavik, T., Berendse, F., Clement, L.W., et al. 2011. Mixed effects of organic farming and landscape complexity on farmland biodiversity and biological control potential across. Europe. J. Appl. Ecol. 48:570-579.  

34 Wikum, D.A. and Shanholtzer, G.F. 1978. Application of the Braun-Bkanquet cover-abundance scale for vegetation analysis in land development studies. Environ. Manage. 2(4):323-329.